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내시경 절제술

검색결과 116건 처리시간 0.032초

폐렴후 합병된 농흉 치료에 대한 비디오 흉강경적 박피술 (Video-Assisted Thoracoscopic Decortication for management of Postpneumonia Empyema)

  • 김보영;오봉석;양기완;임진수;서홍주;박종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1호
    • /
    • pp.21-25
    • /
    • 2003
  • 농흉의 치료에서 흉막박피술 또는 괴사조직 절제에 비디오 흉강경을 사용한 수술(VATS)이 유용한 치료로서 제시되고 있지만 아직은 검증이 필요한 단계이나. 농흉의 시기에 관계없이 시행한 농흥의 흉강경적 치료에 대한 우리의 수술방법과 경험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흉강내 감염을 보이는 40명의 환자에서 흉막박피술과 괴사조직 절제에 비디 흉강경을 사용한 수술을 내시경 세이버(endoscopic shaver system)로 시행하였다 수술전후 결과에 대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고 이 수술방법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결과. 감염된 흉막액의 배출과 흉박피술 비디 흉강경을 사용한 수술은 40명중 35명에서 성공적으로 시행되었다. 전원 되기 전 술전 증상의 평츈 기간은 23$\pm$1.8일 이었고, 수술을 위해 전과되기 전의 평균 입원기간은 13.5$\pm$1.5일이었다. 실혈량은 200dp서 250 mL 이었다. 흉관 배액은 5$\pm$3일간 필요하였고, 수술후 입원은 5$\pm$0.7 일이었다. 수술사망율은 없었다. 결론 :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감염된 흉막액을 배농하고 박피술을 시행하는 것은 섬유성 화농성기의 농흉을 치료하는데 있어 효과적인 치료방법 중의 하나이며, 만성기농흉의 기질화된 유착 때문에 가금 개흉술을 통한 박피술이 필요할 때도 있지만, 이러한 유착자체가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배농술과 박피술의 절대적 금기는 아닌 것으로 생각된다.

근위부 위절제술 후 재건 술식에 따른 경과 관찰 (Subjective and Functional Results after a Proximal Gastrectomy: Prospective Study for Comparison of Reconstruction Procedures)

  • 김지훈;육정환;김병식;오성태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6권1호
    • /
    • pp.1-5
    • /
    • 2006
  • 목적: 근위부 위절제술 후 식도-위 문합술을 시행받은 환자에서 문합부 협착, 역류성 식도염 등이 드물지 않게 발생한다. 저자들 역시 이러한 합병증을 경험하였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공장간치술을 시행하였으며 식도-위 문합술과 공장간치술 간의 경과 관찰을 통해 보다 나은 재건 술식을 찾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6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외과에서 상부위암 혹은 위상부의 위장관기질종양으로 진단받고 근위부 위절제술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재건 술식에 따른 수술시간, 수술 후 증상, 체중변화, 추적관찰 시 시행한 내시경 소견 등을 비교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 총 33명의 평균연령은 59세였고, 남녀 비는 3 : 1이었다. 식도-위 문합술을 시행한 환자는 25명, 공장간치술을 시행한 환자는 8명이었다. 통과장애, 속쓰림, 신트림, 구토 등의 증상을 관찰하였으며 식도-위 문합술 환자에서 통과장애 12예, 구토 3예, 속쓰림 4예, 신트림 4예가 관찰되었으며, 공장간치술 환자에서는 통과장애 12예, 구토 3예가 있었고, 속쓰림과 신트림은 관찰되지 않았다. 수술 후 체중변화는 1개월 후 수술 전 체중의 90%까지 감소한 경우가 식도-위 문합술 환자에서 7예, 공장간치술 환자에서 없었다. 수술 후 추적 내시경 검사 결과 역류성 식도염이 관찰된 경우는 식도-위 문합술 환자에서 9예, 공장간치술 환자에서 0예였다. 문합부위 협착으로 인해 풍선 확장술이 필요하였던 경우가 식도-위 문합술 환자에서 4예, 공장간치술 환자에서 1예가 있었다. 결론: 상부 위절제 시 재건방법으로 역류성 식도염 및 여러 소화기 증상을 예방하기 위해 공장간치술이 식도-위문합술의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통계적 유의성을 가지기 위해 더 많은 대상군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 PDF

