• Title/Summary/Keyword: 논리적 확률

Search Result 116,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Study on Cluster Head Election Mechanism using Fuzzy Logic in Wireless Sensor Networks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퍼지 논리를 이용한 클러스터 헤드 선출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

  • Kim, Jong-Myoung;Park, Seon-Ho;Han, Young-Ju;Chung, Tai-M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11a
    • /
    • pp.936-940
    • /
    • 2007
  • 본 논문은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에너지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무선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 적합한 클러스터 헤드 선출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LEACH 와 같은 기존의 확률 모델 기반의 클러스터 헤드 선출 메커니즘들은 각 라운드마다 클러스터 헤드로 선출될 확률과 라운드 횟수 등을 바탕으로 클러스터 헤드를 선출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각 노드의 상황을 고려하지 않아 네트워크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각 센서 노드의 에너지 및 노드 분포 상황을 고려하여 클러스터 헤드를 선출해야 한다. 하지만 실제 무선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클러스터 헤드 선출을 위해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계산하는데 있어 큰 오버헤드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정보 수집 및 계산에 있어서 오버헤드를 줄이고 네트워크의 수명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퍼지 논리를 이용한 퍼지 논리 기반의 클러스터 헤드 선출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Matlab 을 통한 시뮬레이션 결과 LEACH 에 비해 퍼지 논리 기반의 클러스터 헤드 선출 메커니즘을 이용했을 경우 네트워크 수명이 약 16.3% 향상되었다.

  • PDF

A Study of Fuzzy Reasoning in Expert System (전문가 대체 시스템에서의 퍼지 추론에 관한 연구)

  • 김성혁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7 no.1
    • /
    • pp.68-78
    • /
    • 1990
  • This paper shows the fuzzy reasoning process that is specifically designed to deal wit the inexactness or fuzziness in the expert systems. The impact of overall fuzzy reasoning reviewed when knowledge with certainty is provided. Also, the example of fuzzy reazoning used at probabilistic inference is presented.

  • PDF

Current Psychological Studies on Deductive Reasoning (연역추리에 관한 심리학 연구 동향)

  • Do, Kyung Soo
    • Communica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 /
    • v.30 no.12
    • /
    • pp.26-34
    • /
    • 2012
  • 지금까지 간략히 살펴본 것처럼 심리학에서 연역추리를 연구하는 이론과 가정이 변화하고 있는데, 크게 네 가지 흐름으로 요약할 수 있다[2,6,7]. 가장 큰 변화는 연역 추리와 귀납 추리의 구분이 점차로 흐려지고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 변화는 연역 추리를 이해하는 관점이 달라지고 있다는 점이다. 심리학에서 연역추리를 본격적으로 다루기 시작한 1960년대에는 사람들이 논리적인 사고를 하느냐에 관심이 모아졌다. 그러다 1980년대와 1990년대에는 연역추리를 하는 기제에 관한 심성 논리 이론과 심성 모형 이론 간의 논쟁이 치열하게 전개되면서 내용효과와 같은 실용적 요인들에 대한 연구도 많이 수행되었다. 그리고 1990년대 들어서면서 연역추리를 정보 획득의 관점에서 접근하는 확률적 접근, 연역 추리 과정을 heuristic 처리 단계와 분석적 처리 단계로 나누어 접근하는 이중 과정 이론이 등장하면서 기본적인 이론틀의 변화도 일어나고 있다. 세 번째 변화는 연역 추리를 문제 해결이나 의사결정과 같은 다른 인지 처리와 연결하려는 시도들이 진행되고 있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심리학의 다른 분야에서와 마찬가지로 연역 추리에 관여하는 뇌 부위를 알아보는 뇌 영상 연구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런 연구들의 결과로 연역 추리 과정에 대한 다차원적인 이해가 증진되고 다른 인지과정과도 연동되는 종합적 이해가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한다.

An Analysis on the Past Items of Probability and statistics in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수학과 중등임용 확률과 통계학 기출문항 분석)

  • Kim, Changil;Jeon, Youngju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20 no.4
    • /
    • pp.387-404
    • /
    • 2017
  • In this paper, in the last 4 years(2014~2017 school year), we classified the probability and statistical items based on the evaluation scope of the mathematics subject content knowledge which were presen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and the classified items were analyzed. As a result, First, in order to induce normalization of the probability and statistical curriculum, four assessment field should be evenly distributed. Second, integrated thinking and comprehensive analytical thinking assessment is required. Third, item an epilogue should be used to measure mathematical thinking and logical competence. Fourth, the ratio of the number of items in probability and statistics to the number of that was 7.7%~10.0%, and the ratio according to the item weighting was 5.0%~7.5%. Fifth, it maintains the policy of stabilizing a good the level of difficulty of the items. Finally, probability and statistical assessment should focus on measuring problem solving ability from an inductive point of view.

  • PDF

Teaching Statistics through World Cup Soccer Examples (월드컵 축구 예제를 통한 통계교육)

  • Kim, Hyuk-Joo;Kim, Young-Il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3 no.6
    • /
    • pp.1201-1208
    • /
    • 2010
  • In teaching probability and statistics classes, we should increase efforts to develop examples that enhance teaching methodology in delivering more meaningful knowledge to students. Sports is one field that provides a variety of examples and World Cup Soccer events are a treasure house of many interesting problems. Teaching, using examples from this field, is an effective way to enhance the interest of students in probability and statistics because World Cup Soccer is a matter of national interest. In this paper, we have suggested several examples pertaining to counting the number of cases and computing probabilities. These examples are related to many issues such as possible scenarios in the preliminary round, victory points necessary for each participant to advance to the second round, and the issue of grouping teams. Based on a simulation using a statistical model, we have proposed a logical method for computing the probabilities of proceeding to the second round and winning the championship for each participant in the 2010 South Africa World Cup.

