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노인과 노화

검색결과 374건 처리시간 0.025초

스트레스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낙관성과 가족지지의 매개된 조절효과 검증 (Study on the Influences of Stress on Successful Aging: Evaluation of Moderating Effect Mediated on Positivity and Family Support)

  • 염동문;이성대;박무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100-111
    • /
    • 2016
  • 본 연구는 노인의 스트레스와 성공적 노화에 있어 낙관성과 가족지지의 매개된 조절효과 검증을 위해 경남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일반노인 584명을 대상을 분석하였다. 분석은 Preacher와 Hayes가 제안한 SPSS Macro방법을 사용하여 경로모형을 통해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모형 검증은 3단계로 실시하였으며, 1단계는 예측변수와 준거변수 관계에서 조절변수가 조절효과를 가지는가를 분석하였고, 2단계는 예측변수와 매개변수의 관계를 확인 후, 3단계에서는 매개된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트레스와 성공적 노화, 낙관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분매개모형을 지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스트레스, 낙관성과 성공적 노화의 가족지지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조절효과가 모두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스트레스, 낙관성과 성공적 노화, 가족지지의 매개된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매개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함의와 향후 과제를 제시하고, 노년기 성공적 노화를 위한 가족지지 향상방안을 제시하였다.

한국남성노인의 화병에 대한 주관적 원인지각 (A Study on the Subjective Causal Perception of Hwa-Byung among the Korean Elderly Men)

  • 정미경
    • 한국노년학
    • /
    • 제31권4호
    • /
    • pp.1015-102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Q-방법론을 적용하여 한국남성노인의 화병에 대한 주관적인 원인지각의 유형을 확인하고 그 유형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만 65세 이상 25명의 한국남성노인을 대상으로 31개의 Q-표본 진술문을 9점 척도로 하여 분석한 결과 한국남성노인의 화병에 대한 주관적인 원인지각의 유형은 4개의 유형 즉, 공감적 관계의 부재, 자신의 무능함과 박복함, 노화로 인한 무력감, 과거 삶에 대한 후회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한국여성노인과는 차별적으로 한국남성노인들의 심리적 부적응에 대처할 수 있는 개인적 사회적 지원의 개입내용을 구체화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노인상담에서의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스포츠센터 노인 운동 프로그램 참여자의 여가경험과 여가몰입 및 운동만족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Leisure Experience, Exercise flow Adherence of Senior in Fitness Center)

  • 이승범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59-167
    • /
    • 2021
  •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노인의 여가 생활 스포츠 참여의 여가 만족도, 여가 능력, 운동 만족도, 일관된 운동 행동 패턴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여 향후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방향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경기도 용인 및 성남시 스포츠 클럽 3곳을 선정하여 239명의 노인의 샘플링을 조사하여 활용하였으며, 연구의 목적에 따라 통계 기법, spss, Amo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에 사용 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운동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여가경험이 운동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 노인운동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운동몰입은 운동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노인운동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운동 만족도는 지속적인 운동 지속성과 운동 몰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노인의 여가경험에 따른 운동몰입, 운동만족 및 운동지속행위가 성공적 노화에 중요한 역할과 윤택한 삶의 질에 기여한다 할 수 있으며 나아가 노인들의 삶의 질 개선 및 노인운동시설의 프로그램 참여자들을 위한 유기적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다양한 재정적 지원과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는 바이다.

성인장애자녀를 돌보는 저소득 노인부모의 보건복지 욕구 (Older Parents with Disabled Adult Children in Later Life: Health and Welfare Needs)

