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네트워크 중심전

검색결과 344건 처리시간 0.033초

공중.미사일방어의 네트워크중심 전장관리체계 발전방안 (Prospective Scheme of Network Based Battle Management System in AMD)

  • 권용수;함병운;김하철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50-60
    • /
    • 2006
  • This work describes a basic concept of network based battle management system in AMD(Air & Missile Defense). The AMD operation inherently is joint concept that each single service do not satisfy the requirements of AMD theater operation. It is integrated system of joint forces that is operated simultaneously. The analysis of the future battlespace and air & missile threat is shown. From this analysis the prospective scheme of network based battle management system in building Korean future AMD is presented.

21세기 초일류기업의 정보기술에 대한 전략적 접근-인터넷 전략 및 가치측정을 중 심으로-

  • 신호균
    • 한국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시스템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기업경쟁력 향상을 위한 정보통신 기술의 활용
    • /
    • pp.267-281
    • /
    • 1997
  • 인류는 정보전달매체의 변화를 통하여 오늘날 정보기술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변 화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언어에 의한 문자혁명을 시작으로 종이에 의한 인쇄혁명, 통 신매체에 의한 통신혁명 나아가 정보기술의 발달로 인한 정보혁명의 시대로 발전하게 되었 다. 정보기술의 발달은 네트워크 및 통신기술의 진전으로 기업의 업무프로세스를 변혁하게 되었으며 기업은 인터넷을 전략적인 경쟁무기로 활용하게 되었다. 글로벌기업은 글로벌시장 에서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하여 21세기 초일류기업으로 살아 남기 위하여 인터넷의 전략적 활용을 더욱 강조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에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는 인터넷의 전 략적 모형 및 비용편익분석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 PDF

NCW를 위한 Military-BcN 요구사항과 아키텍처

  • 이순석;김영선;강성열
    • 정보와 통신
    • /
    • 제26권3호
    • /
    • pp.52-59
    • /
    • 2009
  • 본 고에서는 정보통신 기술과 전쟁이론의 결합을 통하여 새롭게 제시되고 있는 네트워크중심전(Network-centric warfare)의 기본철학을 지원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도구의 통합과 정보의 통합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통신 네트워크의 요구사항을 도출하고, 이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BcN(광대역통합망)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Military-BcN 아키텍처의 기본 설계 방향에 제시한다.

ISO/IEC에서의 미래 네트워크 표준 기술

  • 강신각
    • 정보와 통신
    • /
    • 제29권3호
    • /
    • pp.11-16
    • /
    • 2012
  • 본고에서는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인터넷의 여러 측면에서의 문제점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수 년 전부터 미국, 유럽, 일본 및 한국 등에서 혁신적인 연구개발 접근 방식 (clean-slate design approach)에 따라 적극적인 연구개발이 추진되기 시작하면서 등장한 미래인터넷 (Future Internet) 또는 미래네트워크 (Future Network) 기술에 대해, 정보기술 전반에 대한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는 국제 표준기구인 ISO/IEC JTC 1 산하 SC 6(정보통신) 위원회를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는 관련 표준기술 동향에 대해 기술한다.

ITU-T SG17 5G(IMT-2020) 보안 국제표준화 동향

  • 오흥룡;염흥열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85-92
    • /
    • 2022
  • 한국은 평창 동계올림픽을 통해 세계 최초 5G 상용화 서비스를 시연하였으며, 대부분의 사람들이 5G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도 5G 스마트폰의 사용자수와 5G 네트워크를 이용한 헬스케어, 자율주행, 스마트제조, 가상융합, 대용량 데이터처리 등 산업체 중심의 활용 및 서비스가 계속해서 증가되고 있다. 5G 네트워크는 속도, 대기 시간, 대역폭 측면에서 4G 보다 개선되었지만, 5G 코어 네트워크 자체에 존재하고 있는 보안위협과 5G 네트워크를 구축 및 운영하는 관점에서 다양한 보안 문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보안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UN 산하 정보보호 국제표준을 개발하고 있는 ITU-T SG17에서는 통신사업자 및 부가서비스 제공자들이 5G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운영할때에 요구되는 보안 지침에 대한 국제표준을 개발하고 있다. 본 논문은 ITU-T SG17에서 추진되고 있는 5G 보안 국제표준화 동향에 대해 살펴하고자 한다. (* 참고: ITU 내에 '5G' 용어는 'IMT-2020' 용어로 표기함)