인과적 마코프 조건과 비결정론적 세계

  • Lee, Yeong-Eui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8 no.1
    • /
    • pp.47-67
    • /
    • 2005
  • Bayesian networks have been used in studying and simulating causal inferences by using the probability function distributed over the variables consisting of inquiry space. The focus of the debates concerning Bayesian networks is the causal Markov condition that constrains the probabilistic independence between all the variables which are not in the causal relations. Cartwright, a strong critic about the Bayesian network theory, argues that the causal Markov condition cannot hold in indeterministic systems, so it cannot be a valid principle for causal inferences.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explore whether her argument on the causal Markov condition is valid. Mainly, I shall argue that it is possible for upholders of the causal Markov condition to respond properly the criticism of Cartwright through the continuous causal model that permits the infinite sequence of causal events.

  • PDF

A Comparative Study on Scientific Reasoning Skills in Korean and the US College Students (한국과 미국 대학생들의 과학적 추론 능력에 대한 비교 연구)

  • Jeon, Woo-Soo;Kwon, Yong-Ju;Lawson, Anton 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19 no.1
    • /
    • pp.117-127
    • /
    • 1999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Korean and the US college students' scientific reasoning skills involving hypothesis-testing skills and tested the hypothesis that hypothesis-testing skills are more advanced ones than other scientific reasoning skills investigated in this study. Seven hundred and seventy-four(774) Korean and five hundred and sixty-eight(568) the US students were sampled in university level. The Test of Scientific Reasoning was used as a scientific reasoning test. The test is consisted of two conservational reasoning, two proportional reasoning, one pendulum, two probability reasoning, two controlling variable, one correlational reasoning, and two hypothesis-testing reasoning tasks. Korean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 higher score in proportional and probability reasoning tasks than the US students. However, the Korean showed a significant lower score in conservation and correlation reasoning tasks than their American counterparts. Further, Korean and the US college students showed a notably poor performance in hypothesis-testing skills comparing with other scientific reasoning skills, which supported the hypothesis that hypothesis-testing skills are more advanced ones than other scientific reasoning skills. In addition, the Korean showed a severe deficiency in candle-burning task which required the skill that students have to design a scientific test-procedure to test theoretical hypotheses. This study also discussed on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 PDF

반 멕기의 반례와 해결책

  • Choi, Won-Bae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11 no.1
    • /
    • pp.67-89
    • /
    • 2008
  • 반 멕기는 전건긍정규칙의 반례라고 하는 것을 제시하였다. 지금까지 그것이 과연 진정한 반례인지를 두고 많은 논의가 있었다. 이 논문에서 나의 목적은 조금 다르다. 나는 여기서 반 멕기의 반례가 생겨나는 구조를 밝히고자 한다. 우선 나는 내 자신이 구성한 반례를 하나 제시할 것이다. 그런 다음 반례가 생겨나는 기본 구조를 찾아내고, 이런 분석이 다른 반례에도 그대로 적용된다는 점을 보임으로써 나의 제안이 옳은 분석이라는 점을 확증하기로 한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우리는 반례가 만들어지는 메커니즘을 분명히 할 수 있을 것이다. 나는 석기에는 조건문에 대한 특정한 이해가 들어 있다는 점을 보일 것이다. 반례가 생겨나는 구조를 파악하고 나면 반례의 해결책을 마련하는 일은 그다지 어렵지 않다. 끝에서 나는 그런 해결책을 간단히 언급하고자 한다.

  • PDF

Stochastic Optimization Method Using Gradient Based on Control Variates (통제변수 기반 Gradient를 이용한 확률적 최적화 기법)

  • Kwon, Chi-Myung;Kim, Seong-Yeo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18 no.2
    • /
    • pp.49-55
    • /
    • 2009
  •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an optimal allocation of constant service resources in stochastic system to optimize the expected performance of interest. For this purpose, we use the control variates to estimate the gradients of expected performance with respect to given resource parameters, and apply these estimated gradients in stochastic optimization algorithm to find the optimal allocation of resources. The proposed gradient estimation method is advantageous in that it uses simulation results of a single design point without increasing the number of design points in simulation experiments and does not need to describe the logical relationship among realized performance of interest and perturbations in input parameters. We consider the applications of this research to various models and extension of input parameter space as the future research.

인간신뢰도분석에서의 인간행위 의존성 평가: 암모니아 저장시설의 누출사고 평가 예

  • 강대일;이윤환;진영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1998.11a
    • /
    • pp.219-224
    • /
    • 1998
  • 확률론적 안전성 평가(Probabilistic Safety Assessment PSA)나 정량적인 위험도 평가(Quantitative Risk Assessment: QRA)에서 인간신뢰도분석(human reliability analysis)은 인간행위를 기기처럼 생각하여 전체 시스템의 안전성에 중요한 초기사건(initiating event) 이전이나 초기사건 이후 또는 초기사건을 유발하는 인간행위를 파악하고 정량화하여, 확률론적 평가의 논리구조인 사건 및 고장수목(event tree 및 fault tree)이나 사고경위 단절집합 (accident sequence outsets)에 포함시키는 것이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