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노후인식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23초

노후불안인식 영향요인: 연령집단별 비교 (Study on Variables Affecting Aging Anxiety: Comparison among Age Groups)

  • 정순둘;정주희
    • 한국노년학
    • /
    • 제38권2호
    • /
    • pp.365-383
    • /
    • 2018
  • 본 연구는 노후불안인식의 수준과 노후불안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각 연령집단별로 살펴보고, 노후불안을 낮추기 위해 사회적으로 어떠한 대안이 마련되어야 하는지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2017 연령통합 설문 조사"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총 1,017명의 조사대상자를 청년층 307명, 중년층 357명, 노년층 353명의 3개 연령집단으로 구분하여 노후불안인식 영향 요인들을 비교분석하였다. 각 연령집단 간 노후불안인식의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분산분석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노후불안인식에 대한 각 변수들의 영향력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해 보았다. 분석결과, 각 연령집단별 노후불안인식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집단 간 차이가 있었다. 노후불안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한 회귀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노인낙인은 모든 연령집단에서 노후불안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가능연령은 청년층과 중년층에서 노후불안인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사회공정성인식은 중년층과 노년층에서 노후불안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연령통합인식과 고령친화적 환경 변인은 노년층에서만 노후불안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노후불안에 대해 사회적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하였으며, 노년기에 대한 인식과 사회 환경에 대한 인식과의 연관성을 통해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중소병원 간호사의 성공적 노후인식, 이직의도 및 노후대책의 융복합적 연구 (A study of convergence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turnover intention and retirement plans of hospital nurses)

  • 허현점;권영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8호
    • /
    • pp.337-344
    • /
    • 2015
  • 본 연구는 간호사들의 노후 인식정도와 이직의도를 파악하여 성공적인 노후를 위해 안정적인 노후대책의 필요성을 인식 시키고자 시도 되었다. 연구대상자는 G시에 소재하는 간호사 290명이었다. 자료수집을 위한 설문조사는 2014년 8월 5일부터 8월 31일까지 실시되었고, 자료 분석은 SPSS WIN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적 통계, t-test, One way-ANOVA, 변수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 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성공적 노후인식과 노후대책 정도는 정적상관관계(r=.13. p=.022)를 보였고, 정서적 노후대책과 성공적 노후인식도 정적상관관계 (r=.16, p=.007)를 보였다. 본 연구에 의하면 융복합시대의 간호사들은 안정적인 직장에서 이직하지 않고 입사 하는 시점부터 노후준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장, 단기적 관점에서 경제적, 신체적, 정서적 측면에서 노후 대책을 실천해 나갈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이 요구된다.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노후인식수준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Convergence Effect of College Students Knowledge on the Elderly and Recognition of Retirement on the Preparation for Retirement)

  • 박지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61-6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대학생의 노후인식, 노인에 대한 지식 및 노후준비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노후인식 및 노인에 대한 지식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규명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2019년 10월 1일에서 11월 30일까지 B시 소재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13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및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t-test, ANOVA, 상관관계 및 단계적 다중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노후인식 및 노인에 대한 지식은 노후준비와 의미 있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는 노인에 대한 지식(β=0.21, p=.012), 남성인 경우(β=0.28, p=.001), 노후인식수준(β=0.23, p=.005) 순이었으며, 이들 영향요인은 대상자의 노후준비 정도를 17.5%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9.14, p<.001).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의 노후준비를 효과적으로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노인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져야 함을 의미하며, 중재안 구성 시에 성별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예비 전역자의 노후생활인식이 노후설계준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Veterans' Perception of Old age on the Preparation for Old Age Plan)

  • 양태호;임왕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137-150
    • /
    • 2014
  • 본 연구는 급속한 한국의 인구 고령화로 노후설계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와 다소 소외되어 있는 군인을 대상으로 노후생활인식이 노후설계준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는 2개 영역(경제적 여가)의 노후설계준비에서 계급, 학력, 종교, 가정구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신체적 영역에서는 재산만이 유의한 차이를 보여 군 특성이 반영된 결과를 나타냈다. 예비 전역자의 노후생활인식이 노후설계준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의 연구에서는 노후생활인식을 '성공적인 노후생활의 인식'과 '노후에 예상되는 문제점 인식'으로 상반된 개념의 두 가지 요인을 적용한 결과, 이들은 2개 영역(경제적 여가)의 노후설계준비에 정(+)의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으나 신체적 영역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전직지원교육 학습활동의 조절효과는 노후생활인식 중 '예상되는 문제점 인식'에 조절효과가 나타났으나 '성공노년 인식'요인에는 나타나지 않았다.

