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노동행정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23초

노동청 기록의 재조직에 관한 연구 - 국가기록원 소장 기록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the Re-organization of the Administration of Labor's Records in the custody of the National Archives)

  • 곽건홍
    • 기록학연구
    • /
    • 제23호
    • /
    • pp.141-178
    • /
    • 2010
  • 노동정책 수립과 생산현장에서 노동법령을 관철하는 행정기관으로서 노동청은 주로 기술 실무적인 기능을 수행하였다. 노동청 잔존 기록 또한 노동정책 결정과정을 알 수 있는 기록은 남아 있지 않으며, 불균형적으로 존재하는 행정기록의 형태를 잘 보여주고 있다. 노동청 잔존 기록은 이관 당시의 무질서한 편철 상태가 유지되어 있어 기록철명으로는 기록의 내용을 제대로 파악하는 것이 쉽지 않다. 비록 기록철을 찾았다고 해도 일일이 기록건과 내용을 파악해야 하는 수고를 이용자가 부담해야 한다. 노동청 잔존 기록을 재조직하기 위해 노동청의 기능을 4단계로 분해하여 잔존 기록을 연계하였다. 또한 '기록물 개요 목록'을 작성하여 이용자가 더 많은 기록 정보를 이용하여 기록에 접근할 수 있도록 구상하였다. 아울러 선후행 관계를 알 수 없는 잔존 기록에 대한 '논리적 재편철'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잔존 기록 재조직 방식은 향후 기록의 기술과 검색도구 제공 방향을 설정하는 것은 물론 노동기록의 수집 평가 정책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노동사 맵(map)을 작성하는 것은 노동기록 수집 전략의 출발점이다. 이를 통해 이용자는 잔존 기록에 대한 접근을 구조적으로 할 수 있다. 노동사 맵 작성을 위해서는 먼저 잔존 노동기록의 광범위한 조사 분석이 필요하다. 경제사회분야 행정기관은 물론이고, 수사기관, 국회 등의 잔존 기록을 조사 분석해야 한다. 이와 함께 노동사 주요 사건과 활동을 주제별, 시기별로 표상화하고 정리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이를 바탕으로 잔존 기록과 연계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노동기록 수집과 구술사 프로젝트의 수행 등에 상당한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취약지수를 이용한 사업장 근로감독과 지방노동관서 평가 (Vulnerability Index for Workplace Spot Inspection)

  • 김성태;박원주;전용일
    • 노동경제논집
    • /
    • 제34권3호
    • /
    • pp.29-58
    • /
    • 2011
  • 노동행정의 선진화 과학화는 노동개혁의 한 축으로 중요성이 크다. 본 눈문은 근로감독 과학화를 위해 도입이 추진되고 있는 사업장의 취약지수를 보다 정교하게 산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근로시간과 최저임금 취약지수를 예로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취약지수는 모든 근로감독 분야에 대해 산정될 수 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른 사업장의 환경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지방노동관서의 근로감동 사업장 우선순위를 정하는 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으며, 중앙부처가 지방노동관서의 근로감독 성과를 평가할 때도 활용될 수 있다.

  • PDF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소진,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역할 (The Role of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 out, Turn over Intention among Hospital Nurses)

  • 김인순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15-526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ole of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in the emotional labor among hospital nurses. Method: Data was collected from 389 nurses in 3 general hospitals by means of structured questionnaires. Data was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 14.0 program. Result: (a) self-efficacy of hospital nurses had no significant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 out, turn over intention. (b) Social support of hospital nurses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 out, turn over intention. However, social support did not show moderating effects. Conclusion: Social support was a more important predictor of emotional labor than self-efficacy of hospital nurses. This finding suggests the importance of social support to increase hospital nurse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evelopment of organization.

