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남해도

검색결과 1,502건 처리시간 0.032초

지혜 깊어지는 건강: 지도 밖에서 만나는 건강 -바다를 타고 바람 부는 남해로 봄 마중 가자

  • 한국건강관리협회
    • 건강소식
    • /
    • 제35권3호
    • /
    • pp.32-37
    • /
    • 2011
  • 3월은 설렘의 또 다른 표현이다. 3월은 겨울과 봄의 경계이다. 겨울과 봄이 뒤섞여 차가움과 따뜻함이 공존하는 시기다. 추위에 지칠 대로 지친 겨울, 천천히 다가오는 봄이 간절히 기다려진다. 그토록 기다려지는 봄인데, 가만히 앉아서 봄을 맞을 수 없는 일. 그렇다면 봄이 오는 곳으로 봄 마중을 나가자. 봄을 일찍 맞이할 수 있는 곳으로는 남해만한 곳이 없다.

  • PDF

2006년 여름 남해 동부 연안 식물플랑크톤 군집 변동 (Distribu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Phytoplankton in the Southeast Coastal Waters During Summer 2006)

  • 임월애;이영식;이삼근;이재영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2권4호
    • /
    • pp.370-379
    • /
    • 2007
  • 여름철 남해 동부해역 해양환경 변동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단기변동을 연구하기 위하여 5차례에 걸쳐 11개 정점에서 현장관측을 실시하였다.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인 수온, 염분, 영양염과 엽록소 a를 수심별로 조사하였으며 투명도와 강수량 자료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63속 151종의 식물플랑크톤을 동정하였다. 이 중 규조류가 37속 92종으로 가장 우점하였으며, 와편모류가 22속 52종으로 그 다음을 차지하였다. 또한, 라피도조류 3속 6종, 유글레나류 1속 1종이 출현하였다. 7월 중순은 장마로 많은 영양염이 유입되어 규조류인 Chaetoceros 속이 대량 증식하였다. 8월 초는 가뭄으로 영양염이 감소하고 강한 수온약층이 형성되면서 Chaetoceros 속의 현존량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8월 하순에는 남해 외양수의 유입으로 표 저층의 수괴가 균질해지고 투명도 수심이 증가하였으며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와편모류가 우점으로 나타났다. 9월 초는 다시 규조류 우점군집으로 천이하였으며, 외양수 유입현상도 소멸하였다. 2006년 우리나라 하계 남동해역은 1) 여름 갈수기가 이례적으로 극심하여 빈영양 상태가 지속되고, 2) 남해외양수 유입이 약하여 C. polykrikoides 적조가 비발생 하였으며 3) 외양수 영향으로 와편모류가 출현하였으나 곧 Chaetoceros 속이 재우점 하였다.

한국 남해산 태충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II. 입이끼벌레과 (Systematic Study on Bryozoans from the South Sea in Korea II. Smittinidae)

  • 서지은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9권1호
    • /
    • pp.35-50
    • /
    • 1993
  • 한국 남해산 태충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의 일환으로 1969년부터 1991년까지 남해 연안과 여러 도서지방의 15개 지역으로부터 채집된 입이끼벌레류를 동정한 결과 Parasmittina contraria sp. nov. 과 Smittiina malleolus, Parasmittina elongata, Parasmittina crosslan야, Smittoidea reticulata의 4 한국미기록종을 포함한 11종이 밝혀졌다. 이로서 한국산 입이끼 벌레류는 모두 4속 21종이 되며, 이 중에서 19종이 남해에서 서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11종의 한국산 입이끼벌레류의 검색표를 만들었으며 신종과 한국미기록종에 대해서는 기재를 하였고 도판을 작성하였다.

  • PDF

남해도 해역 조석의 신속 추정법 (Rapid Estimation Method of Tidal Predictions in Namhaedo Area)

  • 최병호;고진석;김동철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368-378
    • /
    • 1995
  • 2차원 수심적분된 조석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남해도 해역의 독립적인 주요 8개 분조(M$_2$, S$_2$, $K_2$, $N_2$, $K_1$, $O_1$, P$_1$, Q$_1$)에 대한 조석도와 조류 타원도를 제시하고, 기존의 관측치와 비교하였다. 이 8개 분조의 개방경계조석에 의해 모형해역의 1개월 실시간 조석(조위, 조류)을 산정하여 매 격자점에서의 조위와 조위를 조화분석하여 구해진 조화상수를 예보상수로 하여 Data Table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Data Table에 의해서 조위와 조류예보 알고리즘에 의해 대상해역내 조석의 시공간적 추정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체계를 구성하였다.