내측 반월상 연골판 후각 기시부 파열의 특징 및 관절경 소견 (Clinical and Arthroscopic Findings of Medial Meniscus Posterior Horn Insertion Tear)

  • 이준영;김동휘;하상호;이상홍;강정훈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3-38
    • /
    • 2009
  • 목적: 중년 이후에서 흔히 일어나는 내측 반월상 연골판 후각 부착 부에 발생하는 방사상 파열의 임상적 특성과 관절경적 소견을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1월부터 2007년 4월까지 본원 정형외과에 내원하여 슬관절 내시경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관절경상 내측 반월상 연골판 후각 부착 부 파열이 관찰되었던 환자 40명, 40례에 대해 의무 기록을 통한 후향적인 검사를 시행하였다. 남자 7명, 여자 33명이고, 평균 연령61(47~80)세이며, 외상 병력의 유무, 동반된 관절염의 등급 및 통증 발생 후부터 수술까지의 기간(유병기간), 자기공명영상 소견, 임상 증상 및 파열단의 모양과 치료법 등을 검토하였다. 결과: 외상 병력이 있었던 경우가 6례며, 34례는 외상 병력이 없었다. 단순 방사선 사진상 Kellgren-Lawrence 분류는 0-II형이 31례, III형은 9례 였으며, 관절경상 대퇴골 내과의 관절 연골 상태는 Outerbridge grade IV 형이 17례, III 형이 4례, II 형이 9례, I 형이 9례이었다. 유병기간은 평균 5.3개월이었으며, MRI 소견으로는 전례에서 축상면 또는 관상면에서 틈(cleft)나 시상면에서 유령 징후(ghost sign) 중 1개 이상이 관찰되었다. 파열단의 모양은 18례가 뭉툭한 형태, 12례가 수평 파열, 10례가 퇴행성 파열이었으며 수술법으로는 연골판 아전 절제술을 16례, 부분 절제술을 10례, 봉합술을 14례에서 시행하였다. 결론: 중년 이후의 연령에서 반월상 연골판 후각 부착부 파열은 외상 병력이 드물게 발생하며 심한 기계적 증상을 호소하며, 관절염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치료로 절제술 뿐만 아니라 봉합술을 시도해 볼만한 파열이 있었으며, 추후 그 치료 결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PDF

심와부 복통으로 내원한 5세 소아에서의 위 선근종 1례 (A Case of Adenomyoma of the Stomach in a Child Presenting Epigastric Pain)

  • 허미영;정지아;최금자;성순희;서정완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4권1호
    • /
    • pp.99-103
    • /
    • 2001
  • 심한 심와부 동통과 구토를 주소로 내원한 5세여아에서 상부 위장관 내시경으로 위유문동에서 중심요와를 보이는 비정상적인 주름을 관찰하였다. 복통이 계속되어 이소성췌장으로 생각하고 위부분절제술을 시행하여 치료한 위 선근종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기관지 단단 국균증 1예 (A Case of Bronchial Stump Aspergillosis)

  • 이희승;류종철;박태군;박태준;양은수;최수전;곽영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1권3호
    • /
    • pp.299-301
    • /
    • 1994
  • 저자들은 폐결핵으로 우중엽절제술 후 발생한 기관지 단단 국균증을 기관지 내시경으로 진단, 치료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양측 액와유방 접근법과 개방성 접근법과의 비교를 통한 일측 액와유방 접근 내시경 갑상선 전 절제술과 중심 경부 절제술의 수술적 완전성에 대한 평가 (Evaluation of Surgical Completeness in Endoscopic Total Thyroidectomy with Central Neck Dissection via a Unilateral Axillo-Breast Approach Compared with Bilateral Axillo-Breast and Open Approach)

