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내용 구성

Search Result 5,298,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Representative Feature Extraction of Objects Using VQ and Its Application To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VQ를 이용한 영상의 객체 특징 추출과 이를 이용한 내용기반 영상 검색)

  • 정세환;유헌우;장동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b
    • /
    • pp.359-361
    • /
    • 1999
  • 내용 기반 영상 검색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Vector Quantization을 이용하여 영상을 구성하는 주요 객체들의 특징 추출 방법을 제안한다. 내용 기반 검색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영상의 주요 특징들은 색상, 질감, 형태 및 영상을 구성하고 있는 객체들의 공간적 위치 등이 사용된다. 이러한 특징들 중에서 어떤 특징들을 사용하고 또 어떤 방식으로 결합하느냐에 따라 혹은 영상의 특성을 잘 나타낼 수 있는 주요 특징을 어떻게 추출, 표현하느냐에 따라 검색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 중 본 논문에서는 일반적인 색상, 질감 특징 추출방법과 더불어 Vector Quantization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정지 영상을 구성하고 있는 객체들의 대표 색상과 질감 특징을 빠르게 추출하고 이를 내용 기반 검색에 이용함으로써 객체의 위치, 회전 및 크기 변화에 무관한 검색을 가능케 했다. 연구의 실험 결과 VQ를 이용함으로써 대표특징치 추출시간을 줄일 수 있었고 검색시 색상과 질감 특징의 가중치를 각각 0.5, 0.5로 주는 것이 가장 높은 검출율을 보였으며 제안된 방식에 의해 '사람' 영상의 경우 0.9의 검출율을 보였다.

  • PDF

웹기반 연구윤리 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온라인 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 Lee, Jong-Gi;Ha, Se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8.10b
    • /
    • pp.567-574
    • /
    • 2008
  • 국내에서 2005년 황우석 연구윤리 부정 사건 이후 연구윤리가 많은 도전을 받고 있다. 국내 연구윤리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연구윤리교육 확산을 위해, 온라인 콘텐츠를 개발하고자 한다. 먼저 온라인 콘텐츠의 구성은 다음 내용으로 준비한다. 첫째, 연구자를 위한 연구윤리 교육 자료 둘째, 국내의 연구윤리 위반 사례 셋째, 미국대학교의 연구윤리 사례 넷째, 우리 실정에 맞는 연구책임자급 교육내용의 준비이다. 이와 같은 연구윤리 교육 콘텐츠를 준비한 후, 연구윤리교육을 위한 시스템 구성에 대한 내용을 살펴본다. 본 연구는 먼저 온라인 콘텐츠의 개발에 초점을 자지고 있다. 아울러 오픈 소스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러한 연구윤리 교육 콘텐츠를 탑재 하고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의 내용들을 정리하였다.

  • PDF

The Development of Study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Knowledge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e - An Explorative Study (예비유아교사 지식정보처리역량 구성 방향 탐색)

  • Choi, Dea-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1a
    • /
    • pp.103-104
    • /
    • 2020
  • 본 논문은 예비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 요구되는 핵심역량 중 재개념화가 필요한 지식정보처리역량의 구성방향과 이를 위한 교육내용 탐색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과거 정보화역량과 지식정보처리역량의 개념 및 가치를 비교하여 기초내용을 구성한 후 현장전문가, 교육전문가, 예비교사 등 15인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 연구방법을 통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한다. 본 논문에서는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예비유아교사의 지식정보처리역량을 교육현장의 문제해결을 위하여 다양한 영역의 지식과 정보를 처리하고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이라 개념정의 하였고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이를 위한 교육내용을 설정할 것이다. 본 논문을 통해 제시된 예비유아교사의 지식정보처리역량의 개념 및 교육내용은 예비유아 교사양성과정의 교육과정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PDF

Contents and Pedagogical Styles of Food and Nutrition in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from the Constructivist Perspective (구성주의 관점에 기초한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식생활 교육내용 및 내용 전달 방식 분석)

