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Occurrence of Seedlings and Saplings of Korean fir (Abies koreana E.H. Wilson) on the East slope of Mt. Hallasan National Park

한라산국립공원 동사면의 구상나무(Abies koreana E.H. Wilson) 유묘 및 치수 발생 현황

  • Lee, Jong-Won (Dept. of Oriental Medical Food & Nutrition, Semyung Univ.) ;
  • Choi, Im Jun (Dept. of Medical Bioscience, Semyung Univ.) ;
  • Lee, Su Hong (Dept. of Medical Bioscience, Semyung Univ.) ;
  • Lim, Won Taek (Dept. of Forest Resources, Kookmin Univ.) ;
  • Kim, Jin-Won (Dept. of Biological and Environmental Science, Dongguk Univ.) ;
  • Kang, Shin-Ho (School of Industrial Bio-Pharmaceutical Science, Semyung Univ.)
  • 이종원 (세명대학교 대학원 한방식품영양학과) ;
  • 최임준 (세명대학교 대학원 의약생명과학과) ;
  • 이수홍 (세명대학교 대학원 의약생명과학과) ;
  • 임원택 (국민대학교 대학원 산림자원학과) ;
  • 김진원 (동국대학교 대학원 바이오환경과학과) ;
  • 강신호 (세명대학교 바이오제약산업학부)
  • Published : 2019.04.25

Abstract

본 연구는 한라산국립공원 동사면에 위치한 구상나무숲 장기생태 모니터링 5ha 조사지역 ($20{\times}20m$, 125개 방형구)에서 구상나무의 유묘 및 치수 발생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조사는 2016년 6~8월 사이에 $5{\times}5m$ 방형구 125곳에 대해 계통추출법을 적용하여 실시하였다. 조사한 전체 125개 방형구 중에서 54개에서만 유묘가 관찰되었으며, 그 내용은 유묘 615개체 및 치수 1개체로 총 616개체가 발견되었다. 그러나 과반수의 71개 방형구에서 치수뿐만 아니라 유묘도 출현하지 않았다. 심지어 전체 125개 방형구에서 유묘가 가장 많이 관찰된 방형구(2-6지역, 95개체)를 제외하면, 나머지 124개 방형구의 평균 유묘 개체수는 4.2개로 매우 적었고 높이도 35cm 이하에 불과했다. 이와 함께 장기생태 모니터링 조사 지역 내에서 $1{\times}1m$ 방형구 183곳에 대해 단순 무작위 추출법으로 발생지 조사를 수행하였다. 발생지 조사 결과 유묘 2,518개체, 치수 2개체 및 유목 2개체 등 총 2,522개체가 발견되어 계통추출법을 적용한 조사와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한라산국립공원 동사면 구상나무숲 내에서 구상나무 유묘의 발생은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으나, 교란으로 인하여 치수로의 발달이 제한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여러 교란 요인 중에서 조사된 총 3,138개체 중 12.1%, 381개체에서 유제류인 노루에 의한 섭식이 확인되어 노루의 섭식이 유묘 발생 및 치수 발달에 교란을 야기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추정해볼 수 있다. 한반도 특산식물 구상나무의 보전 대책 수립을 위한 유묘 및 치수 교란 원인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진행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