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내생균

검색결과 124건 처리시간 0.025초

참당귀에서 분리된 내생균의 다양성과 병원균 억제 효과 (Species Diversity and Antifungal Activity of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Angelica gigas Nakai)

  • 박혁;정충렬;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497-505
    • /
    • 2021
  • 다양한 지역에서 채취한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의 잎, 줄기, 뿌리에서 내생균을 분리하였다. 내생균 균주는 형태적특징과 ITS (internal transcribed spacer) 지역의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총 35종의 내생균이 동정되었다. 내생균의 다양성은 참당귀의 조직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분리된 내생균은 참당귀 점무늬병균 Phoma sp. Y11 균주와 대치배양하여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총 14종의내생균이균주 Y11에대해억제효과를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참당귀에서 분리한 내생균이 참당귀의 점무늬병에 대한 생물학적 방제제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고랭이류에서 분리한 내생균의 생물다양성 및 지리적 양상 (Geographical Patterns and Biodiversity of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Scirpus L. s.l. in Korea)

  • 어주경;박은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43-50
    • /
    • 2019
  • 고랭이류의 숙주식물인 Bolboschoenus planiculmis와 Schoenoplectustriqueter에서 내생균을 조사하였다. 총 25개체의 숙주식물에서 85개의 내생균을 분리하였고, ITS 지역을 사용하여 동정한 결과 19개의 분류군을 확인하였다. 그 중 92%는 Dothideomycetes에 속하였고, 4.8%는 Sordariomyetes, 1.6%는 Agaricomycetes, 0.8%는 Eurotiomycetes에 속하였다. B. planiculmis에서 가장 많이 분리된 내생균은 Cladosporium perangustum이고 S. triqueter에서는 Macrospora scirpicola였다. 염생식물에서 내생균의 연구는 매우 드물며, 이전에 목본식물들을 대상으로 수행된 선행연구들과는 다른 내생균의 군집 구조를 확인하였다. 향후 본 연구결과는 내생균 의 생물다양성 연구에 매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곰솔(Pinus thunbergii)의 침엽에서 분리한 내생균의 분자적 동정 (Molecular Identification of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Needle Leaves of Pinus thunbergii)

  • 김창균;어주경;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183-186
    • /
    • 2012
  • 곰솔(Pinus thunbergii Parl.)의 잎에 서식하는 내생균의 다양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충남 보령의 해안가에 서식하는 곰솔에서 잎을 채취하여 총 19개의 균주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내생균을 ITS 지역과 LSU 지역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동정한 결과 Anthostomella sepelibilis, Beltrania sp., Cladosporium sp., Coniochaeta velutina, Entonaema pallida, Lophodermium sp., Nigrospora sphaerica 등 총 7개 분류군의 내생균을 확보할 수 있었다. 이들 중 Beltrania sp.에 속하는 종이 가장 높은 빈도로 분리되었으며 내생균의 서식 환경이 곰솔의 잎에 서식하는 내생균의 분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의 잎에서 분리한 내생균의 다양성 (Diversity of Foliar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Lindera obtusiloba in Korea)

  • 김창균;어주경;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36-140
    • /
    • 2012
  • 생강나무에 공생하는 내생균의 다양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강원도 4 개 지역에서 병증이 없는 생강나무 잎을 채집하여 내생균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내생균의 rDNA의 ITS지역을 분석한 결과, Alternaria alternata, Annulohypoxylon annulatum, Creosphaeria sassafras, Diaporthe eres, Discosia sp., Epicoccum nigrum, Glomerella acutata, Glomerella cingulata, Paraconiothyrium brasiliense, Pestalotiopsis neglecta, Phomopsis amygdali, Xylaria sp.의 총 7과 11속 12종이 확인되었으며 Phomopsis amygdali가 모든 연구 지역의 생강나무 잎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분리되었으며 채집지에 따라 내생균의 종 다양성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토천궁의 뿌리에서 분리된 2종의 국내 미기록 내생균: Pithomyces chartarum and Plectosphaerella niemeijerarum (Two Unrecorded Enophytic Fungi Isolated from Root of Ligusticum chuanxiong in Korea: Pithomyces chartarum and Plectosphaerella niemeijerarum)

  • 박혁;정충렬;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29-335
    • /
    • 2019
  • 경북 영주의 산림약용자원연구소에서 재배된 토천궁의 뿌리에서 내생균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형태적 특성의 분석과 internal transcribed spacer, large subunit rDNA, beta-tubulin 영역의 분자 생물학적 계통분석을 이용해 동정하였다. 연구 과정에서 2종의 국내 미기록종 내생균 균주를 확인하였고, 확인된 종은Pithomyces chartarum 과 Plectosphaerella niemeijerarum이다. 미기록종 내생균 균주의 형태적 특성 확인 및 분자계통 분석의 결과에 대해 기술하였다.