  • Lee, Youngeun;Yoon, Jihyun;Lee, Soo-Hee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31 no.4
    • /
    • pp.41-62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contents and pedagogical styles of Food and Nutrition in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could promote constructivist learning. For this, Food and Nutrition contents of 12 current textbooks were analyzed, based upon the learning factors derived from both a practical problem-focused curriculum from the constructivist perspective, and the current home economics curriculum from the objectivist perspective. Pedagogical styles of the texts and exercise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neutral informative, injunctive, persuasive, and participative, out of which 'persuasive' and 'participative', in particular reflect the constructivist perspective.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results of Food and Nutrition contents showed that of 14 learning factors, 13 of the textbooks corresponded well to the current curriculum(92.9%). On the other hand, Out of the 26 learning factors, 18 of the textbooks corresponded to the practical problem-focused curriculum(72.4%). Classified into each stage of the practical problem solving processes, only learning factors related with 'the concepts of the valued ends' were fully covered. However, the other learning factors related with the concepts of 'the practical problem', 'the context', 'the action' and 'the consequence', that is the factors particularly related with 'the concepts of the context', were not properly addressed. Besides, learning factors were not addressed from diverse viewpoints, especially from the social perspective. Second, the analysis of pedagogical style related to Food and Nutrition illustrated that the neutral informative(59.9%) in texts, and the participative in exercises(60.4%), were most common. However, persuasive and participative were insufficient in texts(22.1%). Furthermore even though the exercises, are more likely to be described from the constructivist perspective, nearly none of the exercises was considered from the social perspective.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Food and Nutrition in Korean home economics textbooks need to reflect constructivist learning better.

A Study on the contents property of online pregnant electronic bulletin boards by using network analysis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온라인 임신 Q&A 게시판의 내용적 특성에 관한 연구)

  • Kwon, Sun young;Ju, seo 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3.08a
    • /
    • pp.31-36
    • /
    • 2013
  • 국내에서 온라인 커뮤니티는 1990년대 말 인터넷과 개인 PC의 급속한 보급으로 인해 대중화되기 시작했다. 커뮤니티는 이용자 간 활발한 커뮤니케이션을 기반으로 구축되고 있으며 이러한 커뮤니케이션은 일상적인 언어적 맥락을 바탕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커뮤니티의 내용 분석은 연구자의 직관에 의해 수행되기 마련이나 연구대상의 양이 많아질 경우 연구자의 직관만으로는 이를 분석하는데 제약이 있을 수 있다. 네트워크 분석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 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온라인 임신 Q&A 게시판의 내용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수집한 데이터의 전체적인 내용적 특성을 살펴본 후, 게시글 작성자인 임산부의 임신 시기에 따른 게시글의 내용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임신시기별로 핵심적인 단어의 빈도의 차이가 있었으며 네트워크의 구성 또한 다른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성별에 따라서도 그 내용적 특성이 다른 것을 살펴 볼 수 있었다.

  • PDF

Contents and Organization of Geographic Education in Social Studies Curriculum-A Comparative Case Study of U.S. and Korea (한.미 지리교육의 내용과 조직 비교)

  • 박선미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6 no.2
    • /
    • pp.191-210
    • /
    • 2001
  • 본 연구는 지리교육의 내용 선정과 조직에 대한 기초 연구로써, 우리나라 제 7차 사회과 규과정에서 명시하고 있는 지리교육의 방향, 내용 및 조직을 분석하고 뉴욕주의 2000년 에 제시된 그것과 비교하였다. 우리나라와 미국의 지리교육의 내용과 조직에 대한 연구는 양국의 교육과정 개발 관점에 대한 분석과 더불어 현대 사회에서 교과로써 경쟁력을 갖춘 지리교육의 방향 및 지리적 지식의 성격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한다. 뉴욕주의 지리교육은 <기본으로의 복귀> 분위기 속에서 지리교육에서 학습해야 할 6가지 핵심 요소를 추출하고 그에 따라 내용을 체계화한 반면 우리 나라의 경우 한국과 세계의 지역지리, 계통 지리의 내용을 나열적으로 학습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백과사전식 내용 구성은 정보화 사회에서 지리교육의 역할을 스스로 축소시키고 지리교육에 대한 학생의 관심과 흥미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미국 뉴욕주의 지리 내용과 조직은 우리나라 지리교육과정의 내용 구성 방향에 많은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지리교육의 생장력을 키우기 위한 지리 내용은 현대 사회 및 학습자의 요구와 지리학의 경향과 쟁점에 근거하여 그 핵심 요소가 선정되어야 하고, 지역적 방법과 계통적 방법을 적절하게 결함시켜 역동적이고 흥미있게 조직되어야 한다.되어야 한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f South and North Korea on Mathematics Textbook and the Development of Unified Mathematics Curriculum for South and North Korea (II) - Focusing on the Elementary School Textbooks of South and Those of North Korea - (남북한 수학 교과서 영역별 분석 및 표준 수학 교육과정안 개발 연구 (II): 남북한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의 구성과 전개방법 비교)