인터넷에서의 이동성 연구 동향 (A Survey on Mobility Support Mechanisms in the Internet)

  • 이계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8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B
    • /
    • pp.882-885
    • /
    • 2008
  • 최근, 다양한 무선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으로 무선 인터넷 접속 종류도 크게 늘었다. 블루투스, IEEE 802.11 무선랜, 802.16e 모바일 와이맥스 (또는 와이브로)외 3G 이동통신망을 통한 무선 인터넷 접속이 그 예이다. 이에 따라, 동종 무선 네트워크간에 또는 이종 무선 네트워크에 걸쳐 무선 단말이 이동시 인터넷 연결이 중단되지 않는 끊김없는 이동성의 지원이 연구자들의 지대한 관심을 끌어왔다. 본 논문은 인터넷에서 무선 단말의 이동성 지원을 위해 최근까지 개발되어 온 여러 프로토콜 연구 동향을 계층별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링크 계층과 네트워크 계층을 중심으로 연구되어 온 이동성 지원 연구는 전송 계층과 응용 계층으로 확장되어, 인터넷 구조의 전 계층이 관련된 이슈가 되었다. 하지만, 전 계층에 걸친 이러한 많은 연구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많은 연구를 필요로 하고 있다.

  • PDF

Spacee Syntax를 이용한 보행자 네트워크 연결성 변화연구 - 청계천복원사업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ing Connectivity of Pedestrain Network Using Space Syntax - Focussing on Restoration of Cheonggyecheon -)

  • 김태호;박주원;고영선;박제진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55-66
    • /
    • 2009
  • 본 논문은 지속가능한 개발 및 도시 내 균형발전의 관점에서 시행된 서울시 청계천복원사업이 도심부 보행네트워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복원 전과 후의 보행네트워크를 Space Syntax를 이용하여 Global Integration 및 Local Integration의 변화 정도를 살펴보았으며, 동서축과 남북축의 주요 가로를 대상으로 비교 분석하여 영향력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Global Integration의 경우 복원 전에는 동서축으로 높게 나타나는데 반해 복원 후 돈화문로, 삼일로의 위계가 커지면서 보행네트워크가 공간적으로 균형 있게 분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Local Integration의 경우 업무 및 상업용도가 주를 이루는 태평로$\sim$삼일로 구간에서는 복원 전 삼일로 방면으로 집중되던 네트워크가 복원 후 동서, 남북축 가로의 연결성이 모두 향상되었다. 공구상가가 중심을 이루는 삼일로$\sim$배오개길 구간에서는 네트워크의 큰 차이는 없으나 전체적으로 통합도가 향상되었다. 또한 시장이 주를 이루는 배오개길$\sim$동대문운동장 구간에서는 복원사업 후 청계천로의 연결성이 크게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청계천복원사업에 따른 영향은 전체적으로 남북축과 동서축 접근이 균형적으로 이루어지게 하였으며, 지역적으로 남북축 연결성의 높은 향상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동서축의 연결성 향상에도 기여함을 알 수 있다.

