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노루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24초

한라산국립공원 동사면의 구상나무(Abies koreana E.H. Wilson) 유묘 및 치수 발생 현황 (A Study on the Occurrence of Seedlings and Saplings of Korean fir (Abies koreana E.H. Wilson) on the East slope of Mt. Hallasan National Park)

  • 이종원;최임준;이수홍;임원택;김진원;강신호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6-36
    • /
    • 2019
  • 본 연구는 한라산국립공원 동사면에 위치한 구상나무숲 장기생태 모니터링 5ha 조사지역 ($20{\times}20m$, 125개 방형구)에서 구상나무의 유묘 및 치수 발생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조사는 2016년 6~8월 사이에 $5{\times}5m$ 방형구 125곳에 대해 계통추출법을 적용하여 실시하였다. 조사한 전체 125개 방형구 중에서 54개에서만 유묘가 관찰되었으며, 그 내용은 유묘 615개체 및 치수 1개체로 총 616개체가 발견되었다. 그러나 과반수의 71개 방형구에서 치수뿐만 아니라 유묘도 출현하지 않았다. 심지어 전체 125개 방형구에서 유묘가 가장 많이 관찰된 방형구(2-6지역, 95개체)를 제외하면, 나머지 124개 방형구의 평균 유묘 개체수는 4.2개로 매우 적었고 높이도 35cm 이하에 불과했다. 이와 함께 장기생태 모니터링 조사 지역 내에서 $1{\times}1m$ 방형구 183곳에 대해 단순 무작위 추출법으로 발생지 조사를 수행하였다. 발생지 조사 결과 유묘 2,518개체, 치수 2개체 및 유목 2개체 등 총 2,522개체가 발견되어 계통추출법을 적용한 조사와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한라산국립공원 동사면 구상나무숲 내에서 구상나무 유묘의 발생은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으나, 교란으로 인하여 치수로의 발달이 제한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여러 교란 요인 중에서 조사된 총 3,138개체 중 12.1%, 381개체에서 유제류인 노루에 의한 섭식이 확인되어 노루의 섭식이 유묘 발생 및 치수 발달에 교란을 야기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추정해볼 수 있다. 한반도 특산식물 구상나무의 보전 대책 수립을 위한 유묘 및 치수 교란 원인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진행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 PDF

한국내 주걱노루발의 유전적 다양성과 집단구조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of Pyrola fauriena (Pyrolaceae) in Korea)

  • 허만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64-70
    • /
    • 2006
  • 한국내 주걱노루발의 유전적 다양성과 집단구조를 평가하기 위해 전분 젤 전기영동을 사용하였다. 효소내 다형현상을 나타내는 대립유전자좌위는 $57.1\%$였다. 종 수준(Hes = 0.149)과 집단 수준(Hep = 0.134)에서 유전적 다양도는 유사한 생활사를 가진 초본류의 평균값에 비해 높았다. 반면에 집단간 분화정도는 비교적 낮았다 $(G_{ST}=0.082)$. 열 두 집단내 임의교배에서 편차는 0.298이었다. 간접적으로 평가한 세대당 이주하는 개체수(Nm = 2.81)는 이 종의 한국 집단내 보통 수준을 유지하고 있었다. 고정지수 분석 결판 많은 집단과 대립유전자좌위에서 이형접합체의 결핍이 있었다. 이는 주걱노루발에서 가근의 번식능력과 한국내 조사된 주걱노루발 집단의 크기 감소에 기인한다.

제주도 난대림에서 노루 뿔의 성장과정에 의한 어린나무 박피에 관한 연구 (Peeling Damage of Sapling caused by the Developing Process of Roe Deer Antlers in Warm-temperate Forests of Jeju Island)

