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노출과 침수

Search Result 83,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Evaluation of Durability for Glass fabric/Phenolic Composites under Salt Water Environment (염수환경에 노출된 유리섬유직물/페놀 복합재의 내구성 평가)

  • Yoon, Sung-Ho
    • Composites Research
    • /
    • v.18 no.4
    • /
    • pp.27-34
    • /
    • 2005
  • Salt water spray and immersion tests were experimentally conducted for over 6 months to investigate the durability of glass fabric/phenolic composites under salt water environment.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tensile properties, flexural properties, and shear properties were evaluated and thermal analysis properties such as storage shear modulus, loss shear moduls, and tan 6 were obtained through a DMA. A change in chemical structures was analyzed through a FTIR. According to the results, mechanical properties and thermal analysis properties were sensitive to salt water environment and these properties began to degrade in increasing in exposure times. However, tensile and flexural moduli started to decrease and then slightly increase as increasing in exposure times due to plasticization and crosslinking in matrix as well as physical swelling in composites. Beyond a certain exposure times, these properties began to decrease as further increasing in exposure times. Also the shape and location of peaks in FTIR curves were insensitive to exposure times, but the intensity of peaks would be. finally we found that the durability of glass fabric/phenolic composites were affected on salt water immersion environment rather than salt water spray environment.

Prediction of Long-Term Interlaminar Shear Strength of Carbon Fiber/Epoxy Composites Exposed to Environmental Factors (환경인자에 노출된 탄소섬유/에폭시 복합재의 장기 층간전단강도 예측)

  • Yoon, Sung Ho;Shi, Ya Long
    • Composites Research
    • /
    • v.30 no.1
    • /
    • pp.71-76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dict the long-term performance using the interlaminar shear strength of carbon fiber/epoxy composites exposed to environmental factors. Interlaminar shear specimens, manufactured by the filament winding method, were exposed to the conditions of drying at $50^{\circ}C$, $70^{\circ}C$, and $100^{\circ}C$ and of immersion at $25^{\circ}C$, $50^{\circ}C$, and $70^{\circ}C$ for up to 3000 hours,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interlaminar shear strength did not vary significantly with the exposure time for the drying at $50^{\circ}C$ and $70^{\circ}C$, but it increased somewhat for the drying at $100^{\circ}C$ due to the post curing as the exposure time increased. The interlaminar shear strength of the specimens exposed to the immersion at $25^{\circ}C$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at the beginning of exposure, but it decreased with the exposure time and the degree of decrease increased as the environmental temperature increased. The linear regression equations for the environmental temperatures were obtained from the interlaminar shear strength of the specimens exposed to the immersion for up to 3000 hours. Using these linear regression equations, the interlaminar shear strength was estimated to be within 5.5% of the measured value at $25^{\circ}C$ and $50^{\circ}C$, and 2.3% of the measured value at $70^{\circ}C$. Therefore, the proposed performance prediction procedures can predict well the long-term interlaminar shear strength of carbon fiber/epoxy composites exposed to environmental factors.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Variation Analysis in the Inter-Tidal Zone, South of Ganghwado, Korea (강화도 남단 조간대에서의 수온 및 염분 변동양상 분석)

  • Cho, Hong-Yeon;Koo, Bon-J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0 no.3
    • /
    • pp.310-320
    • /
    • 2008
  •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variation patterns were analysed using the CTD data measured in the Yeochari, Dongmakri and Donggeomdo intertidal zone, south of Ganghwado. Only the data during the submersion period of the measurement stations were used in this analysis. It is clearly shown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air and water temperatures is very low and the water temperature variation shows clearly the opposite patterns as the tidal elevation increases and decreases. Whereas, the salinity change shows the similar pattern of the tidal elevation change pattern because the salinity change pattern could be described as the increasing function from the shoreline to offshore regions due to the continuous ground-water inflow in the adjacent watersheds. The salinity is increased from the submersion time to the high tide and decreased from the high tide to the exposure time.

A Study on the Electric Shock due to Submerged Power Source (침수 상용전원에 의한 감전위험성 검토)

  • Jung, Jong-Wook;Jung, Jin-So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21 no.6
    • /
    • pp.71-76
    • /
    • 2007
  • This paper describes a risk assessment of electric shock based on a experiment which demonstrates a submerged commercial power source. For the experiment a water tank was made and an outlet was installed on an interior wall. After filling the tank with a conductive water solution, the electric potential was measured with the distance, the direction from the power source, the conductivity and the level of the water solution. As a result, the potential distribution due to the outlet energized and exposed to the water solution depends on the distance from the submerged power source, however, the direction from the power source, the conductivity and the level of the water solution seemed to scarcely affected on the electrical shock risk.

