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코로나19 시대 건강증진을 위한 노인체육 활성화 방안

A Plan for Activating Elderly Sports to Promote Health in the COVID-19 Era

  • 조경환 (여주대학교 건강재활과)
  • Cho, Kyoung-Hwan (Department of Health Rehabilitation in Yeoju Institute of Technology)
  • 투고 : 2020.09.23
  • 심사 : 2020.10.27
  • 발행 : 2020.10.31

초록

본 연구는 장기화에 따른 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에 대비하고자 노년기의 건강증진을 위한 체육의 활성화 방안을 구체적으로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문헌연구방법을 통해 노년기의 건강상태와 코로나19 관련 분석, 노년기의 건강증진 정책과 사업 제시, 그리고 코로나19 시대의 건강증진을 위한 노인 체육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국민체육진흥법과 노인복지법 및 관련 법 등의 개정 또는 전면 개정을 통해 노인건강을 위한 노인보건 및 노인체육의 발전적이고 융합적인 법 제정과 이에 따른 제도적인 장치 마련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둘째,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에 착안하여 체육 분야 뉴딜 사업의 일환으로 노인들을 위한 디지털통합플랫폼을 구축하여 노년층에 맞는 시설-프로그램-정보-일자리 창출 등이 연계되도록 지원 시스템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셋째, 노인복지 전문가를 육성한다. 대학에서의 노인체육 및 관련학과를 확대 개설하고 노인여가복지시설 등에 노인스포츠지도사를 의무적으로 배치해야 할 것이다. 넷째, 노년층을 위한 건강과 관련한 콘텐츠를 개발한다. 이는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시뮬레이션을 통한 움직임을 조작하여 다양한 동작들을 수행함을 의미한다. 다섯째, 노인체육 및 관련 분야 연구개발에 투자를 확대한다. 이는 다학제간 통합적 협력연구를 통해 체계적이고 실용적인 건강한 노화 및 활기찬 노화 등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의미한다. 여섯째, 국무총리실 산하에 노인관리청(노인건강청) 신설 운영을 촉구한다. 이는 전 생애적인 노인건강관리와 언텍트 및 뉴노멀 시대에 대응하는데 노인관리청 신설을 통해 노인의 건강증진 관련 기능 수행의 독립성을 보장하고 아울러 노년기의 건강증진, 일상생활 기능의 유지 및 재활, 사회적 적응, 장기요양의 문제 등을 모두 포함하여 종합적으로 운영이 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ise a specific plan for activating sports to promote health in old age against the prolonged COVID-19 pandemic. Through literature review, it also analyzed the association between health status and COVID-19 in old age, suggested health promotion policies and projects for elderly people, and presented a plan for activating sport to promote health in old age against COVID-19 era. First,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relevant laws, including the Sport Promotion Act and the Elderly Welfare Act, partially or entirely, make developmental and convergent legislations for elderly health and sports, and establish an institutional device as needed. Second, it is necessary to build an integrated digital platform for the elderly and make a supporting system that links facilities, programs, information, and job creation as part of a New Deal program in the field of sports on the basis of the Korean New Deal. Third, it is necessary to train elderly welfare professionals. Efforts should be made to establish more departments related to elderly sports in universities and make it compulsory to place elderly sports instructors at elderly leisure and welfare facilities. Fourth, it is necessary to develop contents related to health in old age. This means performing diverse movements by manipulating them through a virtual reality (VR) simulation. Fifth, it is necessary to make a greater investment in research and development related to elderly sports and relevant fields. This means the need to conduct constant research on healthy and active aging in a systematic and practical way through multidisciplinary cooperation. Six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operate an elderly management agency (elderly health agency) under the influence of the Office of the Prime Minister. This means the need to secure independence in implementing the functions related to health promotion in old age and make comprehensive operation, which involves all the issues of health promotion in old age, daily function maintenance and rehabilitation, social adjustment, and long-term care, by establishing an elderly management agency in an effort to give lifelong health management to the elderly and cope with the untact, New Normal age.