시니어의 노후준비도와 창업교육 만족도가 자기효능감 및 창업기회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한승현;양영석;김명숙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3-59
    • /
    • 2023
  • 국내 베이비붐 세대 은퇴가 본격화하며 국내 시니어들의 은퇴후 평생직업 대안에 대한 수요가 폭증하며 창업이 그 대안으로 부상하였지만 주로 자영업창업 중심이어서 효과적인 대안이 되지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본 논문은 시니어들이 노후 대책으로 재대로 된 창업을 준비하도록 창업교육을 통한 만족도 제고를 통해 창업기회를 인식하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시니어의 노후준비도와 창업교육만족도가 자기효능감과 창업기회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 연구로서 각 변인에 대한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시니어의 노후준비도가 자기효능감과 창업기회인식에 미치는 영향관계와 둘째, 창업교육만족도가 시니어의 자기효능감과 창업기회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가설검증 결과로 첫째, 시니어의 노후준비도는 하위 변위에 따라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시니어의 자기효능감과 창업기회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시니어의 창업교육만족도가 자기효능감에는 영향을 미치나 셋째, 시니어의 창업교육만족도가 창업기회인식에는 영향을 미치지 안는 것으로 예상된다. 본 논문은 시니어 창업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하나로 노후준비도를 살펴봄으로써 시니어가 가진 노후준비 특성이 창업기회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정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시니어의 창업 활성화 및 노동력 활용 방안으로 창업교육의 확대 필요성과 시니어 창업 교육 프로그램의 확대 등 창업을 준비할 수 있는 사회 분위기와 제도적 지원 및 프로그램 설계 필요성을 시사한다.

  • PDF

노후연령인식 여부에 따른 성공적 노화 구성요소 차이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Factors of Successful Aging and th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by the Recognition of Old Age)

  • 김미령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5권1호
    • /
    • pp.227-245
    • /
    • 2013
  •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 중 자신을 노후연령으로 인식하지 않는 집단과 자신을 노후연령으로 인식하는 집단의 성공적 노화구성요소를 비교하고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가를 비교한 연구다. 연구대상은 자신을 노후연령으로 인식하지 않는 집단 620명, 자신을 노후연령으로 인식하는 집단 3,460명으로 모두 4,080명으로 구성되었다.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를 비교하기 위하여는 t검증과 카이자승검증 및 연령을 공변량으로 하는 공분산분석(ANCOVA)이 사용되었고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을 파악하기위해서는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자신을 노후연령으로 인식하지 않는 집단은 노후연령으로 인식하는 집단보다 삶의 만족도, 건강, 도구적 일상생활능력, 교육수준, 심리적 건강이 높았다. 반면 질병 비율은 낮았고 직업활동, 노후생활비준비나 경제적 독립은 높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 중 노후연령으로 인식하지 않는 집단은 성별이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없고 연령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반면 노후연령으로 인식한 집단은 성별에 따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연령도 증가할수록 삶의 만족도가 낮아지고 있다. 또한 노후연령으로 인식하는 집단의 도구적 일상생활능력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직업활동 유무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도 차이가 있었다.

  • PDF

국가 · 민간의료기관 근로자간의 노후준비 영향 분석 (The Effect Analysis of Aging Preparation Between National and Private Medical Workers)

  • 심현진;이일현;이현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365-374
    • /
    • 2013
  • 본 연구는 노후에 대한 인식이 국가 민간의료기관 근로자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또한 노후인식이 노후준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의 보건소와 병 의원의 근로자 783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test,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국가 민간의료기관의 근로자간에 노후에 대한 인식, 정부정책에 대한 만족도, 노후준비에 대해서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었으며, 국가 근로자가 민간 근로자 보다 더 잘 인지하고, 만족하며, 비교적 준비하고 있었다. 또한 노후에 대한 인식과 정부정책 만족도는 모두 보통 수준 이상으로 나타났지만, 노후 준비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후 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본 결과 국가의료기관과 민간의료기관 근로자에서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노후 준비에 미치는 영향은 부분적으로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국가 민간의료기관 근로자간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에는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노후준비에 대한 교육 및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려한다.

