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내러티브

검색결과 406건 처리시간 0.032초

교육용 게임의 효과성 연구: 내러티브와 플랫폼을 중심으로 (A Study on Effects of Edu-Games: Focused on Narratives and Platforms)

  • 이지영;장예빛;유승호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7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568-574
    • /
    • 2007
  • 본 실험은 교육을 목적으로 설계된 게임이 그 종류에 따라 사용자의 반응에 차이를 미치는가를 살펴보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게임의 다양한 분류 중에서 특히 내러티브와 플랫폼의 존재 여부에 주목하여, 그 특성을 중심으로 사용자의 게임에 관한 평가를 분석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두 개의 실험집단을 구성하여 각 집단이 온라인 게임, PSP 게임, 모바일 게임으로 각 플랫폼에서 상용화되어 있는 교육용 게임을 일정 시간 경험하여 보도록 하되, 한 집단에는 내러티브가 제공되고, 다른 집단에는 내러티브가 제공되지 않도록 하여 각 집단 및 플랫폼간의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 PDF

문헌정보학 연구방법으로서의 이야기 - 내러티브 탐구를 중심으로 - (Narrative Inquiry, As a Research Methodolog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이호신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149-172
    • /
    • 2015
  • 이 연구는 문헌정보학 연구방법의 하나로 이야기의 가능성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사회과학적인 인식의 방법으로서 이야기의 가능성과 힘을 논의하고, 서구 사회과학의 해석학적인, 내러티브적인 전환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아울러 연구의 대상이면서 방법인 내러티브 탐구의 특징과 수행 절차를 소개하고, 문화기술적 연구와 현상학적 연구 등과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미국에서의 선행연구 사례를 소개하면서 문헌정보학 분야에서의 내러티브 탐구의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내러티브 사고의 과학교육적 함의 (Narrative Thought and ITS Implication on the Science Education)

  • 김만희;김범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851-861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내러티브 사고를 소개하고, 이의 과학교육적 함의를 논의하는 것이다. 따라서 전체적 관점에서 접근한 이론적 연구이며, 주로 문헌자료에 의존하였다. 현대 교육은 전반적으로 지식의 발견 측면을 중시하면서 패러다임 사고양식을 강화해왔다. 그러나 현대 과학은 직접적인 관찰보다는 대부분 이론적 추론에 의존하여 만들어진다. 이처럼 경험을 조직하여 과학적 실재를 구성하는 과학 만들기 활동은 내러티브 사고를 요구한다. 그러므로 과학교육에서도 이미 완성된 과학을 반복하기보다는, 살아있는 과학 만들기 활동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내러티브가 도입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과학교육의 목적과 과학자 활동, 학생 활동 및 교수 활동 측면에서 내러티브 및 내러티브 사고의 가능성을 고찰하고, 그 과학 교육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영화 사운드디자인의 내러티브 공간 연구 (The narrative space of sound design in films)

  • 이동환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391-400
    • /
    • 2016
  • 본 연구는 사운드공간영역이 갖는 내러티브 전달 기능에 대해 논의한다. 논의의 중요한 관점이 되는 사운드의 물리적 속성은,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공간성 표현의 역할 뿐 아니라, 사운드가 내러티브의 전달을 통해 예술성을 갖는데도 그 역할을 한다. 사실적 현실을 인간이 인식하는 현실로 재구현한 영화적 현실에서 사운드는, 정보적 의미정도에 따라 인식의 층위를 갖도록 디자인 되고, 이는 사운드의 물리적 속성조절을 통해 인위적으로 형성된다. 인식의 상층위에 오는 사운드는 정보 전달의 역할을 담당하기 적합하고 하층위에 오는 사운드는 감정 전달 역할을 담당한다. 이를 통해 온스크린, 오프스크린, 앰비언트, 인터널, 온-디-에어, 넌다이제틱 각 영역이 독립적인 특성을 가지며 독자적인 내러티브 전달 역할을 가짐을 설명할 수 있다. 이로써 영화 사운드를 통해 형성되는 각각의 내러티브 공간이 갖는 미학적 효용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의 시도가 가능하다.

