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내적 동기

검색결과 233건 처리시간 0.03초

경호무도 전공생의 동기가 열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assion to Motivation on Major Students for Security Martial Arts)

  • 김동현;임태희
    • 시큐리티연구
    • /
    • 제44호
    • /
    • pp.37-58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경호무도 전공생들의 전공에 대한 동기 수준이 열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393명의 경호무도 전공생을 목적적 표집방법을 활용하여 선정하였다. 조사도구는 참여동기와 열정으로 총 45문항을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기술통계, 탐색적 요인분석,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경호무도 전공생의 동기는 조화열정과 영향관계를 갖는다. 둘째, 경호무도 전공생의 동기는 강박열정과 영향관계를 갖는다. 셋째, 경호무도 전공생의 동기는 전공에 대한 일체감과 영향관계를 갖는다. 넷째, 경호무도 전공생의 동기는 열정의 선호도와 영향관계를 갖는다. 다섯째, 경호무도 전공생의 동기는 열정의 가치와 영향관계를 갖는다. 여섯째, 경호무도 전공생의 동기는 열정의 투자와 영향관계를 갖는다. 종합해 볼 때, 경호무도 전공생의 전공에 대한 동기 중 가치부여와 내적만족과 같은 내적 동기 수준이 높으면 열정과 전공에 대한 일체감 그리고 열정의 선호, 가치, 투자성이 높아진다. 반면 무동기 수준이 높으면 조화열정과 전공에 대한 일체감 그리고 열정의 선호, 가치, 투자성이 낮아진다.

  • PDF

동기유발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학습동기와 자기효능감의 변화 (Change of Learning Motivation and Self-Efficacy according to Participation in a Motivational Program)

  • 강경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28-134
    • /
    • 2013
  • 본 연구는 대학 체육계열 신입생을 대상으로 4주간의 동기유발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이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학습동기와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C도에 위치한 2개 대학 체육계열 학과를 편의 표본추출 방법에 의해 선정하여 각각 실험집단(37명)과 통제집단(29명)으로 분류하였으며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학습동기 척도는 외적동기, 내적동기로 분류하였고 자기효능감 척도는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로 구성하였다. 자료분석은 대음표본 t-검증, 일원변량분석,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동기유발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학습동기를 분석한 결과 외적동기에서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 대한 집단내 비교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내적동기와 외적동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동기유발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자기효능감을 분석한 결과 모든 하위요인에서 집단간에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 대한 집단내 비교에서 실험집단의 자신감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배드민턴 지도자-선수관계로 예측한 임파워먼트 및 동기 (Empowerment and motivation predicted by relationship between badminton coaches-athletes)

  • 이미숙;김홍기;남정훈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3권1호
    • /
    • pp.179-190
    • /
    • 2012
  • 본 연구는 배드민턴 지도자와 선수의 관계적 특성을 근거로 배드민턴 선수들의 임파워먼트와 스포츠 동기에 대하여 선수들이 인지하고 있는 지도자-선수관계의 기여도를 규명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결과 첫째, 배드민턴 지도자-선수관계는 배드민턴 선수의 임파워먼트의 형성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배드민턴 지도자-선수관계는 배드민턴 선수의 스포츠 동기 중 내적동기와 외적동기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무동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배드민턴 선수의 임파워먼트는 스포츠 동기의 내적동기와 외적동기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동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기업가정신 및 창업동기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cial Entrepreneurship on Entrepreneurial Motivation and Intention in Social Enterprises)