키워드

참고문헌

  1. 김헌일(2020). 코로나19 사태와 체육시설 정책.제도 현안 분석: '체육시설의 설치.이용에 관한 법률 제10조'를 중심으로. 한국체육정책학회지, 18(3): 113-127.
  2.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202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국내발생현황. 정례브리핑, 2020.9.9.
  3. 한성주(2020). WHO, '60세 이상' 코로나 고위험군 명시. 국민일보,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4155568 2020.09.13.
  4.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202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국내발생현황. 정례브리핑, 2020.9.14.
  5. 박경혜, 이윤환(2006). 노인의 사회활동이 신체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6(2), 275-289.
  6. 이미숙(2004). 다양한 체험 활동을 활용한 바른 생활 습관 형성.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손용은(2015). 복합 운동프로그램이 치매 노인의 신체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Forbes, F. W., & Hirdes, P. J.(1993). Factors associated with the maintenance of good self-rated health, Journal of Aging and Health, 5(1): 101-122. https://doi.org/10.1177/089826439300500105
  9. 박성혜(2019). T. Parsons의 AGIL로 본 공공 노인체육 사업의 성과와 문제점 및 개선방안.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김헌일(2020). 코로나19 사태와 체육시설 정책.제도 현안 분석: '체육시설의 설치.이용에 관한 법률 제10조'를 중심으로. 한국체육정책학회지, 18(3): 113-127.
  11. 이영열(2020). 체육 분야 코로나 19 정책대응 과정과 포스트 코로나 19 정책 방향. 한국체육정책학회, 전기 학술세미나, 3-9.
  12. 김미옥(2020). 체육 분야 뉴딜 정책방향과 추진방안. 한국체육정책학회, 전기 학술세미나, 13-27.
  13. 김찬무(2020). 스포츠현장의 COVID-19 대응 및 극복 과제. 한국체육정책학회, 전기 학술세미나, 31-40.
  14. 김현중(2020).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가 스포츠 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골프 활동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김송이(2020). 코로나 바이러스감염증-19 유행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삶의 질, 긍정심리자본에 관한 융합적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1(6): 423-431. https://doi.org/10.15207/JKCS.2020.11.6.423
  16. 이윤환(2015). 초고령사회와 보건의료대응. 보건복지포럼, 7월호: 1-4.
  17. C-M, Choi.(2015). A Study for Change of Dementia-Related Factors in Elderly Women with Metabolic Syndrome by Exercise Type. Graduate School, Dankook University.
  18. C-W, Lee, & Y-S. Kim.(2011).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on Health in Elderly Individuals. Korean Journal of Exercise Rehabilitation. No. 7(1): 187-196.
  19. Kontis V et al.(2017). Future life expectancy in 35 industrialised countries: projections with a Bayesian model ensemble. Lancet 389: 1323-35. https://doi.org/10.1016/S0140-6736(16)32381-9
  20. 이윤환(2017). 고령사회 대응 보건의료와 장기 요양 서비스의 통합적 제공(토론 1). 양승조보건복지위원장, 국회입법조사처, 전국노인복지단체연합회, 대한노인요양병원협회, 35-36.
  21. 통계청(2017). 생명표.
  22. 건강보험공단, 심사평가원(2018). 건강보험통계연보.
  23. OECD. Health Status: Perceived Health Status by Age, Health Data. https://stats.oecd.org/ 2019.11.26.
  24. 원시연(2019). OECD 통계에서 나타난 한국 노인의 삶과 시사점. 국회입법조사처, 국제통계 동향과 분석, 제3호: 1-11.
  25. 통계청. 사회조사. http://www.index.go.kr/ 2019.11.26.
  26.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8). 전국노인실태조사.
  27. 이윤경, 강은나, 황남희, 주보혜, 김세진(2019). 노인정책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8. 정종구, 손정구(2020). 코로나19 동선공개에 대한 법적 고찰: 개인정보 및 사생활 침해의 문제를 중심으로. 법학논고, 70: 103-131.
  29. 이영열(2020). 체육 분야 코로나 19 정책대응 과정과 포스트 코로나 19 정책 방향. 한국체육정책학회, 전기 학술세미나, 3-9.
  30. 삼일회계법인(2020.3.). 코로나19의 경제 및 산업 영향 점검. 10-14.
  31. 이규성(2020). 코로나19 출현에 따른 외식업체 생존전략 분석. 한성대학교 지식서비스&컨설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송민기(2020). 코로나19 재확산 및 경제 붕괴 방지를 위한 사회적 거리 두기 강조 조절 필요성. 주간금융 브리프, 29(8): 10-13.
