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the Effect of Mental Health and Leisure Competence on Participation in Archery and Satisfaction with Life

궁도 참여 노인의 정신건강, 여가 유능감이 궁도 참여도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구조모형 분석

  • Kim, Hong Nam (Division of Physical Education, Chosun University)
  • 김홍남 (조선대학교 체육대학 체육학부)
  • Received : 2012.08.30
  • Accepted : 2012.11.07
  • Published : 2012.11.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mental health and leisure competence of senior citizen through participation in archery activity on satisfaction in their life. To achieve the purpose, the study interviewed members of the Archery and Sports Association living in Gwangju, Jeonnam and Jeonbuk using a questionnaire and collected 328 valid responses. The questions as measuring instruments such as leisure competence, depression, self-esteem, and satisfaction level which were developed by previous studies were revised for this study. For a statistics, a frequency analysis, a descriptive analysis, a correlation analysis, and a structural model analysis were conducted. As a result, first, the higher self-esteem of the subjects, the more they participated in archery and were satisfied with their life. Second, the lower depression they had, the more they participated in archery and were satisfied with their life. Third, as leisure competence of the subjects was not a main factor of archery participation, the related assumption was rejected. The mental health of the senior citizen such as self-esteem and depression was a factor of participation in archery and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life grew higher through participation in archery.

본 연구는 궁도참여 노인의 정신건강, 여가유능감이 궁도활동 참여를 통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1년 6월부터 10월까지 전라도지역 궁도생활체육동호회 소속의 궁도장 및 궁도대회에 참여하는 노인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연구목적을 설명한 후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을 이용하여 총35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총328을 통계처리에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는 여가유능감, 우울감,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 관련 문항은 선행연구에 사용한 설문지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통계기법으로는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노인의 자아존중감이 커질수록 궁도활동 참여도가 높아지며 이어 생활만족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우울감이 낮을수록 궁도활동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궁도활동 참여를 통해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셋째, 노인의 여가유능감은 궁도활동으로 끌어내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아 가설이 기각됐다.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우울감은 정신건강에 따라 궁도활동 참여도를 끌어내는 요인이 되며 궁도참여를 통해 생활만족도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조선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