  • 김은혜;석민현;윤정혜
    • 한국노년학
    • /
    • 제30권4호
    • /
    • pp.1213-1223
    • /
    • 2010
  • 본 연구는 노인이 되어 자신의 노화로 인한 어려움을 지니면서도 여전히 성인 장애자녀의 보호역할의 책임을 지니며 살고 있는 노인부모의 실태와 노후생활을 위한 보건복지 욕구를 고찰하여 향후 고령화가 지속되면서 복합화 되는 노인문제에 대한 체계적 연구와 정책적 관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시도하였다. 성인 장애자녀를 돌보는 65세 이상의 저소득 노인부모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일반적 특성, 장애자녀특성, 노후생활 준비 및 보건복지 서비스 이용 및 필요성에 대한 욕구를 조사하였다. 성인 장애자녀를 돌보는 저소득 노인 부모는 신체적 노화와 함께 오랜 기간 동안 장애자녀를 돌보면서 치료 및 재활과 관련된 비용의 지속적인 지출, 사회 활동의 단절이라는 복합적 원인에 의해 노후생활 전반에 걸쳐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이러한 노인부모의 경제적 어려움, 신체적 쇠약함, 그리고 여전히 끝나지 않은 자녀 돌봄의 역할은 이들의 노후생활을 위한 보건 복지 서비스 이용 및 욕구형성과 밀접한 관련성을 나타냈다. 성인장애자녀를 돌보는 대부분의 노인부모는 자신의 노후생활을 위한 준비를 전혀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자녀의 장애기간과 관련이 있었다. 제공되고 있는 보건복지 서비스는 현물 형태의 직접적이고 수혜적인 성격이 강한 서비스를 주로 이용하였고, 좀 더 자발적이면서 추가적인 비용이 요구되는 사회정서적 영역에 대한 서비스 이용 및 필요도에 대한 인지는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장애자녀를 돌보는 노인부모의 질적인 노후생활을 위한 대응방안 모색은 장애자녀의 사회통합이라는 목표와 함께 장기적인 측면에서 연구될 필요성이 있으며, 이러한 현실과 상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들을 위한 체계적인 지원프로그램 개발에 대해 지속적인 논의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사회적 연결감과 우울의 관계: 도시노인과 농촌노인의 비교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nnectedness and Depressive Symptom: A Comparison between The Rural and Urban Elderly)

  • 박경순;박영란;손덕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667-67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노인과 도시노인의 우울 수준을 확인하고, 농촌노인과 도시노인이 인식한 사회적 연결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는 한편 이와 더불어 사회적 연결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이 거주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인의 사회적 삶, 건강과 노화에 대한 조사(KSHAP: Korean Social Life, Health and Aging Project)"에 포함된 농촌노인 948명과 도시노인 98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농촌노인의 우울은 5.82, 도시노인은 10.07로 도시노인의 우울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연결감은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회적 연결감의 하위요소에 따라 도시노인과 농촌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도시노인에게는 고독감만이, 농촌노인에게는 평가적 지지와 고독감이 영향을 미쳤으며, 소속감 지지는 두 집단 모두에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사회적 연결감 증진을 통한 노인 우울감소를 위해 정책적·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노인과 지역사회의 노인일자리사업 참여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The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 of the Elderly and the Community on the Social Job Program for the Elderly)

  • 이경욱
    • 한국노년학
    • /
    • 제31권3호
    • /
    • pp.623-640
    • /
    • 2011
  • 본 연구는 노인과 지역사회 수요처가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 및 이용 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며, 노인과 지역사회의 관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C시의 4개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 노인과 수요처를 대상으로 포커스 집단면접과 개별면접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은 일자리사업에서 소득 확보 이상으로 건강한 생활방식으로의 전환을 의미있게 보았다. 둘째, 노인은 헌신적 노력을 통해 건강과 자신감, 수입, 가족의 인정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에 대한 유대감과 기여의 보람을 얻었다. 셋째, 노인은 일자리 사업을 혜택인 동시에 기여인 '유급봉사'로 규정하였다. 넷째, 수요처는 초기에는 노인의 능력에 대한 의구심이 있었으나 기대이상의 품질에 만족하였고, 노인을 활동적이고 유능한 존재로 인식하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노인일자리 사업은 노인 개인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복지에도 기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일자리사업에서 노인의 능력과 기여의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노년기 영양관리

  • 한국건강관리협회
    • 건강소식
    • /
    • 제25권10호통권275호
    • /
    • pp.6-13
    • /
    • 2001
  • 우리나라는 현재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의 7.1%에 달하고 있으며 앞으로 계속 증가하여 2022년에는 14.3%로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 것으로 여겨진다. 1998년 국민 건강영양조사에 의하면, 우리나라 노인은 영양취약집단으로 영양상 문제가 발견되었으며, 청장년기까지는 식생활의 부족시대를 지니고, 중년이후의 풍요로움을 누린 후 노년기를 맞고 있는 전체 인구 집단과 또 다른 문제를 보이고 있어 관리가 요구된다. 노인의 경우 여러 가지 신체기능의 변화와 사회생활의 변화로 영양요구량이 달라지고 있으며, 신체기능의 변화는 식품섭취에 영향을 주고 있어서 적절한 관리를 필요로 한다. 그래서 10월의 이달의 건강길라잡이에서는 첫째, 노년층의 영양 무제가 다른 연령층과 어떻게 다른가 이해하고 둘째, 노년기의 노화 현상이 노인들의 건강문제와 영양문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살펴보고 셋째, 일반적으로 노년기의 영양필요량이 청 · 장년기의 영양 필요량과 무엇이 다른가 이해한 후 마지막으로 노인의 식생활을 어떻게 계획할 것인가 알아보고자 한다.