  • PDF

한국남해동부해역에서 수온이 멸치와 김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on Catches of Anchovy and Laver In Eastern part of South Sea of Korea)

  • 김현주;권철휘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175-180
    • /
    • 2003
  • 수온과 멸치와 김 생산량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1980\~2002$년 한국 남해 동부해역에서 생산량과 해양관측자료를 분석하였다. 한국 남해 동부해역에서 년간 멸치와 김 생산량은 들 다 해마다 변동은 있으나 전반적으로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멸치와 김 생산량은 해양환경 특히, 수온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표층은 평년보다 높고, $0\~20m$에서의 수온은 평년보다 낮았을 때 특히 저층에 약 $15^{\circ}C$ 이하의 저온수가 존재했을 때, 들 다 생산량이 저조하였다.

  • PDF

한국 남해의 동물성 플랑크톤 생산량 추정 (ESTIMATION OF ZOOPLANKTION PRODUCTION IN THE SOUTH SEA OF KOREA)

  • 김용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45-249
    • /
    • 1976
  • 1. $1967\~1973$년까지 7개년간 한국 남해에서 국립수산진홍원이 조사한 동물성 플랑크론 존량 자료에서 동 해역의 동물성 플랑크론 년간 총 생산량을 추정하였다. 2. 남해역 $59,800\;km^2$ 1년동안에 생산되는 동물성 플랑크톤 총량은 약 $5.14\times10^6\~10.27\times10^6ton$으로 추정되며, 면적당 평균 생산력은 $86\~172ton/km^2/year$이다. 3. 동 해역에서의 영양단계간 에너지 전환효율 $15\%$, 동물플랑크톤 부터 유용어족까지의 먹이 전환단계를 2로 볼 때, 남해역의 유용어족 잠재 생산력은 $1.9\~3.9\;ton/km^2/year$로 추정된 다.

  • PDF

여름철 남해 저온수의 특성과 기원 (Characteristics and origin of the Cold Water in the South Sea of Korea in Summer)

  • 조양기;김구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14-421
    • /
    • 1994
  • 여름철 남해 중앙해역 저층에는 14$^{\circ}C$ 이하의 저온수가 남해에서 관측된 기존의 수 온 염분 자료를 분석하여 이 저온수의 특성과 기원에 대하여 알아. 6월과 8월에 저온 수의 염분은 33.4~34.0$\textperthousand$로 4월에 비해 약 0.6$\textperthousand$ 낮으며, 특히 1983년에는 6월부터 8 월에 더 저온인 해수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현상들은 여름철 남해의 저온수는 겨울에 형성되어 여름까지 잔류한 것이 아니고 주위해역에서 유입된 해수임을 시사한다. 이 저온수는 14$^{\circ}C$ 이하 저온수의 출현빈도분포와 제주해협 부근에서 관측된 수온 염분 자 료 분석 등에 의해 제주해협 서편해역에서 남해로 유입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NOAA/AVHRR 자료를 이용한 한반도 주변해역에서의 해수면온도 추출을 위한 지역적인 대기보정 알고리즘의 적용 (Regional optimization of an atmospheric correction algorithm for the retrieval of sea surface temperature from Korean Sea area using NOAA/AVHRR data)