  • 정영수;정철호
    • 벤처창업연구
    • /
    • 제18권3호
    • /
    • pp.115-125
    • /
    • 2023
  •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에서 사회적 기업가정신 및 창업동기가 창업의지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파악해 보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목적의 효과적인 달성을 위해 관련 선행문헌에 대한 종합적 고찰 결과를 토대로 연구 모형 및 가설을 개발하였다. 연구 모형은 사회적기업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혁신성, 위험감수성, 진취성, 사회적 가치 지향성을 포함하는 사회적 기업가정신과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로 구성된 창업동기를 설정하였다. 연구를 위해 사회적기업 관련 예비창업자 및 초기창업자 총 11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했으며, 이를 토대로 연구 모형 및 가설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기업가정신의 네 가지 구성요소 모두는 내적 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기업가정신 중 혁신성과 진취성은 외적 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위험감수성과 사회적 가치 지향성은 외적 동기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사회적 기업가정신의 네 가지 구성요소는 모두 창업의지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내적, 외적 창업동기 모두는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기업가정신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내적, 외적 창업동기는 모두 긍정적인 매개역할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 영리기업과는 차별화된 특성을 가지는 사회적기업을 대상으로 창업 인식 및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기업가정신, 창업동기를 구체화했으며, 이들 요인 간의 영향관계에 관한 실증분석을 통해 학문적, 실무적 차원의 시사점 도출을 시도하였다.

  • PDF

일터영성이 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창의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Workplace Spirituality and Team Productivity : Mediating Effect of Employee Creativity)

  • 전기석;데이비드 패스모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513-524
    • /
    • 2019
  • 본 논문의 목적은 일터영성이 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의 관계 속에서 창의성의 매개효과를 연구하는 것이다. 최근 한국에서는 조직의 실무자들과 연구자 그룹에서 일터영성에 대한 관심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반면, 한국 조직의 맥락에서 일터영성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은 아직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터영성과 팀 생산성, 그리고 창의성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창의성은 내적 동기와 긍정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다. 일터 영성은 내적 동기요소로서 임직원의 창의성을 촉진하는 것 뿐 아니라 이를 통해서 조직의 성과에도 효과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기업 임직원 514명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일터영성 세 가지 요소인 내적 삶과 의미 있는 일, 그리고 조직소속감은 창의성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또한 창의성은 일터영성과 팀 생산성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이에 따라 이론과 실무적 차원의 시사점을 기술하였다.

지역사회 비영리 공연 관람객의 관람동기와 지역사회만족도 간의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and Community Satisfaction of Audience for Non-profit Performing Arts)

  • 좌종은;박설우
    • 서비스연구
    • /
    • 제13권4호
    • /
    • pp.47-69
    • /
    • 2023
  • 본 연구는 지역사회 비영리 공연 관람객의 동기와 지역사회만족도 간 매개효과로써 공연만족도와 관객충성도를 살펴보는 것이다. 동기는 내적/외적으로 구분하여 관객의 심층적인 욕구를 알아보았다. 데이터 구축을 위해 지난 1년간 제주지역 비영리 공연 관람 경험이 있는 관람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363명에 대한 설문자료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내적/외적 동기 수준이 높을수록 대체로 공연에 대한 만족과 충성도는 높게 나타났지만(H1, H2, H3), 외적동기가 충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H4). 그러나 2가지 동기 모두 공연만족도를 매개하여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H5,H8). 공연에 대한 만족이 지역사회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H6), 관객충성도는 지역사회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H7). 관람동기의 경우, 지역사회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공연만족도는 매개효과를 보이지 않았다(H9). 관객충성도의 경우 내적동기는 매개효과를 보였지만 외적동기는 매개효과를 보이지 않았다(H10). 동기-만족도-충성도-지역사회만족도는 순차적인 단계의 프로세스를 보였다(H11). 결과적으로, 지역주민들이 비영리 공연에 관심을 가지고 참여한다면 해당 지역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갖게 된다. 따라서 지역 차원에서 제공되는 공연예술은 지역 발전의 중요한 요소로써 인식되어야 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와 관련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대졸자의 대학 전공선택동기와 전공선택후회에 따른 특성 차이: 대학생활, 취업목표, 첫 일자리 만족을 중심으로 (Analysis of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by College Graduates'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Regret: Focused on College Life, Employment Goal, First Job Satisfaction)