Application of Shallow Water Equation Finite Element Model to Danhogyo Area in Nakdong River (천수방정식 유한요소 모형의 낙동강 단호교 지역 흐름에 대한 적용)

  • Heo, Sun-Young;Lee, Hae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19-320
    • /
    • 2011
  • Lax-Wendroff 기법을 기반의 천수방정식에 대한 유한요소 모형을 낙동강 상류부 단호교 지역에 적용하였다. 모형의 검증을 위하여 이동경계에 대한 Thacker (1981)의 정확해와 침수-노출 기법(wet-dry scheme)을 이용한 본 모형의 수치해를 비교하여 대체로 잘 일치함을 알게 되었다. 또한, U자형 만곡부를 포함한 수로의 흐름에 적용하여, 기존의 수리실험 결과, 수치모의 결과와 비교하고, 모형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낙동강 상류지역에 위치한 단호교 지역에 본 모형을 적용하고, 이를 기존 유한차분법에 의한 수치해와 비교하였다.

  • PDF

안전 운항을 위한 선박 운동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 Kim, Min-U;Choe, Ju-Hyeok;Won, Seon-Il;Lee, Hyeo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10a
    • /
    • pp.25-27
    • /
    • 2014
  • 황천 운항 중인 선박은 파도에 의한 과도한 운동과 그로 인한 슬래밍, 프로펠러노출, 갑판침수와 같은 현상으로 구조, 화물, 인명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황천 시 선박은 안전 운항을 위하여 속도와 코스를 신중히 결정할 필요가 있다. 선박 운동 모니터링 시스템은 해상환경이 선박에 미치는 다양한 위험 상황을 사전에 예측하고 피할 수 있도록 의사 결정을 지원하며, 현재 선박의 운동상태와 구조적 안정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함으로써 선박, 선원, 화물의 안전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본 시스템은 주파수 영역에서 New strip 방법에 기초하여 운동 응답과 수직 굽힘 모멘트를 계산하며, 슬래밍, 프로펠러노출, 갑판침수를 예측한다. 또한 선박 운동과 선체구조응력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과도한 선체운동이나 선체구조피로 등의 위험 상황을 표시하고 선원의 작업성과 승선감의 지표인 MII (Motion induced interruption), MSI (Motion sickness incidence)를 제공한다.

  • PDF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rust and Torque for Partially Submerged Propeller (부분 침수 프로펠러의 bollard pull 추력 및 토오크 특성 연구)

  • Park, H.G.;Lee, T.G.;Paik, K.J.;Choi, S.H.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14 no.4
    • /
    • pp.264-272
    • /
    • 2011
  • Shipbuilders carry out the operation test to check the conditions of the main propulsion system and auxiliaries for moored vessel in the quoy before the sea trial. The estimation of the thrust and torque for the partially submerged propeller should be prepared to ensure the safety of mooring line and the ship. In this paper, the variations of the thrust and torque according to the shaft submergence and the propeller rotating speed in bollard pull condition are investigated with the model test and the numerical analysis. Based on these resaearch, the empirical formula representing the physical phenomena of the partially submerged propeller is derived and validated through comparison to measurement results of full-scale propellers under the quoy operation test.

Influencing Factors Evaluation of Flood Damage to Residential Building by Survey Data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한 주거건물 홍수피해 영향인자 평가)

  • Choi, Cheon Kyu;Kim, Gil Ho;Kim, Kyung Tak;Choi, Yun 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75-575
    • /
    • 2016
  • 홍수로 인한 주거건물의 경제적 피해는 침수심, 침수기간, 유속 등의 재난인자와 제내지에 노출된 사회 경제적 인자들 간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발생하지만, 다차원홍수피해산정법을 비롯한 대부분의 모형에서는 침수심 만을 고려하고 있다. 최근 국외에서는 홍수피해와 영향인자 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홍수피해액 평가 시 침수심 외 중요한 기타 인자를 고려하는 연구가 시도된 바 있으나, 국내에서는 이것과 관련한 연구가 그동안 거의 진행된 바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거건물을 대상으로 홍수피해 영향인자를 규명하고자 과거 피해지역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설문조사에 앞서 사전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수리/수문학적 인자, 건물특성인자, 예방인자, 조기경보/조치인자, 사회 경제적인자, 피해인자로 설문항목을 크게 구분하여 설문지를 설계하였다. 설문조사는 2014년 8월에 광범위하게 피해가 발생한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1대1면접조사 방식으로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로부터 상관분석, 데이터마이닝 등의 통계적 분석을 통해 침수심 외 몇몇 중요한 피해액 영향인자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평가된 홍수피해 영향인자는 향후 홍수피해평가 모델을 개발하거나 홍수피해저감을 위한 세부적인 계획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High Modulus Carbon-Epoxy Composite in Salt Water Environment (염수 환경에 노출된 고강성 탄소/에폭시 복합재의 물성치 변화 연구)