  • 김은미;박영규;권진오;김지은;강창완;이치봉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54-259
    • /
    • 2012
  • 산림에서 나무껍질이 벗겨지는 피해는 노루를 비롯한 사슴과에 속하는 포유류에 의해 발생하며 먹이 부족이 주요 원인이다. 그러나 제주도에서는 뿔이 녹각으로 되는 과정에서 벨벳을 벗겨내는 행동에 의해 나무껍질이 벗겨지는 피해가 발생하여 이들을 살펴보았다. 국립산림과학원 한남시험림내의 해발 400m에서 500m 사이에 위치한 6km구간의 임도 주변 5m지역을 대상으로 2011년 9월 9일부터 10월 4일까지 맑은날을 택하여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노루가 뿔로 긁은 피해목은 총 25종, 267본이었으며 낙엽활엽수가 18종 134본, 상록활엽수가 5종 71본, 나머지 2종 62본은 침엽수였다. 뿔 긁기로 가장 선호하는 수종은 굴거리나무(Daphniphyllum macropodum), 삼나무(Cryptomeria japonica), 비목(Lindera erythrocarpa), 누리장나무(Clerodendrum trichotomum), 산초나무(Zanthoxylum schinifolium) 순이었다. 피해목은 주로 3~4년생의 어린나무이며 평균 수고는 $120.7{\pm}42.4cm$이었고, 지상 5cm 높이에서의 직경은 $1.5{\pm}0.5cm$, 피해 시작점(최저점)은 지상에서부터 평균 $22.1{\pm}10.1cm$ 지점이었고, 피해길이는 평균 $27.5{\pm}10.6cm$이었다. 나무껍질이 벗겨지면 이차적으로 균류의 침입을 받게 되며 이로 인해 어린나무의 외형이 변하거나 죽게 되어 난대림의 향후 종 구성에 영향을 야기할 수 있다. 기후변화에 따른 제주도 산림의 식생변화가 예견되는 시점에서 노루의 뿔에 의한 피해는 난대림의 자연 갱신은 물론 조림과 묘목생산 그리고 지속적인 산림경영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방사흐름 전기화학전지를 이용한 안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의 동시 정량 (Simultaneous determinations of anthracycline antibiotics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radial-flow electrochemical cell)

  • 조용희;한영희
    • 분석과학
    • /
    • 제20권4호
    • /
    • pp.308-314
    • /
    • 2007
  • 방사흐름 전지를 연결한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프를 사용하여 독소루비신, 에피루비신, 노갈라마이신, 다우노루비신 및 아이다루비신을 동시에 정량 할 수 있는 역상 크로마토그래피법을 개발하였다. 안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들은 이동상 용매 중에서 은/염화은 (0.01 M NaCl) 기준전극에 대하여 확산 전류를 나타내는 -0.74 V에서 검출되었다. 부피 흐름속도 ($V_f$)를 1.0 mL/min로 고정하였을 때 독소루비신, 에피루비신, 다우노루비신 및 아이다루비신은 각각 6.4 분, 7.4분, 12.7분 및 18.4분의 머무름 시간 ($t_r$)에서 나타났으며, $V_f$ 0.6 mL/min 에서는 독소루비신, 에피루비신, 노갈라마이신, 다우노루비신 및 아이다루비신의 $t_r$은 각각 9.9분, 11.5분, 13.5분, 19.6분 및 28.7분에서 나타났다. 주입된 각각의 안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의 농도 ($2.40{\times}10^{-7}M{\sim}1.42{\times}10^{-5}M$)에 대하여 봉우리 면적 (전하)를 도시하였을 때 상관계수의 제곱 ($R^2$)은 0.999 이상으로 직선 성이 우수하였다. 다섯 가지 안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의 검출한계는 $1.0{\times}10^{-8}M{\sim}1.5{\times}10^{-7}M$이었으며 정밀도는 $0.7{\mu}M$ 이하의 농도를 제외하고는 상대 표준편차3%($1.00{\times}10^{-6}M{\sim}1.42{\times}10^{-5}M$) 미만이었다. 사람의 혈청 중에 포함된 $1.00{\times}10^{-5}M$ 에피루비신, $0.48{\times}10^{-5}M$ 노갈라마이신 및 $1.52{\times}10^{-5}M$ 다우노루비신을 $C_{18}$ 카트리지로 고상 추출하였을 때 회수율은 각각 97%, 100% 및 90% 이었다.