  • 최익준;임일한;이병철;이국행;이명철
    •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
    • 제61권12호
    • /
    • pp.697-701
    • /
    • 2018
  •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surgical completeness in endoscopic total thyroidectomy with central neck dissection via unilateral axillo-breast approach (UABA) compared with bilateral axillo-breast (BABA) and open approach (OA) by means of the radioactive iodine uptake (RAIU) ratio and thyroglobulin (Tg) of remnant thyroid. Subjects and Method From July 2010 to March 2013, 82 patients who had underwent total thyroidectomy with central neck dissection and postoperative radioactive iodine (RAI) ablation for papillary thyroid carcinoma were enrolled. Of these patients, 27 patients underwent UABA, 24 patients BABA, and 31 patients OA. Clinicopathologic data, surgical outcome, stimulated Tg and RAIU ratio on the first postoperative RAI ablation scan were compared among 3 groups. Results Patients in the endoscopic surgery groups (UABA, BABA) were younger than those in the OA groups. Invasiveness such as operation time, postoperative pain, and drain amount in UABA was less than that in BABA and severer than that in OA. Other variables regarding clinicopathologic and surgical data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Stimulated Tg and RAIU ratio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3 groups (p=0.659 and p=0.664). Conclusion The completeness of UABA was comparable with that of BABA and OA. The UABA may be a safe option for patients who need endoscopic thyroidectomy for papillary thyroid carcinoma.

위암 환자에서 원위부 위절제 후 공장낭 간치술 (Jejunal Pouch Interposition (JPI) after Distal Gastrectomy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 전해명;김욱;허훈;이준현;원종만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4권4호
    • /
    • pp.242-251
    • /
    • 2004
  • 목적: 최근 조기위암 환자가 증가하기 때문에 수술 후 환자의 영양상태 개선을 포함한 삶의 질에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그러나 원위부 위절제 후 많이 이용되고 있는 Billroth-I, II 및 Roux-en-Y 술식은 남은 위의 작은 용량과 십이지장 우회에 따른 철분, 지방, 칼슘, 카로틴 등의 흡수 장애 등의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고자 저자들은 위 원위부 절제 후 소장낭을 저장소 역할을 하게 하고, 또한 십이지장과 문합하여 음식물이 생리적 방향으로 통과하도록 공장낭 간치술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3월부터 2004년 2월까지 가톨릭의과대학 성가병원 외과에서 위암으로 원위부 절제를 시행한 196예를 공장낭 공장낭 간치술(JPI 군, n=100), B-I 군(n=29), B-II군(n=67)으로 나누어, 혈액 및 생화학적 검사의 변화, 몸무게를 포함한 영양학적 변화 및 위내시경 소견과 위 배출시간을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들의 체중은 3군 모두 술 후 6개월에 최대로 감소된 후 회복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술 후 6개월, 1년, 2년째의 체중 감소율이 JPI군이 $5.14\%,\;3.01\%,\;2.37\%$로 B-I 군의 $8.41\%,\;6.69\%,\;5.90\%$B-II 군의 $7.50\%,\;7.65\%\;5.86\%$에 비해 의의있게 작았다(P=0.011, P=0.000, P=0.013). 검사실 소견은 술 후 6개월에 총 단백이 JPI 군이 B-I과 B-II 군보다 더 높았으며, 특히 1,2기 위암 환자의 경우 술 후 1년째 총 단백과 알부민이 JPI군에서 의의있게 높았다. 그러나 빈혈과 관련된 검사 칼슘, 인, 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라이드 등에서는 3군 간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술 후 6개월, 1년, 2년째의 $\^{99m}$Tc-반 고형식(샌드위치)를 이용한 위 배출시간은 JPI 군이 102.5분, 83.1분, 58.1분, B-I 군이 95.5분, 92.0분, 58.5분, B-II 군이 53.9분, 69.1분, 50.2분으로 B-II 군이 가장 빠르고, JPI군이 가장 느리게 관찰되었다. 또한 위 내시경 검사 상 술 후 6개월째 정밀관찰이 불가능한 음식 저류가 JPI 군에서 가장 많았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호전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결론: 공장낭을 이용한 간치술은 기존 술식보다 1시간 정도 수술시간이 더 걸리고, 수술 후 초기에 위 배출시간이 지연되는 경향이 있지만, 몸무게를 포함한 영양학적인 면을 고려할 때, 장기 생존이 기대되는 제 I, II기 위암 환자에게 적용될 수 있는 또 하나의 좋은 재건 술식이라고 생각한다.