  • 임재훈;이경화;박경미
    • School Mathematics
    • /
    • v.5 no.1
    • /
    • pp.43-58
    • /
    • 2003
  • This study intends to compare the structure of contents and the way of developing concepts in mathematics textbooks of south and those of north Korea. After thorough investigations of the textbooks from south and north Korea, the following three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First, the mathematics textbooks of south Korea tends to spread out contents across several grades, while those of north Korea have a tendency of centralization in terms of locating contents Second, in the textbooks of South Korea, mathematics concepts are permeated through real world situations, and students gradually acquire those concepts mostly through activities. This is different from the approach of the north Korean textbooks in which various problems play a key role in explaining concepts. Third, the main strategy of introducing contents in the textbooks of south and that of north Korea corresponds to 'guidance' and 'explanation' respectively. Exploratory questions leading to the concepts are more emphasized in the textbooks of south Korea, on the other hand, meaningful explanation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textbooks of north Korea.

  • PDF

광학관련 최근 대법원 판례 소개

  • Korea Optical Industry Association
    • The Optical Journal
    • /
    • s.99
    • /
    • pp.76-79
    • /
    • 2005
  • 본 고에서는 최근 광학관련 특허출원 제1991-6896호 대법원 판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본 사례는 1991년 특허출원을 했으나 그에 앞서 유사한 내용으로 유럽 쪽에서 낸 특허내용에 비해 진보성이 떨어진다는 판단아래 특허청, 특허심판원, 특허법원 등에서 번번이 기각이 됐고, 최종적으로 지난해 4월 28일 대법원이 원심판결 파기환송을 함으로써 특허출원인의 손을 들어줬던 사건이다. 이번 사건을 통해 주목해야 할 것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구성’의 의미가 포괄하는 범위이다. 즉, 발명을 이루는 구조적요소, 수단 및 그 결합관계의 한정이‘발명이 구성에 해당된다’는 것. 또한 구조적 요소에 의해서만 특정하는 것은 곤란하고 구조만으로 특정하려 할 때 종래기술과, 기술적으로 구별하기 어렵다면 구조적 사항 외에 요소도 발명의 구성에 해당된다는 것. 마지막으로 성질 또는 특성 등에 의하여 물건을 특정하려고 하는 기재를 포함하고, 성질 또는 특성이 그 발명의 내용을 한정하는 사항이라면 이것 역시 발명의 구성에 해당된다는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eacher Training Material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교사 연수용 환경 교육 자료 개발을 위한 연구)

  • Yi, Bum-Hong;Chae, Kwang-Pyo;Kim, Joo-Hoon;Lee, Yang-Ra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7 no.1
    • /
    • pp.81-87
    • /
    • 1987
  • 본 연구는 교사연수용 통합적 환경교육자료 개발을 위해 수행되었다. 기존의 환경교육 관계 자료의 검토 분석, 전문가 협의회를 통한 개발 방향의 검토, 현행 초 중등 교과서 환경교육 관련 내용의 분석을 통해서 통합적인 환경교육자료 개발의 필요성과 방향을 정립하였다. 개발되는 자료는 환경 교육의 기초 부분과 교수 학습 활동 부분으로 크게 나누어서 앞 부분에는 기본 개념과 원리 등의 내용으로 구성하였으며 뒷 부분은 환경교육 각 영역에 관련되는 실제 활동 위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그 주요 내용은 환경의 구성, 환경문제, 환경 교육의 방향, 인구문제와 환경오염, 산업화와 환경오염, 공기오염, 물의 오염, 토양 오염, 그 밖의 오염으로 구성하기로 하였다.

  • PDF

해양안전심판원 재결요약서의 구성 분석에 관한 연구

  • Park, Cho-Hui;Gang, Yu-Mi;Im, Jeong-B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05a
    • /
    • pp.169-17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재결요약서의 구성과 사고 기술 방법 등을 고찰하여 분석을 통해 재결요약서의 오류들을 보완하고자 한다. 해양안전심판원에서 간행하고 있는 재결요약서는 사건명, 해양사고관련자, 판시사항, 원인판단 주제어, 사건개요, 주문, 참고사항, 교훈 등으로 구성되어있다. 약 4,200건의 재결요약서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단순한 오타를 포함하여 내용중복의 오류, 용어의 혼용 등의 문제들이 있었다. 이러한 오류 수정을 통해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재결요약서 작성에 필요한 내용들을 연구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