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노인이동성

Search Result 119,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Trends of Life-Space Mobility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지역사회 거주 노인 대상의 생활공간 이동성(Life-space mobility) 연구 동향)

  • Jeong, Eun-Hwa
    •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 /
    • v.10 no.1
    • /
    • pp.19-35
    • /
    • 2021
  •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systematically examine studies on the life-space mobility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and analyze and summarize the research trends. Methods : The Embase and PubMed databases were searched for articles on the life-space mobility of community-dwelling elderly published between January 2010 and January 2020. Based on the selection and exclusion criteria of the 335 articles, a total of 27 articles were finally selected and analyzed. Results : As a results, 11 (40.7%) cohort studies had evidence level II. This study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in the studies were healthy elderly (81.5%), and the University of Alabama Life-Space Assessment (UAB-LSA) used the most participants (88.9%). Of the foci of the 27 finally selected studies, 8 (29.6%) were physical, 8 (29.6%) were psychosocial, 6 (22.2%) were cognitive, and 2 (7.4%) were social, and 3 (11.1%) were others. The life-space mobility of the elderly needs to be analyzed from a multidimensional point of view, and not based on a single factor such as the physical, cognitive, psychosocial, or social.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verify causality through the study of life-space mobility for the elderly staying in various communities and provide future directions for the study on the mobility of the elderly's and the development of community-based intervention programs.

A Study on the Disaster Safety Manual for Elderly People with Mobility Disabilities in Disaster Situations (재난상황에서 이동이 취약한 노인의 재난안전 매뉴얼에 관한 연구)

  • Kwon Seung 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201-202
    • /
    • 2022
  • 산업의 발달과 자연환경의 급속한 변화로 재난은 어떠한 모습으로 우리곁에 나타날지 모릅니다. 아무도 예상하지 못했던 코로나19는 전 세계 모든 사람들의 삶을 바꿔놓았습니다. 우리나라는 저출산과 의학의 발달로 인해 급속도로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고있고 재난상황에서 이동이 취약한 노인의 재난안전 매뉴얼 및 안전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있습니다. 이를 위해 노인의 취약성 분석, 기존 매뉴얼 분석이 필요합니다. 재난은 예방을 통해 발생했을 때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하고 사전에 반복학습을 통해 대응능력을 키우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재난은 누구나 처음격게 되면 대처능력이 부족합니다. 철저한 대비만이 재난을 국복할 수 있습니다. 이동이 취약한 노인의 경우 재난 대피 상황에서 몸에 익힌 대응눙력만이 자신의 생명을 구할 수있습니다. 재난 안전매뉴얼에 대한 포괄적인 재난안전 분석을 적용, 현실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연구가 필요합니다.

  • PDF

The Effect of Old Korean's Interactions with their Children on Residential Mobility (자녀와의 교류가 노인 주거이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 Jinyhup Kim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14 no.2
    • /
    • pp.1-17
    • /
    • 2023
  • In Korea, the population size of the elderly is rapidly increasing, and housing for them is emerging as an important issue. In particular, Aging in Place (AIP) has steadily been presented as a direction of welfare for the elderly.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effect of the interactions of the elderly with their children on residential mobility for older Koreans. To do so, this study employed random effect logistic regression models with the dataset of the 2008-2020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interaction with their children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residential mobility for older Koreans in both metropolitan areas and non-metropolitan areas. Second, as age increased, the interaction with their children tended to further promote residential mobility for older Koreans, but such effects varied depending on related variables.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possibility of further promoting residential mobility for older Koreans increased through the interaction effects of the variables associated with the interaction with their children. This study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for the residential mobility of older Koreans, i.e., whether the interactions with their children improve independent residential environments by enhancing housing stability, in terms of AIP.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and Medical Facilities for the Elderly and the Life of Those Using the Facilities of the Capital Region (수도권 노인 주거.의료 서비스 시설과 그 이용자 생활의 공간적 특성)

  • Song, Kyoung-Eon;Park, Sam-Ock;Kim, Sang-Bi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4 no.4
    • /
    • pp.394-417
    • /
    • 2008
  • The population of Korean Society is aging rapidly at a pace which is unprecedented in the world. This demographic change results in the various socioeconomic and cultural changes accompanied by spatial chan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ajor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medical facilities for the elderly and the life of those using the facilities of the Capital Region in Korea.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tion of residential medical facilities for the elderly and the life of those using the facilities are influenced not only by the mobility of the elderly. but also by the distance between the facilities and Seoul and also by the residential environments of the facilities. The location of the facilities and the mobility of the elderly, followed by the residential location of the family have an effect on everyday life of the elderly. Therefore, the location for residential medical facilities is not recommended to be far from the metropolitan area.