중년층의 재무교육 및 퇴직태도가 노후준비인식에 미치는 영향 요인 (A study on the effect of financial education and retirement attitudes of middle-aged on the recognition of the preparation for their old age)

  • 강신기;조성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1호
    • /
    • pp.117-132
    • /
    • 2013
  • 본 연구는 앞으로 은퇴생활을 시작하게 될 중년층의 재무교육 여부 및 퇴직태도가 노후준비인식(경제적, 신체적, 정서 사회적)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변수들 간의 차이점 분석을 통한 문제점을 파악하여 중년층의 노후준비도의 개선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수도권에 거주하는 중년층 35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및 t-test, 일원 분산분석 등을 하였다. 연구내용은 퇴직을 앞둔 중년층의 휴식으로서의 전환이 경제적 노후준비와 신체적 노후준비, 정서 사회적 노후준비의 상관관계와 새로운 시작, 일의 계속, 강요된 분열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결과를 살펴보았다. 첫째, 연령이 높을수록, 기혼, 소득과 직업경력이 높을수록, 종교가 있는 경우,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경제적, 신체적 노후준비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중년층의 재무교육이 영역별 노후준비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냄으로써 사전 퇴직교육과 은퇴준비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퇴직태도는 신체적 노후준비 인식에 영향을 미쳐 자아존중과 가정의 안정 및 경제적인 면과 건강상태, 여가활동 등의 영향요인이 있음이 분석되었다.

베이비붐 세대의 성공적 노화 인식과 노후 준비에 관한 연구 (Perceptions of Successful Aging and Preparations for the Later Life Among the Baby Boom Cohort)

  • 강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460-472
    • /
    • 2016
  • 본 연구는 베이비붐 세대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성공적 노화 인식과 노후 준비 정도를 살펴보고, 더 나아가 성공적 노화 인식이 노후 준비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전국에서 814명의 베이비붐 세대를 대상으로 2015년 5월 1일부터 9월 15일까지 설문지 조사가 실시되었으며, SPSS WIN18.0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베이비붐 세대의 성공적 노화 인식은 학력, 주관적 경제수준, 주관적 건강상태, 배우자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 준비 정도는 학력, 직업, 주관적 경제수준,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성공적 노화 인식이 높을수록 노후를 위한 준비에 보다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베이비붐 세대들의 성공적 노화와 노후 준비에 관한 정책과 서비스는 인구 통계학적 특성을 고려한 개별화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동시에 성공적 노화에 관한 이론적 교육 및 노후 준비에 관한 실천적 프로그램이 함께 병행되어질 필요가 있다.

공무원들의 노후생활에 대한 인식 및 준비정도 (Degree of Recognition and Preparation for the Old Age Life of Public Servants)

  • 박현숙;임정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248-260
    • /
    • 2012
  • 부산, 울산, 경남지역에 근무하는 공무원 중 편의표본 추출한 30대 및 40대를 중심으로 731명을 대상으로 하여 노후 생활에 대한 인식 및 준비정도 등을 조사하였다. 노후의 1차적 부양책임은 본인 및 배우자라는 응답은 83.9%였다. 노후생활 지역은 대도시 근교의 전원생활이라는 응답이 25.9% 였다. 노후생활에 예상되는 경제력 문제점에 대한 인식은 매우 문제가 될 것이다라는 응답이 33.0% 였다. 여가활동 문제점에 대한 인식에서는 그저 그렇다라는 응답이 43.4% 였다. 공무원들이 노후생활 경제력에 대해 나름대로 준비하고 있다는 응답은 75.0%였다. 노후생활의 공적연금의 충족정도는 부족하다가 56.0%, 적정하다가 17.2%, 모르겠다가 26.8%였다. 공무원들의 노후생활의 공적연금의 충족정도는 부족하다(409명 56.0%)가 이였으며, 공적연금의 충족정도에 따른 노후생활에 대한 경제적 준비내용은 먼저 공적연금 외 경제적 대책 준비정도와 공적연금의 충족정도 군별로 비교한 결과 부동산 투자, 부족분 자녀도움, 자신의 보유자산 이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분석결과, 중년층이 노후의 준비를 하는 데 있어서는 개인 스스로 노후준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장 단기적인 관점에서 경제적 신체적 사회적 측면에서 노후 대책을 마련하고 실천해 나가는 것이 가장 중요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