발달장애인 미술교육 현장종사자의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Narrative Inquiry on the Experiences of Field Workers in Art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al Disabled)

  • 조민주;허윤정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277-292
    • /
    • 2021
  •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 현장종사자들이 현장에서 어떤 경험을 하고 있으며 그 경험이 가진 의미는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발달장애인 미술교육 현장종사자 5인의 심층 면담을 통해 질적 연구로써 Clandinin과 Connelly가 제시한 내러티브 탐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라 개인의 교육경험을 통해 생기는 개인적 내러티브, 그들이 속한 문화적, 사회적 내러티브, 교육기관인 학교, 복지관, 아동방문미술교육기관의 제도적 내러티브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아동기부터 성인기까지의 발달장애인 미술교육 연구에 이바지하는 기초자료로 의미가 있으며 현장종사자들이 제시한 발달장애인 미술교육의 방향을 통해 논의가 확장되길 제언한다.

게임 프로모션 시각 내러티브 전략: <데드 아일랜드>와 <데드 아일랜드 2> 예고편 비교 분석 (Visual Narrative Strategy of Game Promotion: Comparative Analysis of Dead Island and Dead Island 2 Trailers)

  • 노철환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8호
    • /
    • pp.249-269
    • /
    • 2017
  • 투자 위험 부담을 낮추고, 이윤을 최대화하기 위한 홍보 마케팅은 비디오 게임시장에서 필수적이다. 게임 제작/배급사는 잠재적 소비자라는 타겟을 설정하고, 소비욕구를 끌어내기 위해 홍보 전략을 구축한다. 임이라는 매체 특성상 영상 홍보물인 예고편은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한다. 3D 애니메이션으로 보통 제작되는 게임 예고편에서 영화적(filmic)인 스펙터클과 매력적인 내러티브는 필수 요소들이다. 2011년에 발매된 <데드 아일랜드>는 오픈월드형 1인칭 슈팅 게임이다. 출시 당시, 칸 광고제에서 인터넷 필름부분 금사자상을 수상한 예고편으로 큰 관심을 끌었다. 흥미로운 플롯과 감성적인 스토리를 가진 <데드 아일랜드> 예고편은 성공한 홍보 전략 사례로 손꼽힌다. 게임은 성공했다. 이후 여러 편의 스핀오프작이 나왔다. 그리고 배급사인 딥 실버는 세계 최대 게임전시회인 E3 2014에서 <데드 아일랜드 2> 예고편을 선보였다. 본 연구는 시리즈물 비디오 게임 두 편의 예고편이 가지고 있는 시각 내러티브 특징을 비교하는 데 집중한다. 분석은 두 단계로 진행한다. 먼저 플롯과 내러티브 구성을 바탕으로 <데드 아일랜드> 예고편의 제작 전략을 분석한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데드 아일랜드 2>를 중심으로 캐릭터, 스토리, 플롯 등 내러티브 요소와 편집, 카메라 워크, 쇼트 구성, 이미지 등 시각적 요소들의 상호 작용을 전편과 비교 분석한다. <데드 아일랜드 2>는 불특정 다수에게 접근해야 했던 전편 론칭시와 구분되는 예고편 전략을 설계했다. 프로모션 전략을 수립하는 기획 단계에서 정확한 목표를 설정하고, 무슨 메시지를 어떤 아이디어로 표현할 것인가를, 시각 내러티브의 활용해 명확히 했다. 본 연구를 통해 규명된 두 작품의 시각 내러티브 차이점은 차후 시리즈물의 홍보 전략 구축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수학 내러티브가 일반고 학생의 수학 정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mathematics narrative's influences on affects about mathematics of ordinary high school students)

