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노인생활체육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31초

궁도 참여 노인의 정신건강, 여가 유능감이 궁도 참여도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구조모형 분석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Mental Health and Leisure Competence on Participation in Archery and Satisfaction with Life)

  • 김홍남
    • 한국노년학
    • /
    • 제32권4호
    • /
    • pp.1013-1023
    • /
    • 2012
  • 본 연구는 궁도참여 노인의 정신건강, 여가유능감이 궁도활동 참여를 통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1년 6월부터 10월까지 전라도지역 궁도생활체육동호회 소속의 궁도장 및 궁도대회에 참여하는 노인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연구목적을 설명한 후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을 이용하여 총35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총328을 통계처리에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는 여가유능감, 우울감,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 관련 문항은 선행연구에 사용한 설문지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통계기법으로는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노인의 자아존중감이 커질수록 궁도활동 참여도가 높아지며 이어 생활만족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우울감이 낮을수록 궁도활동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궁도활동 참여를 통해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셋째, 노인의 여가유능감은 궁도활동으로 끌어내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아 가설이 기각됐다.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우울감은 정신건강에 따라 궁도활동 참여도를 끌어내는 요인이 되며 궁도참여를 통해 생활만족도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VR 활용 홀니스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Wholeness Program Using Virtual Reality(VR) 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the Elderly with Demented)

  • 김영미;홍혜전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7권2호
    • /
    • pp.387-397
    • /
    • 2018
  • 이 연구는 VR 시청 여부에 따른 홀니스 프로그램 참여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신경과 전문의로부터 치매 진단을 받은 75세 이상의 노인 8명으로, 15분 간 VR 시청 후 홀니스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 4명과 VR을 시청하지 않고 홀니스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조군 4명으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은 2017년 3월 6일부터 4월 14일까지 주 2회 60분씩 서울시 K1과 K2 노인복지관에서 진행하였으며, 사전, 사후 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한 후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두 집단 사이에 인지기능과 일상생활수행능력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VR 시청 여부에 따른 홀니스 프로그램 참여는 치매노인의 우울 변화에 효과가 있었다. 즉 VR 시청 후 진행되는 홀니스 프로그램 활동은 치매노인의 우울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코로나19 시대 건강증진을 위한 노인체육 활성화 방안 (A Plan for Activating Elderly Sports to Promote Health in the COVID-19 Era)

  • 조경환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141-160
    • /
    • 2020
  • 본 연구는 장기화에 따른 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에 대비하고자 노년기의 건강증진을 위한 체육의 활성화 방안을 구체적으로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문헌연구방법을 통해 노년기의 건강상태와 코로나19 관련 분석, 노년기의 건강증진 정책과 사업 제시, 그리고 코로나19 시대의 건강증진을 위한 노인 체육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국민체육진흥법과 노인복지법 및 관련 법 등의 개정 또는 전면 개정을 통해 노인건강을 위한 노인보건 및 노인체육의 발전적이고 융합적인 법 제정과 이에 따른 제도적인 장치 마련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둘째,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에 착안하여 체육 분야 뉴딜 사업의 일환으로 노인들을 위한 디지털통합플랫폼을 구축하여 노년층에 맞는 시설-프로그램-정보-일자리 창출 등이 연계되도록 지원 시스템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셋째, 노인복지 전문가를 육성한다. 대학에서의 노인체육 및 관련학과를 확대 개설하고 노인여가복지시설 등에 노인스포츠지도사를 의무적으로 배치해야 할 것이다. 넷째, 노년층을 위한 건강과 관련한 콘텐츠를 개발한다. 이는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시뮬레이션을 통한 움직임을 조작하여 다양한 동작들을 수행함을 의미한다. 다섯째, 노인체육 및 관련 분야 연구개발에 투자를 확대한다. 이는 다학제간 통합적 협력연구를 통해 체계적이고 실용적인 건강한 노화 및 활기찬 노화 등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의미한다. 여섯째, 국무총리실 산하에 노인관리청(노인건강청) 신설 운영을 촉구한다. 이는 전 생애적인 노인건강관리와 언텍트 및 뉴노멀 시대에 대응하는데 노인관리청 신설을 통해 노인의 건강증진 관련 기능 수행의 독립성을 보장하고 아울러 노년기의 건강증진, 일상생활 기능의 유지 및 재활, 사회적 적응, 장기요양의 문제 등을 모두 포함하여 종합적으로 운영이 되어야 한다.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참가와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성공적 노화의 관계 (Relation between Leisure Sports' Activities among Older Adults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Successful Aging)

