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노인 인식

검색결과 981건 처리시간 0.026초

요양보호사의 구강보건 지식, 구강건강 인식이 요양시설 노인의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Oral Health Knowledge and Awareness of Caregivers in Charge on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n Nursing Homes)

  • 김현정;채경숙;김수연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4권6_2호
    • /
    • pp.809-818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oral health knowledge and awareness of caregivers in charge on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n nursing homes. Data were collected from 115 elderly without dementia and their 115 caregivers in nursing facilities in S and C citi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2.0 program. The average score for oral health knowledge and awareness of the caregivers were 11.62, 39.22 points each and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as 40.62 points. Oral health knowledge, awareness of caregivers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showed a difference according to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of the caregivers (𝜌<.001), the nursing facility evaluation grade (𝜌=.016), and the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𝜌=.008), working hours of 40 hours or less per week of caregivers (𝜌=.008) each in order.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ere the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the working hours per week of the caregivers and the facility evaluation grade. This findings imply that developing customized program and the work environment improvement for caregivers should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n nursing homes.

충청남도 홍성군관내 노인환자의 치과 임플란트 보험수급 인식도와 치과진료기관 선정 요건에 관한 분석 (An analysis of the perceptions of dental implant plans in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and the dental clinic selection criteria among elderly patients in Hongseong-gun, Chungcheongnam-do)

  • 한민수;권은자;최에스더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24-131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dental implant insurance supply and demand for the elderly living in Hongseong-gun and Chungcheongnam-do, as well as the selection criteria regarding dental clinics for dental implant treatment to collect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oral health of the elderly population. Methods: Participants living in Hongseong-gun, Chungcheongnam-do who were at least 55 years old from November 2020 to March 2021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chi-square test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age-specific perception of insurance-covered dental implants (p<0.05). Results: The age group that was the most interested in implants was the 70s age group,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is age group and the other age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ose in their 70's, 80's, and 90's or older paid about 600,000 won including dental implants covered by insurance,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05). Those in their 60s, 70s, and 80s estimated the highest value of implants covered by insurance as two an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05). The awareness of the dental implant insurance by age showed that all age groups, except for the ≥90 years age group, considered the insurance to be mediocre mostly due to the large co-payment (p<0.05). Conclusion: There were differences by age in the awareness of dental implant insurance, co-payments, number of applications, and insurance coverage. The perceptions on dental implant insurance by age showed that all age groups except for those over 90 years and older, they considered the insurance was just mediocre the most.

재가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업의식 매개효과 검증 (The Mediating Effort of Vacational Conscious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in Long-Term Care Worker)

  • 김선희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569-576
    • /
    • 2019
  • 본 연구는 재가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직업의식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그 결과를 기초하여 재가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려는 목적으로 수행하게 되었다. 연구대상은 서울·경기지역에서 일하고 있는 재가요양보호사 44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목적을 위해 자료분석은 SPSS 통계패키지를 활용하여 기술분석과 상관관계 분석 및 다중공선성 확인 후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재가요양보호사가 연령이 낮고, 월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높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가요양보호사가 직무스트레스를 높게 인식할수록 이직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의식이 높을수록 이직의도는 낮게 나타났다. 넷째, 재가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직업의식을 부분 매개하여 이직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재가요양보호사의 이직을 예방하고 노인돌봄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임상적·정책적 실천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노인들의 식품위생·안전에 대한 인식, 지식과 행동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Awareness, Knowledge, and Behavior about Food Hygiene·Safety Among the elderly)

  • 이미숙;이심열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00-210
    • /
    • 2021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knowledge, and behavior about food hygiene·safety among the elderly, and to provide basic data on this for their healthy dietary life.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survey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on 473 elderly people over 60 years old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The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examine general characteristics, meal preparation status, the relation between awareness, knowledge, food hygiene behavior, and safety. Results: Among the particpants, 44.2% of the total people surveyed were elderly married couples, and 14.0% were single-person households. For men, most of the meals were prepared by the spouse (74.1%), and among women, 93.8% prepared their meals themselves (P < 0.001). 61.3% of the total subjects answered that they were very interested in food hygiene and safety. Men (32.4%) thought it was more difficult to collect food hygiene·safety information compared to women (14.0%, P < 0.001). The knowledge score about food hygiene·safety was 0.60 (P < 0.05) and the behavior score was 3.70 (P < 0.001).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knowledge and behavior according to food hygiene·safety was 0.371 (P < 0.001). Conclusions: The food hygiene·safety behavior of the elderly was associated with knowledge (P < 0.001). Therefore, food hygiene·safety education is necessary to ensure information availability and promote the health of the elderly.