빛을 발산하는 기포의 안정성 해석 (Stability Analysis for a Sonoluminescing Gas Bubble)

  • 강상우;이윤표;곽호영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E
    • /
    • pp.69-74
    • /
    • 2001
  • It is well known that an air bubble trapped in water emits light at its collapse robustly with a proper forcing amplitude of ultrasound. Instability mechanism which causes deviation from sphericity of bubble wall was investigated theoretically. The rapid change of the bubble wall velocity which is both dependent on the forcing amplitude, was found to be a major factor of instability of the interface. The Rayleigh-Taylor instability which occurs when rapid acceleration is directed from the lighter towards the heavier fluid is found to be not related to the instability of the sonoluminescing gas bubble. A good agreement between the calculation results and experimental data is found.

  • PDF

越冬 중 노루발의 水分포텐셜, 致死溫度 및 炭水化物量의 變化 (Changes in Leaf Water Potential, Lethal Temperature and Carbohydrate Content of Wintergreen (Pyrola japonica Klenze) during Overwintering)

  • Ryu, Beungtae;Joon-Ho K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3권1호
    • /
    • pp.59-66
    • /
    • 1990
  • Changes in water potential, lethal temperature and carbohydrate content in the leaves of wintergreen (Pyrola japonica) during overwintering were investigated. Leaf water potential was kept at -2 bars in the tender stage before October, decreased to -46 bars in the dormancy stage and increased to -2 bars again after dehardening Lethal temperatures of the leaf tissue were $-7^{\circ}C$ in the tender stage and $-7^{\circ}C$ in the dormancy stage, but did not recover up to that of the tender stage during dehardeding. Peak of soluble sugar content coincided with the nadir of the leaf water potential. There were close relationships among daily minimum air-temperature, leaf water potential and lethal temperature in changing patterns during overwintering.

  • PDF

한국산 Cercospora 및 관련 속의 분류학적 연구(XII) (Taxonomic Studies on Cercospora and Allied Genera in Korea (XII))

  • 김정동;신현동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363-371
    • /
    • 1999
  • 본 연구는 1990년부터 국내에서 채집하여 고려대학교 농생물학과 진균표본보관소(SMK)에 보존하고 있는 Cercospora 및 관련 속의 진균을 대상으로 분류학적 연구를 실시한 결과의 열두 번째 보고이다. 이번 보고에서는 Cercospora 4종, Mycovellosiella 1종, Pseudocercospora 4종 및 Ramularia 1종에 대한 균학적 특징을 기재 묘사하였다. 제라늄에서 Cercospora brunkii, 노루오줌에서 C. deutziae, 삼색제비꽃(팬지)에서 C. granuliformis, 옥잠화에서 C. hostae, 가지에서 Mycovellosiella nattrassii, 국화에서 Pseudocercospora chrysanthemicola, 뱀무에서 P. geicola, 밀나물에서 P. mississippiensis, 가새덜꿩나무에서 P. viburni-cylindrici, 그리고 벼룩이 자리에서 Ramularia moehringiae를 각각 동정하였다.

  • PDF

당부분에서 4'-플루오린 또는 4'-아자이드로 치환된 3'-히드록시다우노루비신과 3'-히드록시독소루비신 유도체의 합성과 항암활성 (Synthesis and Antitumor Activity of 3'-hydroxydaunorubicin and 3'-hydroxydoxorubicin Derivatives Substituted with 4'-fluorine or 4'-azide in Sugar Moiety)

  • 옥광대;박정배;김문성;정동윤;양중익
    • 약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17-125
    • /
    • 1996
  • 3'-Deamino-3-hydroxy-4'-fluoro- or 3'-deamino-3'-hydroxy-4'-azido-daunorubicin(6,8) and -doxorubicin(7,9) have been synthesized, respectively. Compounds 7,8 and 9 were mo re cytotoxic than daunorubicin(1) and doxorubicin(2) against L1210 murine leukemic cell in vitro. When administered intraperitoneally for 9 days starting 1 day after tumor inoculation, compounds 7(T/C 605%) and 9(T/C 488%) showed significant antitumor activity for ip-inoculuated L1210 murine leukemia at wide range of dos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