  • Moon, Chul-Jin;Lee, Cheong-Lak;Kweon, Jin-Hwe;Choi, Jin-Ho;Jo, Maeng-Hyo;Kim, Tae-Gyeong
    • Composites Research
    • /
    • v.21 no.6
    • /
    • pp.1-7
    • /
    • 2008
  •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alt water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a high modulus carbon-epoxy composite. Specimens were made of a carbon-epoxy composite UPN139B of SK Chemical and tested under inplane tension and shear after 0, 1, 3, 6, 9, and 12 months immersion in 3.5% salt water. Acceleration technique such as temperature elevation was not used. The tensile strengths and modulli in fiber and matrix direction did not show any remarkable degradation until 12 months immersion. In contrast to the tensile properties, shear strength and modulus started to gradually decrease up to about 10% of values of dry specimens after 12 months immersion. It was confirmed through the test that the material UPN139B can be an effective material for the shell structures in salt water to resist against the external pressure buckling because of the high fiber directional modulus and corrosion resistance.

Model Development of Coastal Area Inundation due to Sea-level Rising (해수면 상승에 의한 해안지역 침수모의기법 개발)

  • Kim, Won Bum;Son, Kwang Ik;Jung, Woo 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92-292
    • /
    • 2018
  • 2016년 태풍 "차바"로 인한 부산과 울산지역의 침수 및 2003년 발생한 태풍 "매미"로 인한 마산창원지역의 침수사례는 우리나라 해안도시유역이 해수면 상승에 의한 피해에 노출되어 있음을 간접적으로 입증하는 대표적 사례라 할 수 있다. IPCC 4차 평가보고서에 따르면 전 지구적 차원에서 지난 100년 동안 해수면은 약 1.7 m 상승하였으며, 1961~2003년 사이 해수면 상승률은 연평균 3.1 mm에 이르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 남해안은 연평균 3.4 mm씩 상승하고 있어 전 세계 해수면 평균 상승속도를 상회하고 있다. 또한 1990년대 이전보다 이후 기간에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 태풍의 수가 많으며 평균적으로 태풍의 강도 및 해일고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전 지구적 해수면 상승과 태풍해일고 증가에 따른 복합적인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해안유역의 침수피해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미래 발생 가능한 수퍼태풍에 의한 급격한 해일고의 상승은 해안유역에 침수피해를 더욱 가중시킬 것이라 예상된다. 특히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침수피해 특성은 홍수유출에 의한 내륙 침수피해와는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어 이에 대한 대응기법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수면 상승에 따른 해안도시지역 대한 침수피해 예방 및 저감을 위한 침수모의기법을 개발하고 효율적 대응방안을 선정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부정류 특성을 지닌 해수면 상승 경계조건 및 건물 간 도로를 통해 흐름이 발생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해안지역의 시공적 침수규모 및 유속 등을 예측할 수 있는 2차원 수치모형을 개발하였다. 2003년 발생한 태풍 "매미" 발생 기간 동안 관측된 실제 해일고를 적용하여 창원 등 해안도시유역에 범람모의를 수행하였으며 실제 침수흔적과 비교함으로써 모형을 검증하였다. 또한 해안 경계선을 따라 월파방지벽을 설치하는 경계조건을 도입하여 월파방지벽 높이에 따른 해안도시유역 침수규모를 산정하여 월파방지벽 높이에 따른 시공적 침수규모를 분석함으로써 월파방지벽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해안지역 지점별 침수규모 및 최대 침수심 발생시간을 제공함으로써 침수에 따른 중장기적 구조적 대응방안 수립은 물론 초단기적 예상 해수면 상승에 다른 대피경로 제공 등 비구조적 수재해 대응 기법을 제시하는 기초자료를 제공에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