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jective and Functional Results after a Proximal Gastrectomy: Prospective Study for Comparison of Reconstruction Procedures

근위부 위절제술 후 재건 술식에 따른 경과 관찰

  • Kim, Ji-Hoon (Department of Surgery,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and Asan Medical Center) ;
  • Yook, Jeong-Hwan (Department of Surgery,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and Asan Medical Center) ;
  • Kim, Byung-Sik (Department of Surgery,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and Asan Medical Center) ;
  • Oh, Sung-Tae (Department of Surgery,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and Asan Medical Center)
  • 김지훈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외과학교실) ;
  • 육정환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외과학교실) ;
  • 김병식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외과학교실) ;
  • 오성태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6.03.30

Abstract

Purpose: A proximal gastrectomy is performed for gastric cancer in the upper part of the stomach to preserve the function of the stomach after surgery. An esophagogastrostomy is one of the common reconstruction methods for a proximal gastrectomy, but this method results in a high incidence of reflux esophagiti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compare subjective and functional results between esophagogastrostomy and jejunal interposition reconstruction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ne 1998 to December 2002, proximal gastrectomies were performed in 33 patients with tumors in the upper third of the stomach; 8 had reconstruction using jejunal interposition between the esophagus and the remnant stomach (JI group) while 25 had reconstruction using esophagogastrostomy (EG group). The postroperative courses of the patients were reviewed in terms of symptoms, weight changes, and endoscopic findings.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59 years; 26 were men and 7 were wome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eral complications, operating times, or histologic features between the two groups. Fifty-two percent (52%) of the EG group complained of dysphagia, and 16% them experienced heartburn and acid belching. Twelve percent (12%) of the JI group complained of dysphagia, but heartburn and acid belching did not occur. Incidences of reflux esphagitis (36%) and balloon dilatation for anastomotic stricture (16%) were more common in the EG group than in the JI group (0% and 12%). Conclusion: To prevent or minimize complications, such as reflux esophagitis and postoperative symptoms, a proximal gastrectomy with a jejunal interposition is an alternative method as an organ-preserving surgical strategy to improve quality of life for patients. (J Korean Gastric Cancer Assoc 2006;6:1-5)

목적: 근위부 위절제술 후 식도-위 문합술을 시행받은 환자에서 문합부 협착, 역류성 식도염 등이 드물지 않게 발생한다. 저자들 역시 이러한 합병증을 경험하였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공장간치술을 시행하였으며 식도-위 문합술과 공장간치술 간의 경과 관찰을 통해 보다 나은 재건 술식을 찾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6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외과에서 상부위암 혹은 위상부의 위장관기질종양으로 진단받고 근위부 위절제술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재건 술식에 따른 수술시간, 수술 후 증상, 체중변화, 추적관찰 시 시행한 내시경 소견 등을 비교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 총 33명의 평균연령은 59세였고, 남녀 비는 3 : 1이었다. 식도-위 문합술을 시행한 환자는 25명, 공장간치술을 시행한 환자는 8명이었다. 통과장애, 속쓰림, 신트림, 구토 등의 증상을 관찰하였으며 식도-위 문합술 환자에서 통과장애 12예, 구토 3예, 속쓰림 4예, 신트림 4예가 관찰되었으며, 공장간치술 환자에서는 통과장애 12예, 구토 3예가 있었고, 속쓰림과 신트림은 관찰되지 않았다. 수술 후 체중변화는 1개월 후 수술 전 체중의 90%까지 감소한 경우가 식도-위 문합술 환자에서 7예, 공장간치술 환자에서 없었다. 수술 후 추적 내시경 검사 결과 역류성 식도염이 관찰된 경우는 식도-위 문합술 환자에서 9예, 공장간치술 환자에서 0예였다. 문합부위 협착으로 인해 풍선 확장술이 필요하였던 경우가 식도-위 문합술 환자에서 4예, 공장간치술 환자에서 1예가 있었다. 결론: 상부 위절제 시 재건방법으로 역류성 식도염 및 여러 소화기 증상을 예방하기 위해 공장간치술이 식도-위문합술의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통계적 유의성을 가지기 위해 더 많은 대상군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