  • 이기돈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21-41
    • /
    • 2016
  • 교육부는 실생활 또는 판타지 맥락의 이야기를 활용하여 수학적 지식의 구성 동기를 제공하고 흥미를 유발하려는 스토리텔링을 주창하고 있다. 그러나 학교수학은 실생활이나 판타지 맥락과 직접적인 관련을 맺기 어려운 내용을 포함하기 때문에 그런 경우 수학적 사실들이 어떤 점에서 흥미로운지를 수학 내러티브로 구성하여 교수학습 하는 것이 긍정적 수학 정서 형성을 위한 한 가지 방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의 한 일반고에서 치러진 4회의 정기고사 문항들을 소재로 개발한 4건의 수학 내러티브를 정기고사가 끝날 때마다 한 건씩 그 시험을 치른 한 명 내지 5명의 학생들과 논의한 사례를 분석하여 수학 내러티브가 일반고 학생의 수학에 대한 정서에 미치는 영향과 그 개선 방향을 탐구하였다. 그 결과 4건의 수학 내러티브에 대한 논의에 꾸준히 참여한 한 학생의 수학에 대한 정서가 긍정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 학생의 변화와 다른 4명의 학생들의 반응으로부터 수학 내러티브의 개발과 적용에 대한 몇 가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내러티브 전개에서의 클로즈업 쇼트의 연출 효과 -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Directional effects of close-up shot in Development of Narrative - Focusing on Animation -)

  • 이태구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53-60
    • /
    • 2014
  • 영화든 애니메이션이든 영상의 프레임에 담긴 쇼트들은 상당히 가변적이지만 클로즈업은 피사체에서 보여 지는 의미들을 부각시킨다. 영화에서의 클로즈업은 배우의 연기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애니메이션은 감독 및 애니메이터가 창조한 캐릭터의 연기를 대신하고 있어 클로즈업에 대한 이해가 우선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애니메이션 내러티브에서 특별한 의미로 기능하는 클로즈업의 연출적 효과들을 극장용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클로즈업의 다양한 연출 효과들 중에서도 내러티브의 자연스러운 흐름과 관객의 감정이입으로 몰입을 유도하는 연출 효과를 중심으로 하였다. 내러티브의 자연스러운 흐름을 유도하는 연출 효과로 서술적 클로즈업을 분석하였으며, 캐릭터의 내면적 심리를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관객의 감정이입을 유도하는 연출 효과로 심리적 클로즈업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극적인 효과를 창출하여 극의 몰입을 유도하는 상징적 클로즈업을 분석하여 애니메이션에서의 클로즈업 연출이 내러티브 전개의 완성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결핵 예방 광고 메시지의 효과: 메시지의 지향성과 메시지 제시방법을 중심으로 (Effect of Tuberculosis Prevention Campaign Message: Focused on message orientation and message presentation style)

  • 최명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411-420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결핵예방 캠페인을 위한 효과적인 메시지 전략은 무엇인지를 분석하였다. 메시지 지향성(개인지향-사회지향)과 메시지 제시방법(통계-내러티브)에 따라 결핵감염의 개연성, 심각성, 예방행동의도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개인지향 메시지는 사회지향 메시지보다 결핵감염의 개연성과 심각성을 높이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적 메시지와 내러티브 메시지 사이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개인지향 메시지의 경우에 내러티브 메시지가 통계적 메시지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지향 메시지는 통계적 메시지가 내러티브 메시지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함의를 논의하고, 실무적으로 효과적인 결핵예방 캠페인 메시지 전략을 제안하였다.

내러티브-생애사 인터뷰 분석의 실제 -재독한인노동이주자 인터뷰를 중심으로- (Practice of the Narrative-Biographical Interviews Analysis -An Example of an Interview with a Korean Migrant Worker in Germany-)

  • 양영자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5권1호
    • /
    • pp.271-298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Rosenthal의 내러티브-생애사 인터뷰 분석의 실제를 보여주는 데에 있다. 이에, 한 재독한인노동이주자의 인터뷰를 사례로 하여 생애사적 데이터의 연속적 분석, 텍스트분석과 주제적 영역분석, 체험된 생애사의 재구성과 연속적 세밀분석, 이야기된 생애사와 체험된 생애사의 비교 분석의 절차에 따라 단계별로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였고, 이를 통해 Rosenthal의 내러티브-생애사 인터뷰 분석의 실제를 보여주었다. 이어, 이러한 연구가 사회복지학 분야 생애사 연구와 사회복지실천에 시사하는 함의를 논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