60+ 고령자의 생산성에 대한 기업의 평가와 영향요인 (Elderly(60+) and Productivity : Factors Influencing in Performance Evaluation of Elderly Employees)

  • 김문정;김홍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571-580
    • /
    • 2018
  • 이 연구는 기업 및 사업체 인사담당자의 경험적 사실에 주목하여 60세 이상 고령근로자의 생산성을 평가하고 고령근로자의 생산성 향상에 직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분석 결과, 고령근로자의 생산성 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업무에 대한 태도, 전문성으로 나타났다. 노화에 따른 신체적 역량 저하는 고령근로자의 생산성 평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신체적 역량을 고려한 업무재배치 및 직무재설계, 안전교육, 근로자간의 공감대 형성이 고령근로자의 업무성과를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고령근로자의 축적된 경력 및 전문성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업무배치와 신체적 역량을 보완할 수 있는 근무환경 조성이 생산성 향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한다.

중년 여성가구주의 노후준비 경험: 직업이 있는 여성가구주를 중심으로 (Female Middle-Aged Householders' Experiences in Preparation for Old Age: With Focus on Career Female Householders)

  • 이남;한정란
    • 한국노년학
    • /
    • 제37권1호
    • /
    • pp.151-171
    • /
    • 2017
  • 본 연구는 사회변동의 한 실태로 나타나는 다양한 가족형태 중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40세 이상 60세 미만의 직업이 있는 중년 여성가구주를 대상으로 그들의 현재 삶을 생생히 들여다보고 노후를 위한 준비 현황을 파악함으로써 여성가구주에 대한 삶을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여성가구주가 된 배경 및 여성가구주로서 삶에 적응하기까지의 삶의 궤적과 향후 노후준비를 해가는 경험에 대한 본질과 의미를 탐색하고자 Colaizzi의 현상학적 질적 분석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4년 9월~12월까지 총 4개월에 걸쳐 진행하였으며, 1회당 1시간~1시간 30분의 개방형 질문을 통한 인터뷰를 총 2회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자세한 답변에 대한 불충분한 부분은 전화나 메일을 통해 추가하였다. 본 연구의 본질주제는 <외발로 선 낯선 세상>, <서서히 밀려오는 노후불안>, <힘이 되어주는 울타리>, <한걸음 다가선 자립적 노후준비>, <채우고 싶은 반쪽>, <노후 삶에 대한 소망> 등 6개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중년 여성가구주에게 노후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보 제공과 노후대비 교육 및 노후 적응프로그램 등 국가적인 지원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연구의 제한점과 의의, 그리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한국 노인의 연령 세분화에 따른 식사의 질과 주관적 건강 관련 인식 및 만성질환의 연관성 (Association of Dietary Quality with Subjective Health-Related Perception and Chronic Diseases According to Age Segmentation of Korean Elderly)