  • PDF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관련된 변인의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f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Emotional Labor of Nurses)

  • 김신향;함연숙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63-276
    • /
    • 2015
  • Purpose: The study was done to verify the effect size of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emotional labor of nurses. Methods: A total of 47 article on variables related to the emotional labor of nurses and published from 2006 to 2014 were used for the meta-analysis. Results: Variables with the largest effect size related to emotional labor were identified as the variables of work task, organization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descending order of effect size. The sub-factors with the greatest effect size in the work task variable were exhaustion and work commitment, while for organization variables, intention to change jobs had the largest effect size. For individual characteristics, physical symptoms had the largest effect siz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as the first study to integrate research results on variables related to the emotional labor of Korean nurses, providing practical data for the management of emotional labor.

간호사의 소진과 감정노동 및 자기효능감에 대한 연구 (A study on Burnout, Emotional labor, and Self-efficacy in Nurses)

  • 양야기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23-431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burn out, emotional labor and self-efficacy in nurses, and to identify predictors of burnout.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268 nurses working in C university hospital in G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1 to May 31, 2010, and analyzed using SPSS/WIN 12.0. Results: The mean score per item for burnout was 3.13, the mean emotional labor score was 3.15, and the mean of self-efficacy score was 3.42. Burnout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 (r=-.339, p=.000), and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labor (r=.511, p=.000). Variables that predicted burnout were emotional labor, self-efficacy, gender, number of assigned patient per duty (37.8%).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a need to develop programs for nurses to increase self-efficacy and to control the emotion, and the need for further studies to examine causal relationship among burn out, emotional labor and self-efficacy.

노무관리 - 건설 일용근로자의 포괄임금계약 관행 적정성 논란

  • 이덕조
    • 월간 기계설비
    • /
    • 통권257호
    • /
    • pp.64-68
    • /
    • 2011
  • 현행 건설일용근로자의 포괄임금 계약에 대한 대법원의 판결과 고용노동부의 지침이 변경되어 혼란이 야기되고 있다. 고용노동부는 지난 8월 8일 건설 일용근로자의 포괄임금제 업무처리 지침을 변경하고 일선 사업장에 시정 지시 공문을 발송하고 있다. 새로 변경된 건설 일용근로자의 포괄임금제 업무처리 지침은 일당제 일용근로자의 고용형태를 두 가지로 구분하여 일급에 포함되었다고 볼 수 있는 수당과 그렇지 않은 수당을 명시하고 있다. 일급에 포함되었다고 볼 수 없는 수당의 경우 해당 근로수당을 포함하여 체결된 근로계약이 부적정하다는 입장이며, 이에 따라 일당제 일용근로자를 사용하고 있는 사업장에 시정지시를 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현행 판례 및 행정해석, 기존 고용노동부의 지침은 제수당을 미리 합산한 일정금액을 지급하기로 하는 포괄임금 계약을 인정하고 있다. 이처럼 판례와 고용노동부의 지침이 서로 다르고, 새로 변경된 고용노동부의 지침을 반영하는 새로운 판례가 아직까지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사업장에서는 사례별로 유연한 대응이 필요하다.

  • PDF

질병관리를 위한 지방조직 개편 방안

  • 박윤형
    • 한국보건행정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보건행정학회 2004년도 전기학술대회
    • /
    • pp.105-125
    • /
    • 2004
  • 제17대 총선에서 여대야소 국회가 구성되고 대통령 탄핵안이 헌번재판소에서 기각됨에 따라 참여정부의 본격적인 행보가 시작되고 있다. 보통 정권이 바뀌면 가장먼저 시작하는 분야가 정부조직 개편이다. 새로운 각오로 시작하는 참여정부에서도 벌써 정부조직개편안이 나오기 시작하였다. 보건의료부분도 '사회부총리신설안, 보건복지부, 식약청, 노동부를 통폐합하여 '복지노동부'와 '보건식약청'으로의 개편안과 대통령 사회정책수석의 신설 등이 거론되고 있다. (중략)