  • 윤석;유주형;안유환;원중선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4-169
    • /
    • 2008
  • 한국해양연구원에서 수신한 자료인 NOAA 12, 16, 17, 18호등의 Advanced Very High Resolution Radiometer(AVHRR) 센서자료와 국립조사원에서 제공하는 해양실측자료인 정선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두 가지의 알고리즘 적용을 통하여 비교 및 분석을 해보고자 한다. 연구 기간은 2006년 1월부터 4월 자료 중 구름의 영향이 없는 영상에서 실측자료와 동일한 날짜 총 107개의 정점 값을 추출하였다. 위성 자료에서 해수면 온도 추출방법은 split window 방법으로, 고정계수 값을 사용하는 linear algorithm(MCSST), nonlinear algorithm(NLMCSST)을 이용하였다. 연구 지역은 동해, 황해, 남해 지역에 대한 지역별로 두 알고리즘을 비교 적용하였다. 전 해역의 값을 이용하여 위성자료와 실측자료를 비교 분석한 결과 linear algorithm방법의 평균 오차 값은 0.71$^{\circ}C$이고 상관도는 1%이고, nonlinear 방법의 오차 값은 0.35$^{\circ}C$ 상관도는 1%로 나타났다. 해역별로는 linear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동해는(ES)는 R=1, 오차 값은 0.37$^{\circ}C$ 황해(YS)는 R=0.99 오차 값은 0.125$^{\circ}C$ 남해(SS)는 R=0.99 오차 값은 1.2$^{\circ}C$보였다. nonlinear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동해는(ES)는 R=1, 오차 값은 0.4$^{\circ}C$ 황해(YS)는 R=0.99 오차 값은 0.13$^{\circ}C$ 남해(SS)는 R=0.99 오차 값은 0.82$^{\circ}C$의 결과를 보여 주었다. 동해와 황해지역은 linear한 알고리즘을 적용한 결과가 실측자료와의 오차 값이 작았고, 남해지역은 linear한 알고리즘을 적용한 결과보다 nonlinear 알고리즘을 적용한 것이 작은 오차 값을 보여주었다. 이는 남해 해역의 자료가 대기의 상태나 다른 영향을 받아 해수면온도 값이 추정된 것으로 보여 진다. 해역별로 최적화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해수면온도의 산출을 통해서 위성자료의 정밀도 지구환경변화 모니터링 등 많은 연구에 위성자료의 활용이 증대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한국 남해의 요각류 및 모악류의 분포와 수괴특성 (The Distributions of Copepods and Chaetognaths in the Southern Waters of Korea and Their Relationship to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Masses)

  • 박주석;이삼석;강영실;이병돈;허성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45-252
    • /
    • 1990
  • 한국 남해에 분포하는 요각류와 모악류의 수괴 지표성종으로써의 가치를 이용하여 수괴의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1988년 2, 4 및 8월에 한국 남해안28개 정점에서 NORPAC net를 이용하여 수직 채집한 동물성 부유생물을 분석하였다. 요각류와 모악류중 한국 남해의 주요 수괴 지표성종으로써 Acartia clausi, Centropages abdominalis는 연안 저온성종으로, Sagitta crassa는 연안성종으로, Pleuromamma gracilis, Undinula darwini, Calocalanus plumulosus, Calanopia elliptica와 Sagitta enflata는 난류 외양성종으로, 그리고 Temora discaudata, Centropages furcatus는 난류성종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들 종의 분포와 수심 30m에서 수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Cluster분석을 실시하여 수괴의 계절적 변동을 파악하였다. 2월에는 크게 2개의 해역으로 남해 연안 해역과 남해 외양역으로 대별되었으며 4월에는 크게 4개의 해역으로 대별되었다. 8월에는 크게 3개의 해역으로 대별되었으며, 쓰시마난류가 연안으로 강하게 영향을 미침을 나타내었다.

  • PDF

한국남해만에서의 설계파의 결정 (Determination of Design Waves along the South Coast of Korea)

  • 김태인;최한규
    • 물과 미래
    • /
    • 제21권4호
    • /
    • pp.389-397
    • /
    • 1988
  • 남해 연안 지상측정소의 과거풍속자료와 돌풍 기록으로 부터 과거의 피해 자료를 추산(Hindcasting)하고 이로부터 얻어진 지역별 피해별 연간 최대피해의 극치 계열로 부터 확율분석을 통하여 송해 설계치를 결정하는 방법이 제안되엇다. 남해 연안에 내재하는 큰 파급은 돌풍과 춘하절 계절풍에 의해 생성되며 지역별 파향별로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재현기간이 100년인 설계 유의파의 파고는 송해에서 4.6m~ 8.8m ,조기는 8.2sec~ 12.9sec의 범위를 보인다. 남해\ulcorner\ulcorner에서 풍속 $U_1$ >15m/s의 강풍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해상풍속(Uw)은 \ulcorner\ulcorner 지상관측소 풍속($U_1$)의 0.8~0.9배 정도를 나타낸다. 남해 \ulcorner\ulcorner의 지상관측소에서 지속기간의 평균풍속($U_1$)은 2$U_{10}$)의 0.7~0.9배의 값을 가지면서 역지수 함수적으로 감소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