  • PDF

위암 및 위선종에서 내시경절제술 조직의 병리 판독 (Pathological Interpretation of Gastric Tumors in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 김정연
    •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search
    • /
    • 제11권1호
    • /
    • pp.15-20
    • /
    • 2023
  •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ESD) is a minimally invasive and effective treatment for early gastric cancer.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suitability and success of ESD have expanded, with changes in the histopathological classification of gastric carcinoma, including results from molecular research. Treatment methods have also diversified to include targeted therapies and immuno-oncology agents. To improve communication between clinicians and pathologists, it is crucial to understand the standardized diagnostic forms of gastric cancer.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handling method of ESD specimens and describe the pathological findings of gastric tumors.

위전절제술 후 재건술식에 따른 환자의 영양상태와 삶의 질 비교 (Comparison of Reconstructive Techniques after Total Gastrectomy as Determined by Patient Quality of Life and Nutritional Status)

  • 서경수;이종명;김우영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7권4호
    • /
    • pp.219-227
    • /
    • 2007
  • 목적: 위전절제술 후 이용될 수 있는 재건 술식에 대해서는 많은 방법들이 보고되어 왔지만 지금까지도 이상적인 술식에 대해서는 논쟁의 여지가 있고 장기간에 걸친 비교 연구는 더욱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저자는 본원에서 실시한 4가지 술식들인 Roux-en-Y 술식(R-Y), 공장간치술(JI), 공장낭간치술(JPI), Double-tract 재건술(DT)간의 경과 관찰을 통해 보다 나은 재건 술식을 찾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2000년 8월부터 2004년 1월까지 위암으로 근치적 위전절제수술을 받고 재발이 없고 추적이 가능한 환자 중 80세 이상과 병기 IV기를 제외하고 재건 술식에 따라 RY군(n=15), JI군(n=8), JPI군(n=8), DT군(n=10)으로 분류한 총 4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후 증상, 수술 후 1년, 3년째의 혈액 및 생화학적 검사의 변화, 체중 변화를 포함한 영양학적 변화 및 삶의 질을 평가하기위한 GSRS score를 분석하였다. 또한 내시경 소견을 통해 위식도 역류 여부를 확인하였다. 결과: 검사실소견은 3년째 총단백과 알부민에서 DT군이 유의하게 낮은 결과를 보였고(P=0.006, P=0.033), 체중감소는 JI군이 1년, 3년째에서 수술 전 체중의 84.50%, 86.50%로 가장 많았다(P=0.013, P=0.011). GSRS score에서 JPI군이 수술 후 1년, 3년 모두에서 유의하게 더 좋은 결과를 보였다. (P=0.028, P=0.003). 결론: 공장낭간치술은 위전절제술 후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재건 방식으로 생각된다.

  • PDF

식도에 발생한 거대 섬유혈관성 용종 (Giant Fibrovascular Polyp of the Esophagus -A Case Report-)

  • 오삼세;심영목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6호
    • /
    • pp.675-680
    • /
    • 1996
  • 52세된 남자 환자가 2개월 전부터 시작된 연하곤란을 호소하면서 내원하였다. 방사선학적 검사상 상 당한 크기의 식도강내 종괴를 관찰할 수 있었으나 식도 내시경검사에서는 병 변을 확인할 수 없었다 수 술은 종괴의 크기가 클 뿐만 아니라 해투학적 특성에 대한 정 확한 술전 평가가 어려웠던 관계로 개홍술 을 퉁해 식도강내 거대 용종을 절제하였다. 유경성의 식도강내 용종은 매우드문 질환으로 비교적 천천 히 자라며 그 대부분은 윤상인두근 근처에서 기시하는 양성 식도종양으로 종종 매우 큰 크기로 발견된 다. 임상증상은 대부분의 경우 종괴가 자라 식도내강이 폐쇄되면서 생기나 비특이적이다. 때때로 종괴 가구강 속으로 역류하여 기도를 폐쇄하게 되면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기도하며 치료는 외과적 절제가 원칙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