  33. 현대경제연구원(2020).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한국경제 파급 영향. 통권 868호.
  34. 정영식, 김효상, 백종훈, 김제국, 이주영, 유애라, 강은정(2020). 코로나19 확산과 신흥국의 취약성 분석. https://blog.naver.com/kiepblog/221933586681오늘의 세계경제, 2020(1): 1-18.
  35. 최나실(2020). 팬데믹 선언 나오자마자... 각국 봉쇄.폐쇄 초강경 조치 쏟아져....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2003121649782090한국일보, 2020년 3월 13일.
  36. 권 훈(2020). 코로나19 여파 벗어나는 미국 골프산업... 골프장 97% 개장. https://www.yna.co.kr/view/AKR20200529123300007?input=1195m 연합뉴스, 2020년 5월 29일.
  37. 김현중(2020).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 가 스포츠 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골프 활동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9). 미래질병과 건강 아젠다 발굴 및 대응 방안 연구. 질병관리본부.
  39. 이혜경(2020). 코로나19 세계적 대유행 (pandemic) 책임에 대한 국제사회의 공방. 국회입법조사처, 의회외교 동향과 분석, 제48호: 2-4.
  40. 최강원(2000.1.2.). 2000신년 새로운 시대 의학: 새로운 전염병의 출현. 의협신문.
  41. Huang, Yanzhong and Christopher J. Smith.(2020). China's Response to Pandemic: From Inaction to Overreaction, Eurasian Geography and Economics, 51(2): 162-183. https://doi.org/10.2747/1539-7216.51.2.162
  42. 조영남(2020). 중국은 왜 코로나19의 초기 대응에 실패했는가?. 한국과 국제정치, 36(2): 105-135.
  43. 질병관리본부(2020.4.2.). 코로나19란?
  44. 정혜욱(2020).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개학: 실태조사와 청소년의 심리적 건강에 미친 영향 연구.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김남순(2020). 코론바이러스감염증-19 현황과 과제. 보건.복지 Issue&Focus, 373: 1-13.
  46. 이무식(2020). 지역사회와 함께 하는 코로나 19(COVID-19) 극복. 농촌의학.지역보건, 45(1): 41-46.
  47. 김정은(2020). 노인에서 코로나바이러스감염병-19의 임상적 특성.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21(1): 1-8.
  48. 이태식, 김금영(2020).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19로 인한 관광.MICE산업의 영향과 향후 대응방안: 부산광역시 관광.MICE산업을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32(6): 433-448.
  49.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202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국내발생현황. 정례브리핑, 2020.5.20.
  50.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사망자와 기저질환 여부(2020.3.16. 0시 기준). http://ncov.mohw.go.kr/~=&gubun/ 2020.03.30.
  51. 김정은(2020). 노인에서 코로나바이러스감염병-19의 임상적 특성.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21(1): 1-8.
  52. 이윤경, 강은나, 황남희, 주보혜, 김세진(2019). 노인정책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53. UN.(1983). Vienna International Plan of Action.
  54. UN.(2008). The Madrid International Plan of Action on Ageing. Guiding Framework and Tollkit for Practitioners & Policy Makers.
  55. 보건복지부(2002). 마드리드 고령화국제행동 계획.
  56. United Nations Division for Social Policy and Development. Aging. https://www.un.org/development/desa/ageing/ 2018.09.
  57. Sidorenko, A., & Walker, A.(2004). The Madrid Plan of Action on Ageing: From conception to implementation. Ageing and Society, 24: 147-165. https://doi.org/10.1017/S0144686X03001661
  58. Sidorenko, A. & Asghar.(2018). International Policy Frameworks on Ageing. Assessing Progress in Reference to the Madrid International Plan of Action on Ageing. In JSPS, 16(1): 141-154. https://doi.org/10.17323/727-0634-2018-16-1-141-154
  59.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2). 고령화에 관한 마드리드 국제행동계획(MIPAA) 이행실태 및 평가.
  60. 지은정(2014). 활동적 노화의 관점에서 본 고령자 자원봉사지원 유형: 독일, 프랑스, 미국, 일본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41(2): 269-296.