  • PDF

세계 RTA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한국 FTA 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Korea FTA strategy with the world RTA network analysis)

  • 강동준;박근식
    • 통상정보연구
    • /
    • 제19권3호
    • /
    • pp.3-23
    • /
    • 2017
  • 세계경제의 글로벌화와 함께 국가 간 무역네트워크는 지리적 근접성을 초월해 확장되고 있으며 이러한 무역네트워크의 확장은 세계화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한 칠레 FTA를 시작으로 지난 10년 동안 명실상부한 FTA 강국으로 자리매김 했으며 단기간의 성공적인 네트워크 구축은 체결국과의 교역증대, 해외시장 점유율 상승 등 긍정적 경제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다른 국가 역시 지역경제 통합 및 양자간 무역협정 네트워크 형성으로 경제 패러다임 전환을 이루고 있어, 전체 RTA 및 FTA 네트워크에 대한 이해를 통한 새로운 기회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960년대부터 현재시점까지의 세계 각국의 RTA 및 FTA 현황을 파악하고 사회네트워크분석을 통해 네트워크 구조와 중심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 전 세계 FTA 네트워크의 구조는 점차 확장 중에 있으며 초기 유럽중심에서 아시아권 국가들의 성장이 두드러지고 있다. 중심성(Degree, Betweenness, Closeness 및 Eigenvector)분석결과 한국은 짧은 기간 동안 모든 중심성 지표에서 상위권을 차지하며 전략적으로 FTA 성과를 이룬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FTA를 거시적 관점으로 살펴보고 이를 통해 세계 FTA의 구조와 한국의 FTA 전략을 평가하고 네트워크적 관점의 FTA 네트워크를 평가하였다.

  • PDF

소셜 네트워크에서 k-쉘 분해를 이용한 사용자 영향력 판별 (User Influence Determination using k-shell Decomposition in Social Networks)

  • 최재용;임종태;복경수;유재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46-54
    • /
    • 2022
  • 소셜 네트워크에서 영향력을 판별하기 위한 기존 기법들은 소셜 네트워크에서 활동하지 않는 사용자의 수가 증가되는 상황에서 활동을 중단하기 전에 기존 관계를 삭제하거나 갱신하지 않기 때문에 정확하게 사용자의 영향력을 판별하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소셜 네트워크의 사용자 생성 일자를 기반으로 한 시간적 k-쉘 분해 방법을 사용하여 영향력 있는 사용자들을 판별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소셜 네트워크에서 오래된 사용자들의 영향력이 높아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주변 이웃의 노화에 따른 감쇠 계수를 k-쉘 분해와 연령 별 차수 중심성을 적용한다. 연령-감쇠 k-쉘 분해와 연령 별 차수 중심성에 감쇠 계수 및 연령에 따른 가중치들을 적용해 현 시점에서 영향력 있는 사용자들을 판별한다. 제안하는 기법의 우수성을 입증하기 위해 다양한 성능 평가를 수행한다.

암묵지전이 활성화를 위한 BSKT(Brokering Systems for tacit Knowledge Transfer)개발 (Development of BSKT For Cultivating Tacit Knowledge Transfer)

  • 홍종의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39-48
    • /
    • 2016
  • 암묵지는 전이를 통해 증식되며, 가치 또한 증대된다. 암묵지 전이는 조직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암묵지 전이가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암묵지 전이는 활발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암묵지 전이를 방해하는 장벽이 암묵지 전이를 저해하고 있기 때문이다. 암묵지 전이를 방해하는 장벽은 지식과 지식전문가에 대한 이해부족, 업무 가중 및 미흡한 보상, 신뢰부족과 지식 접착성(Knowledge Stickiness)이다. 암묵지 전이의 장벽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암묵지 지식전이를 주도적으로 추진하는 대리인이 필요하다. 지식중개자는 암묵지 전이를 위한 근간이며, 효율적인 지식네트워크의 구축은 암묵지 전이를 위한 핵심성공요소이다. 그러나 지식네트워크 관련된 대부분의 연구는 네트워크의 근접성과 밀도, 중심성 등 기초지표를 활용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암묵지 전이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지식중개인 진단 프레임워크가 필요하다. 따라서 사회연결망분석을 기반으로 조직관점 및 지식근로자관점의 암묵지 전이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BSKT 구축안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