  • PDF

노인의 항산화 영양상태와 만성질환 및 면역기능과의 관련성 연구

  • 김미정;김정희
    •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 /
    • 2004.05a
    • /
    • pp.392.2-394
    • /
    • 2004
  • 최근 우리나라는 노인인구가 급격히 증가되고 있고, 주요사망원인이 만성퇴행성 질환으로 이동하고 있다. 노화는 산화-환원의 균형이 깨져 산화 촉진쪽으로 반응이 진행되어 일어나며, 이러한 산화적 스트레스의 증가는 당뇨병이나 고혈압과 같은 만성질환의 유병율을 높이고, 또한 면역기능에도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노화 억제 및 만성질환의 예방을 위한 항산화 영양소의 건강증진 효과에 대한 연구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들의 항산화 영양상태를 평가하고, 만성질환 중 유병율이 높은 당뇨병, 고혈압에 따른 항산화 영양상태와의 관련성 및 노인들에게서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진 면역기능과의 관련성을 조사하기 위해 3차에 걸친 연구를 수행하였다.(중략)

  • PDF

Walk assistance robot development that grasp of walk will for old man and disabled person (노인 및 장애인의 보행의지를 파악하는 보행보조기 구현)

  • Lee, Dong-Kwang;Hong, Jung-Shik;Kwon, Oh-Sang;Nam, Eun-Suk;Lee, Eung-Hyu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4a
    • /
    • pp.236-237
    • /
    • 2008
  • 이 논문은 노인 및 장애인의 활동을 보조하기 위한 보행보조 로봇의 핵심 기술인 사용자의 진행하고자 하는 방향과 속도를 검출하는 보행의지 파악시스템 구현을 하고자 한다. 최근에 노인인구의 증가로 인해 노인 및 장애인을 위한 보행 보조기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동력이 없는 시스템으로 경사 등의 공간에서 취약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동력형 보행보조기에 대만 관심이 증가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보행보조기 조종이 여의치 않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보행의지를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입하고 이를 기초로 보행자의 안정적인 구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사용자의 의지력은 FSR 센서를 이용하여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사용자가 이동하고자 하는 이동 방향과 이동속도 데이터를 기초로 보행보조기의 차량 속도와 방향에 대해 구동 바퀴의 차동구동을 통해 사용자의 의지에 맞춰 구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하려는 의지에 대해 안정적으로 차량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보행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또한 사용자자의 힘에 대한 속도 및 방향 매핑 기법을 개발하여 보행의지의 정확성을 높였다.

  • PDF

An Analysis on the Equity of Public Transit Service using Smart Card Data in Seoul, Korea - Focused on the Mobility of the Disadvantaged Population Groups - (스마트카드 자료를 활용한 서울시 대중교통 서비스 형평성 분석 - 취약계층 유형별 이동성을 중심으로 -)

  • Lee, Hojun;Ha, Jaehyun;Lee, Sugie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33 no.3
    • /
    • pp.101-113
    • /
    • 2017
  • This study examines the mobility of the disadvantaged population groups in terms of public transportation using the 2014 smart card data in Seoul, Korea. Particularly, we focus on the disadvantaged population such as senior group, junior group, and low-income population group. Based on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public transportation mobility levels and the disadvantaged population groups, we identify specific areas where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 should be improved for the disadvantaged population. As a result, we identify 15 administrative-dongs where the ratio of the disadvantaged population is high while the mobility index of public transit is low. The main contribu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use the smart card data which contains the information of actual trip made by individuals and develop the evaluation process of urban mobility for the disadvantaged population groups. Second, we identify the specific areas where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 should be improved for the different group of the disadvantaged population. Lastly, we discuss policy implications to improve the urban mobility of the disadvantaged population.

An Analysis on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Determimative Factors with the Performance Evalution in the Elderly Welfare Facilities (노인복지시설 성과평가의 결정요인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 분석)

  • Lee, Do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09.01a
    • /
    • pp.337-344
    • /
    • 2009
  • 본 연구는 노인복지시설의 성과평가에 미치는 우선순위 결정요인을 파악한다.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통하여 노인 복지시설에 미치는 결정요인을 설정하였다. Saaty의 계층분석과정(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를 활용하여 각각의 결정요인들에 대한 가중치와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노인복지는 특정한 분야로 한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양적인 방법만으로 설명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질적 및 양적 방법을 활용할 수 있는 계층분석과정방법과 SPS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노인복지시설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투입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예산이 가장 높게 나왔으며, 산출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는 운영체계화와 노인복지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세부항목 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는 결산서와 전문인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시설유형별 투입요인은 이용시설과 생활시설 모두 예산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산출요인은 이용시설은 운영체계화, 생활시설은 노인복지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노인복지시설에 미치는 결정요인에 따른 몇 가지 구체적인 정책적 시사점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 PDF

Walk assistance robot handlebar development that grasp of walk will (보행의지를 파악하는 보행보조로봇 핸들바 구현)

  • Lee, Dong-Kwang;Kong, Jung-Shik;Kwon, Oh-Sang;Nam, Eun-Suk;Lee, Eung-Hyu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4a
    • /
    • pp.259-260
    • /
    • 2008
  • 이 논문은 노인 및 장애인의 활동을 보조하기 위한 보행보조 로봇의 기술인 사용자의 진행하고자 하는 방향과 속도를 검출하는 보행 보조 로봇의 조향 장치를 구현 하고자 한다. 최근에 노인인구의 증가로 인해 노인 및 장애인을 위한 보행 보조기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동력이 없는 시스템으로 경사 등의 공간에서 취약성을 가지 고 있다. 이에 동력형 보행보조기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대부분의 경우 보행보조기의 제어가 조정한다는 의미가 적합하였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움직임이 손에 전달되는 힘에 의해 사용자의 의지력을 파악 하는 두가지형태의 조향장치를 구현하였다. 첫째로 가변저항을 이용하여 보행의지를 파악하고, 두 번째로 힘센서를 이용하여 보행의지를 파악하였다. 위 두가지 센서를 기초로 사용자가 이동하고자 하는 이동 방향과 이동 속도 데이터를 기초로 보행보조기의 차량 속도와 방향에 대해 구동 바퀴의 차동 구동을 통해 사용자의 의지에 맞춰 구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