  61. WHO.(2002). Active ageing - A policy framework. A contributio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to the Second United Nations World Assembly on Ageing. Madrid, Spain, April 2002.
  62. WHO. Decade of Healthy Ageing 2020-2030. https://www.who.int~/ 2019.08.10.
  63. WHO. The Global Network for Age-friendly Cities and Communities Looking back over the last decade. https://www.who.int/ageing/gnafcc-report-/ 2018.pdf.
  64. OECD.(1998). Maintaining prosperity in an ageing society.
  65. European Parliamentary Research Service. European Year for Active Ageing and Solidarity between Generations. http://www.europarl.europa.eu~/ 2015.pdf.
  66.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2). 고령화에 관한 마드리드 국제행동계획(MIPAA) 이행실태 및 평가.
  67. WHO.(2002). Active Ageing: a policy framework.
  68. The Council of the European Union.(2012). Council Declaration on the European Year for Active ageing and solidarity.
  69. WHO.(2007). Global Age-Friendly Cities: A Guide.
  70. 이윤경, 강은나, 황남희, 주보혜, 김세진(2019). 노인정책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71. 김예성, 박채희(2012). 체육복지 활성화 방안 연구: 노인체육복지를 중심으로. 한국체육정책학회지, 10(2): 167-181.
  72. 김춘옥(2014). 노인의 여가몰입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복지실천학회지, 6(2): 78-99.
  73. 김혜선(2017). 장래인구추계(2015-2065)의 주요결과와 경제정책에 대한 시사점. NABO경제동향&이슈, 통권 51, 국회예산정책처.
  74. 임수원(2008). 생활무용 참가를 통한 노인의 자아정체성 재확립. 한국체육학회지, 47(2): 81-93.
  75. 조경환(2020). 노인생활체육 진흥을 위한 운동재활분야 활성화 방안.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지, 14(4): 305-319.
  76. 국민체육진흥공단(2018). 2017 국민체육진흥공단 종합업무현황.
  77. 대한체육회(2018). 2017 대한체육회 사업결과보고서.
  78. 대한체육회(2018). 어르신전담지도자 배치 실적. 내부자료.
  79.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7). 제2차 장기요양 기본계획 수립 연구.
  80. 권중돈, 손의성, 엄태영, 이민홍, 박정연(2018). 노인복지법 전면 개정(안) 연구. 보건복지부.
  81. 보건복지부(2019). 2018 보건복지백서.
  82. 보건복지부(2019). 2018 보건복지백서.
  83. 보건복지부(2018). 2018년 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I), (II).
  84. 이윤환(2015). 초고령사회와 보건의료대응. 보건복지포럼, 7월호: 1-4.
  85. 안용덕, 신정훈(2019). 건강을 위한 여성고령자의 노인체력수준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지, 13(8): 367-375.
  86. 박성혜(2019). T. Parsons의 AGIL로 본 공공노인체육 사업의 성과와 문제점 및 개선방안.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7. 전화영(2017). '명견만리' 이영표 '스포츠 복지' 통해 초고령화 사회 대비 모색. 한국정책신문, 2017. 6. 23.
  88. 손석정, 추종호(2017). 초고령 사회 준비를 위한 Active Ageing 실현 노인체육정책 중요도 우선순위 평가. 한국체육정책학회지, 15(2): 99-113.
  89. 김창환, 이중원(2011). 지역사회 노인운동 정책수립. 보건복지부.
  90. World Health Organization. Aging and Life-Course. www.who.int/ ageing/ healthy-ageing/en/ 2018.
  91. 문화체육관광부(2018). 국민생활체육진흥기본 계획.
  92. 손석정, 추종호(2017). 초고령 사회 준비를 위한 Active Ageing 실현 노인체육정책 중요도 우선순위 평가. 한국체육정책학회지, 15(2): 99-113.
  93. 보건복지부(2013). 한국인을 위한 신체활동 지침서. 건강증진과.
  94. 고광욱(2020). 코로나19 사회적 거리 두기 신체활동수칙.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37(1): 109-112.
  95. 김현중(2020).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 가 스포츠 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골프 활동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6. 김미옥(2020). 체육 분야 뉴딜 정책방향과 추진방안. 한국체육정책학회, 전기 학술세미나, 13-27.
  97. 조경환(2020). 노인생활체육 진흥을 위한 운동재활분야 활성화 방안.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지, 14(4): 305-319.
  98. 정연택(2018).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노인체육: 가상현실을 중심으로. 한국특수체육학회지, 26(4): 25-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