  • 이소정;이승민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363-381
    • /
    • 2021
  •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Korean elderly's dietary intake status, subjective health-related perception and chronic disease prevalence among age groups. Associations of dietary quality with subjective health-related perception and chronic diseases were also examined. Methods: Based on data from the 7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 total of 3,231 elderly were selected and categorized into 4 age groups of '65 ~ 69', '70 ~ 74', '75 ~ 79' and 'over 80'. Nutrient intakes, proportions of those with insufficient nutrient intakes, Korean Healthy Eating Index (KHEI), some subjective health-related perceptions and prevalence of major chronic diseases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age groups. Differences in the subjective health-related perceptions and odds ratios of the chronic diseases according to the quartile levels of KHEI within the same age group were analyzed. Results: With the increase of age, several nutrient intakes (P < 0.001) and KHEI scores significantly decreased (P < 0.01). In women, activity restriction increased (P < 0.05), and EQ-5D score decreased with age (P < 0.001). Prevalence of hypertension (P < 0.0001), hypercholesterolemia (P < 0.05) and anemia (P < 0.01) significantly increased, while hypertriglyceridemia (P < 0.01) significantly decreased only in men. Obesity prevalence decreased, while underweight prevalence increased (P < 0.05). Subjective health status, EQ-5D score and PHQ-9 score significantly improved as KHEI score increased in certain age groups of women (P < 0.05). Odds ratio of hypercholesterolemia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KHEI score in 65 ~ 69-year-old women. However, hypertension and anemia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KHEI score in 75 ~ 79-year-old women (P < 0.05). Conclusions: The study findings suggest that nutrition management and policy for the Korean elderly need to apply a segmented age standard that can better reflect their dynamic characteristics.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 교육 시스템 (OnDot: Braille Training System for the Blind)

  • 김학진;문준혁;송민욱;이세민;공기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41-50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점자 학습 제품의 단점들을 보완한 점자 교육 시스템을 다룬다. 시각장애인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편의성을 위해 터치 제스처 및 음성 안내를 통하여 전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점자키트는 아두이노와 3D 프린팅을 통해 교육 목적에 맞게 제작한다.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기능들을 지원한다. 첫 째, 초성·종성·모음·약어 등 기초적인 점자의 학습. 둘 째, 단계별 퀴즈를 풀어 학습한 점자를 확인하는 기능. 셋 째, 모르는 점자가 있을 때 번역하는 기능이다. 실험을 통한 터치 제스처의 인식률과 점자 표현의 정확도를 확인하였고 번역의 경우 의도한대로 번역이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시스템을 통해 시각장애인이 효율적으로 점자를 학습할 수 있다.

Skeleton Keypoints를 활용한 CNN3D 기반의 버스 승객 승하차 예측모델 (CNN3D-Based Bus Passenger Prediction Model Using Skeleton Keypoints)

  • 장진;김수형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1권3호
    • /
    • pp.90-101
    • /
    • 2022
  • 버스는 대중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교통수단이다. 그만큼 승객의 안전관리를 위해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하지만 2018년 승차하기 위해 접근하는 노인을 인지하지 못하고 버스가 출발하면서 사망사고가 발생하는 등 안전 시스템이 미흡한 상황이다. 기존에 뒷문 계단 쪽 센서를 통해 끼임 사고를 방지하는 안전 시스템은 있지만, 이러한 시스템은 위 사고처럼 승하차하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고를 예방하진 못한다. 버스 승객의 승하차 의도를 예측할 수 있다면, 위와 같은 사고를 예방하는 안전 시스템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그러나 승객의 승하차 의도를 예측하는 연구는 부족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버스에 부착된 카메라 영상에서 UDP-Pose를 통해 승객의 skeleton keypoints를 추출하고, 이를 활용한 1×1 CNN3D 기반의 버스 승객 승하차 의도를 예측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한 모델은 승객의 승하차 의도를 예측하는 부분에서 RNN, LSTM 모델보다 약 1~2% 높은 정확도를 보여준다.

소셜네트워크를 활용한 프로젝트기반학습(PBL) 적용이 작업치료과 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oject Based Learning(PBL) Application Using Social Networks on Problem Solving Ability of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 이나윤;박주영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57-65
    • /
    • 2020
  • 본 연구는 소셜네트워크를 활용한 PBL 수업 적용이 작업치료과 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9년 3월부터 6월까지 K대학교 작업치료과 3학년 재학생 총 3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셜네트워크를 활용한 PBL을 적용하였을 때 문제해결능력의 세부항목에서 문제인식, 분석능력, 의사결정, 기획력, 평가, 피드백 영역에서 향상을 나타냈다. 둘째, 학생들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학습할 때 모바일 기기 이용 선호도와 전공만족도에 따라 문제하결능력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작업치료과 재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학습도구로 소셜네트워크를 활용한 PBL을 활성화시켜 학습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