표주박이끼(Funaria hygrometrica)에서 분리된 2종의 국내 미기록 내생균 (Two Unrecorded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Funaria hygrometrica in Korea)

  • 최현숙;박혁;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13-318
    • /
    • 2019
  • 표주박이끼의 헛뿌리(rhizoid)에서 내생균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형태적 특성 및 internal transcribed spacer, large subunit rDNA 영역의 분자적 분석을 토대로 동정하였다. 연구 과정에서 2종의 국내 미기록종 내생균 균주를 확인하였고, 확인된 종은 Curvularia protuberata, Didymella anserina이다. 미기록종 내생균 균주의 형태적 특성 및 계통 분석 결과에 대해 기술하였다.

구상나무와 주목의 침엽에서 분리된 국내 미기록 내생균 (New Records of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Leaves of Abies koreana and Taxus cuspidata in Korea)

  • 박혁;김동여;김새롬;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41-248
    • /
    • 2018
  • 제주도 한라산의 구상나무와 주목의 침엽에서 내생균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들은 형태적 특성 및 internal transcribed spacer 영역, large subunitrDNA 영역 및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영역 염기서열의 계통분석을 통해 종을 동정하였다. 그 결과 4종의 국내 미기록 내생균을 확인하였고, 확인된 종은 각각 Lachnellula hyalina, Ochrocladosporium elatum, Phacidium lacerum, Phyllosticta cussoniae이다. 확인된 4종의 미기록 내생균 균주의 형태적 특성 및 염기서열 계통분석의 결과에 대해 기술하였다.

꼬마초롱이끼(Mnium heterophyllum)와 가는털깃털이끼(Hypnum plumaeforme)에서 분리한 국내 미기록 내생균: Biscogniauxia petrensis, Cercophora thailandica (Unrecorded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Mnium heterophyllum and Hypnum plumaeforme in Korea: Biscogniauxia petrensis and Cercophora thailandica)

  • 최현숙;박혁;어주경;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55-61
    • /
    • 2020
  • 꼬마초롱이끼의 헛뿌리와 가는털깃털이끼의 잎에서 내생균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형태적 특성과 internal transcribed spacer, large subunit rDNA, Beta-tublin 영역 및 RNA polymerase II second largest subunit gene의 분자적 분석을 토대로 동정하였다. 연구 과정에서 2종의 국내 미기록종 내생균인 Cercophora thailandica와 Biscogniauxia petrensis를 확인하였다. 분리된 미기록종 내생균 균주의 형태적 특성 확인 및 계통 분석 결과에 대해 기술하였다.

송이버섯과 공생하는 소나무 세근으로부터 분리된 내생균의 다양성 (Diversity of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the Rootlet of Pinus densiflora Colonized by Tricholoma matsutake)

  • 유영현;윤혁준;우주리;임순옥;이진형;공원식;김종국
    • 한국균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23-226
    • /
    • 2011
  • 송이버섯 생육지의 소나무세근으로부터 내생균이 분리되었다. 분리된 내생균을 rDNA-ITS 영역으로 동정한 결과 18종이 확인 되었으며, 이중에는 자낭균류 15종, 털곰팡이 아문 3종이 포함되어 있음이 확인 되었다. 본 연구의 내생균 중에는 Penicillium속 균주가 가장 높은 빈도로 생육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제주도에 서식하는 식물 잎에서 분리된 6종의 국내 미기록 내생균 보고 (Characterization of Six Novel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Leaves of Plants Inhabiting Jeju Island)

  • 박혁;최영준;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05-414
    • /
    • 2018
  • 제주도에 서식하는 다양한 식물의 잎에서 내생균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들은 형태적 특성 및 internal transcribed spacer, large subunit rDNA 영역 및 beta-tubulin rDNA 유전자의 염기서열의 계통 분석을 통해 종을 동정하였다. 그 결과 6종의 국내 미기록 내생균을 확인하였고, 확인된 종은 각각 Diaporthe goulteri, Diaporthe vaccini, Rhizosphaera pini, Valsa friesii, Xylaria primorskensis, Zalerion arboricola 이다. 확인된 6종의 미기록 내생균 균주의 형태적 특성 및 염기서열 계통분석의 결과에 대해 기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