  • 강혜영;정태종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55-165
    • /
    • 2017
  • 본 연구는 대졸자를 대상으로 전공선택동기와 전공선택후회에 대해 살펴보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대학의 전공선택동기에 따라 전공선택 후회여부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대학의 전공선택동기에 따라 전공선택 후회이유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전공선택동기와 전공선택후회에 따른 네 집단 간에 대학생활, 취업목표, 첫 일자리 만족 등에 차이가 있는가 하는가?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2013년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자료를 활용하여 교차분석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흥미나 적성과 같은 내적동기로 전공선택을 할 경우에 외적동기의 경우보다 적게 후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적동기로 전공선택을 한 경우에 가장 큰 후회이유는 '취업의 어려움'이었으며, 외적동기의 경우에는 '적성에 맞지 않음'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공선택동기와 전공선택후회여부에 따른 네 집단 간에 대학생활, 취업목표, 첫 일자리 만족도 등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생활체육 테니스동호인의 참여동기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articipation Motivation on Job Satisfaction of Sport for All of Tennis Participants)

  • 이건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4528-4536
    • /
    • 2015
  • 본 연구는 생활체육 테니스 참가자의 참여동기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본 연구에 표집된 설문자료 중에서 340명의 자료를 토대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체육 테니스 참가자의 참여동기의 기술발달, 사교, 즐거움, 외적과시, 건강과 체력은 직무만족의 내적만족에서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무동기에서는 부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참여동기의 기술발달, 사교, 즐거움은 외적만족에서 부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무동기에서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한편 외적과시, 건강과 체력에서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생활체육 테니스 참가자의 참여동기가 내적만족에서 기술발달, 무동기, 즐거움, 건강과 체력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생활체육 테니스 참가자의 참여동기가 외적만족에서 즐거움, 외적과시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환경소비행동 집단 간 내적동기, 외적동기와 환경지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f Intrinsic Motivation, Extrinsic Motivation and Environmental Knowledge in the Eco-Friendly Consumption Behavior between Groups)

  • 유두련;김년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0권6호
    • /
    • pp.151-166
    • /
    • 2012
  • The major findings are(were) as follows: 1) The Eco-friendly consumption behavior was divided into three(3) clusters, namely "The Middle Group" of eco-friendly consumption behavior(cluster I), "The Inferior group" of eco-friendly consumption behavior(cluster II), and "The Excellent Group" of eco-friendly consumption behavior(cluster III). 2) The differences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mong the three clusters were founded on the experience of green consumption information and sources of information. 3) The characteristics of cluster I(The Middle Group) were(are) found to be eco-conscious, and aware of the consequences of behaviors, green market conditions and environmental issues. This cluster was the middle-average group. The characteristics of cluster III(The Excellent Group) were(are) found to have the willingness to pay additional costs, being aware of the social norms of the reference group, having an awareness of eco-institutional conditions, being knowledgeable about environmental policy, and finally, being personally involved in green consumption behavior. This cluster was the high-average group, whereas cluster II(The Inferior Group) was the low-average group.

컴퓨팅사고력을 고려한 교육과정을 적용한 정보영재들의 창의적 성격과 내적동기 분석 (Analysis of Creative Personality and Intrinsic Motivation of Information Gifted Students Applying Curriculum Based on Computing Thinking)

  • 정종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139-148
    • /
    • 2019
  • 국가의 미래를 위하여 과학영재육성은 매우 중요하며 특히 4차 산업의 시대에서는 정보영재의 육성은 더욱 중요하다. 대학교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는 정보영재를 양성하고 있는데 각 영재교육원마다 표준화된 교육과정이 없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컴퓨팅 사고력을 바탕으로 개발한 교육과정이 정보영재의 정의적 특성에 얼마나 효과적인지 분석하였다. 컴퓨팅 사고력의 구성요소를 고려하여 개발한 교육과정을 K대학교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정보영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교육과정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창의적 성격 검사지와 내적동기 검사지를 개발하여 교육과정의 실행이전과 이후에 각각 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전-사후 검사결과를 R프로그램으로 t-검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창의적 성격 검사지는 모험성, 자아수용, 호기심, 유머, 지배성, 자율성 6가지 요소로 36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내적 동기검사는 호기심 및 흥미 중시성향, 도전적인 학습과제 선호성향, 독자적 판단 의존 성향, 독자적 숙달 성향, 내적 준거성향 5요소로 2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에 대한 교육과정이 창의적 성격에 미치는 효과는 유의도 0.009로 유의도 0.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내적동기에 미치는 효과는 유의도 0.056로 유의도 0.05수준에서 아주 간소한 차이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