  • PDF

일터 내 자기주도학습과 한국의 노동교육: 노동조합교육 법제화에 대한 함의 (Self-Directed Learning in the Workplace and Labor Education in South Korea: Implications for Legislation on Trade Union Education)

  • 오정록;박조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131-14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일터 내에서의 자기주도학습을 탐색하고 한국의 노동교육을 고찰하여, 노동조합교육 법제화에 관한 주요한 함의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 번째로 한국의 노동교육과 이와 관련된 법제를 자세히 살펴보았다. 두 번째로, 일터 내에서의 자기주도학습이 면밀하게 분석되었는데 이는 인적자원개발뿐만 아니라 성인교육 및 평생학습의 관점에서도 함께 이루어졌다. 세 번째로 이와 같은 종합적인 고찰의 결과를 바탕으로 일터 내에서의 자기주도학습이 근로자 주도의 노동교육에 가지는 시사점을 한국의 노동조합교육 법제화라는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이러한 국가 차원에서의 법제화가 이루어질 경우 산업민주화를 위한 자기주도학습의 맥락에서 근로자의 노동조합교육 참여를 촉진할 수 있기 때문에, 한국의 노동조합교육은 적절한 법적, 재정적, 행정적 지원을 제공받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병원종사자의 이직의도와 직무요인 간의 인과관계 -진료행정직종과 간호직종을 중심으로- (The Causal Relation between Turnover Intention and Job Factors of Hospital Workers - Focused on Comparison between of Medical Administration and Nurses Jobs-)

  • 김운신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6년도 제5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4권2호
    • /
    • pp.151-153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병원조직에서 종사하는 진료행정직종과 간호직종을 대상으로 그들의 이직의도와 직무요인 사이의 인과관계를 통해 이직 또는 잔류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동기요인과 위생요인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근거로 이직감소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표본은 광주광역시 소재의 중소병의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진료행정직종과 간호직종만을 대상으로 실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를 예측을 하면, 진료행정직종과 간호직종 사이에는 직무특성의 차이에 따른 이직의도 수준은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이며, 직무환경과 이직의도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측해 볼 수 있다. 또한 두 직종의 감정노동 강도와 이직의도 사이에 통계적으로 인관관계가 존재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설에 대한 실증검증을 통해 진료행정직종과 간호직종에서 인지하는 직무요건 중 동기요인과 위생요인을 파악하고, 두 요인이 이직의도와 어떤 인과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여 두 직종의 이직률을 낮출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플랫폼노동 연구 동향 분석 (Investigating the Trends of Research for the Platform Work)

  • 방미현;이영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430-44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토픽 모델링과 주제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국내 플랫폼노동에 관한 학술논문 288편을 분석하였다. 다양한 학문 분야의 플랫폼노동에 관한 연구 동향을 양적, 질적 두 가지 방법을 혼합 활용하여 분석 방법의 한계를 보완하고, 연구의 근간이 되는 주요 이론을 도출하여 종합정리함으로 플랫폼노동에 관한 양면성을 고찰하였다. 학문 분야별로는 법학, 경영학, 경제학 순으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고, 플랫폼노동 보호방안, 공유경제의 직·간접적 영향에 관한 주제 연구가 다수 이루어졌다. 핵심 주제어로는 기반이 되는 인프라, 구조적인 변화를 촉진하는 두 가지 측면에서 디지털, 가치, 산업, 노동을 선정하였다. 주요 토픽은 플랫폼 노동자 보호, 공유 서비스 가치, 디지털 패러다임, 공유경제 모델, 플랫폼 규제가 도출되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거시적인 맥락에서의 구조적인 분석 프레임 완성과 플랫폼노동의 다양한 유형을 포함한 사례 분석과 기술 보완의 일반화, 지속성과 공유경제의 본질적인 공생 가치 실현을 위한 개인 수준의 역량 개발 탐구, 맞춤형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설계를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