  • PDF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노인 건강 증진 자세 분류 시스템 (A System for the Improvement of Elderly Health to Classify Pose Using Smart Mirror)

  • 강영서;최경서;이가영;주종화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681-683
    • /
    • 2022
  • 코로나 19 로 인해 사회적으로 활동 범위에 제약이 많아져 신체 노화가 진행중인 노년층의 심각한 운동 부족 현상 발생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스마트 미러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범람 속에 신체적인 불편함을 가지고 있는 노인의 건강 증진에 주목하여 스마트 미러와 노인 자세 탐지, 자세 정확성 판단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자세 분류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스마트 미러에 탑재된 카메라로 받아온 영상을 MoveNet 과 머신러닝 모델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동작을 파악하는 방식으로 활동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향후 디지털 소외 계층의 사용 및 노인 자세 데이터 분석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한.미 대학생의 노인과 노화에 대한 태도가 조모-손자녀 간의 친밀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Korean and American Undergraduate Students' Attiitudes toward the Elderly and Aging on Grandmother-Grandchild Intimacy)

  • 이신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4권5호
    • /
    • pp.53-68
    • /
    • 2006
  • This study examines Korean and American undergraduate students' intimacy toward the grandmother and their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and aging. The study also identifies the variances that influence undergraduate students' attitudes. The subjects were 397 Korean and 364 America undergraduates.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frequency, percentage, meat standard deviation, Cronbach's ${\alpha}$, t-test, Duncan test, ANOVA,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Both Korean and American undergraduates' attitudes were mid-range, but their intimacy level toward their grandmother was high. 2) The Korean undergraduates' intimacy level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sex and religion, and it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and aging traits, when the student had lived with and had frequent contact with the grandmother. The American undergraduates' intimacy level, however,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the grandmother. There was also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undergraduate students'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and aging traits, frequency of contact with the grandmother and year. 3)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Korean undergraduates' intimacy level toward the grandmother were attitude, cohabitation with her, gender, frequency of contact with the grandmother, and religion, which explained about 21% of total variance.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and aging traits were very important variables for Korean undergraduates' intimacy with their grandmother. The American undergraduates' intimacy was affected by the variables of attitude, frequency of contact with the grandmother, year, and the presence of the grandmother, which explained about 19% of the total variance. Attitude toward the elderly and aging traits were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for American undergraduates' intimacy with their grandmother.

대학생의 노인과 노화에 대한 태도가 조모와의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undergraduate students' Attiitudes toward the elderly and aging on grandmother-grandchild intimacy)

  • 이신숙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479-490
    • /
    • 2007
  • This study examines undergraduate students' intimacy toward the grandmother and their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and aging. The study also identifies the variances that influence undergraduate students' intimacy toward the grandmother. The subjects were 397 undergraduates.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Cronbach's ${\alpha}$, t-test, Duncan test, ANOVA,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undergraduates' attitudes were mid-range, but their intimacy level toward their grandmother was high. 2) The undergraduates' intimacy level toward the grandmother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gender, experience of cohabitation, the presence of her, and religion, and it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and aging traits, period of cohabitation, and frequent contact with the grandmother. The undergraduates' intimacy level toward grandmother-in-low, however,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religion. There was also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undergraduate students'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and aging traits. 3)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undergraduates' intimacy level toward the grandmother were attitude, frequency of contact with the grandmother, gender, period of cohabitation, experience of cohabitation, and the presence of the grandmother, which explained about 35% of total variance.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and aging traits were very important variables for undergraduates' intimacy with their grandmother. The undergraduates' intimacy toward grandmother-in-low was affected by the variables of attitude, religion, experience of volunteer, frequency of contact with the grandmother, gender, and the presence of grandmother, which explained about 24% of the total variance. Attitude toward the elderly and aging traits were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for undergraduates' intimacy with their grandmother-in-l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