  • 김경식;이은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424-432
    • /
    • 2010
  • 이 연구는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경험에 따른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성공적노화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 참가정도가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연구는 서울시에 거주하고 노인대학 및 노인복지관, 노인체육동호인조직에 소속된 65세 이상의 노인을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유목적표집법을 활용하여 300명을 표집하였다, 그러나 실제 분석에 사용된 사례수는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자 162명, 비참가자 128명으로 총 290명이다. 요인분석결과 일상생활수행능력의 경우 수단적, 기본적 일상생활수행능력, 그리고 성공적노화의 경우 사회적, 심리적 노화의 하위요인이 도출되었다. 신뢰도는 일상생활수행능력 $\alpha$=.876이상, 성공적 노화 $\alpha$=.807이상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통계분석 방법은 ANCOVA, 다중회귀분석, 경로분석의 통계기법이 활용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하여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경험에 따라 일상생활수행능력은 차이가 없다. 둘째,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노인이 비참가 노인에 비해 성공적 노화를 더 높게 성취한다. 셋째, 노인의 여가스포츠 참가강도가 높을수록 수단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은 높다. 넷째, 노인의 여가스포츠 참가빈도가 많고 참가강도가 클수록 사회적인 성공적 노화, 그리고 참가빈도가 많고 참가기간이 길수록 심리적인 성공적 노화를 경험한다. 다섯째,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정도는 일상생활수행 능력 및 성공적 노화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12주간 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인지기능, 불안 및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xercise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in Elderly)

  • 안상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7호
    • /
    • pp.401-408
    • /
    • 2019
  • 본 연구는 요양원에 입소한 노인을 대상으로 12주간의 운동프로그램 실시가 인지기능, 우울과 불안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S시 H요양원에 입소한 노인 60명이며, 정신상태 판별검사와 노인 우울척도, 불안 측정, 생활 만족도를 설문조사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의 인지기능, 우울과 불안 및 생활만족도 모든 요인에서 12주간의 운동프로그램 실시 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규칙적인 운동프로그램은 노인의 정신상태 인지기능과 우울, 불안 및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장기요양시설에서의 노인들에게 적절한 운동의 형태와 프로그램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12주간의 댄스스포츠운동이 비만노인여성의 신체조성, 아이리신, 아디포넥틴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12-Weeks Dance Sports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Irisin, Adiponectin and Blood Lipids in Obesity Elderly Women)

  • 이진욱;장석암;김찬양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8권1호
    • /
    • pp.271-284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12주간의 댄스스포츠가 비만노인여성의 신체조성, 아이리신, 아디포넥틴 및 혈중지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비만노인여성을 위한 효과적인 운동프로그램을 제안하는데 있다. 의학적 질환과 증상이 없는 65세 이상 비만노인여성 26명을 대상으로 운동군 13명과 대조군에 13명을 무작위 배정하여 실시하였으며. 운동군은 12주간, 주 2회, 일일 60분 댄스스포츠를 실시하였고 대조군은 동일 처치 기간 동안 일상생활을 유지하도록 했다. 이 연구의 결과에서 혈중 아이리신 농도는 운동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아디포넥틴 농도는 운동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혈중지질의 TG, LDL-C농도는 운동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TC과 HDL-C농도는 운동군에 감소 및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낮은 수준의 아이리신과 아디포넥틴, 혈중 콜레스테롤이 댄스 스포츠 운동 후 비만노인여성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나 노인 비만 관리를 위한 좋은 운동으로 사료된다.

건강을 위한 여성고령자의 노인체력수준 차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Senior Fitness Levels for Health Life in the Elderly Women)

  • 안용덕;신정훈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367-375
    • /
    • 2019
  • 본 연구는 여성고령자들의 비만도와 신체활동수준에 따른 신체구성요인 및 노인체력수준 차이 비교를 통하여 여성고령자의 건강증진생활과 여성노인들에게 효과적인 건강증진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비만도 분류에 따른 신체구성요인은 혈압 고, 노인체력에서는 의자에서 일어섰다 앉기, 아령 들기, 2분제자리 걷기, 2.4m 왕복걷기에서 시기와 그룹 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만도수준이 높을수록 노인체력의 의자에서 일어섰다 앉기, 아령들기, 2분 제자리걷기의 체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신체활동수준에 따른 신체구성요인은 혈압 고, 노인체력에서는 의자에서 일어섰다 앉기, 아령 들기, 의자앉아 앞으로 굽히기, 2분 제자리걷기, 2.4m 왕복 긷기에서 시기와 그룹 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체활동량이 많을수록 노인 체력의 의자에서 일어섰다 앉기, 아령들기, 2분 제자리걷기, 의자앉아 앞으로 굽히기, 2.4m 왕복걷기의 체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건강증진프로그램 참여는 노인여성들의 건강과 관련된 신체구성요인과 노인체력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스포츠 활동 참여동기가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lderly Sports Activities Participation Motivation on Leisure Satisfaction)

  • 오경아;김화룡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295-1306
    • /
    • 2018
  • 본 연구는 노인의 스포츠 활동 참여동기가 여가만족에 미치는 목적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생활체육 프로그램을 참여하고 있는 노인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2018년 9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총 2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불성실하게 응답했거나 조사내용의 일부가 누락도어 신뢰성이 떨어지는 자료 53부를 제외한 197부를 유효표본으로 설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1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 스포츠 활동 참여동기 요인 중 내적동기는 심리적 만족, 교육적 만족, 생리적 만족 등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외적동기는 사회적만족, 휴식적 만족 요인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무동기는 심리적 만족, 사회적 만족, 교육적 만족, 휴식적 만족, 환경적 만족에 영향을 미쳤다.

전후기 여성 독거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 요인 (The Factors of Affecting o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r Young-Old and Old-Old in Women Living Alone)

  • 김향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59-72
    • /
    • 2019
  • 본 논문은 전후기 여성 독거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는 서술적 조사 연구로 2017년 <여성 독거노인의 통증, 영양위험, 외로움, 지각된 건강상태가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인 일차연구 자료와 추가 수집한 자료 총 85부를 이용한 이차분석 연구이다. SPSS/WIN 18.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전기 여성 독거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 요인은 통증, 규칙적인 운동, 사회적지지 순으로 설명력 70.6%이며 후기 여성 독거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 요인은 규칙적인 운동, 일상생활수행능력, 통증 순으로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설명력은 69.7%로 나타났다. 따라서 통증 감소를 위한 방안과 사회적지지 체계의 강화, 생활체육 활성화 및 그에 따른 일상생활 수행 유지를 위한 노력 등의 모색을 통해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 시킬 필요가 있다.

복합운동이 여성노인의 낙상관련 건강체력, 낙상위험도, 자세균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Training on Physical Performance, Falling Risk and Balance in Elderly Women)

  • 박혁;김대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371-378
    • /
    • 2021
  • 본 연구는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낙상예방을 위한 12주간 복합운동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낙상관련 건강체력, 낙상위험도, 자세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대상자는 운동그룹 16명 통제그룹 16명으로 총 32명이 참여하였다. 운동그룹은 복합운동프로그램을 주 3회 60분씩 12주 동안 실시하였고 통제그룹은 같은 기간 동안 일상적인 생활을 하였다. 여성노인들의 낙상관련 건강체력은 노인체력검사(SFT: senior fitness test)중 동적평형성, 2분 동안 제자리걷기, 30초 동안 일어섰다 앉기 검사를 측정하였다. 여성노인들의 낙상위험도는 Tetrax장비로 측정하고 자세균형능력은 Spine Balance 3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ver. 21을 이용하여 이원반복측정 변량분석(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을 실시하였고, 유의수준은 α=.05로 하였다. 본 연구결과 복합운동을 적용한 운동그룹은 동적평형성(p=.001), 2분 제자리걷기(p=.001), 30초 동안 일어섰다 앉기(p=.001), 낙상위험도(p=.002), 자세균형(p=.034)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보였지만 통제그룹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보면 여성노인들의 12주간 복합운동프로그램 참여가 그들의 건강체력과 자세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낙상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