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남성간호사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5초

여성간호사에게 인식된 남성간호사와 여성간호사의 상이점 (Differences between Male Nurses and Female Nurses Recognized by Female Nurses)

  • 김현수;윤희장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2호
    • /
    • pp.147-15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질적연구방법론 중 하나인 Colaizzi의 현상학적방법을 적용하여 여성간호사가 인식한 여성간호사와 남성간호사간의 상이점을 심도 있게 분석함으로 여성간호사의 시각에서 바라본 여성간호사와 남성간호사의 상이점에 대한 본질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여성간호사에게 인식된 남성간호사와 여성간호사의 상이점은 무엇인가? 하는 연구문제를 가지고 여성간호사와 남성간호사의 상이점을 연구한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연구의 목적을 설명 듣고 이해한 후 연구에 참여하는 것에 동의한 13명의 여성간호사이다. 대상자 모집은 스노우볼 방식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다섯 개의 범주가 발견되었다. 범주는 임상업무에서의 상이함, 가정의 경제생활에 대한 부담감이 큼, 대인관계의 상이함, 간호조직 내에서의 상이함, 미지영역에서의 상이점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남성간호사와 여성간호사간의 상이점에 대한 이해의 폭을 확장하는 방식의 교육 자료와 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임상에서의 생존: 여성간호사에 대한 남성간호사의 적응 과정 (Clinical Survival: Male Nurses Adaptation Process for Female Nurses)

  • 김현수;윤희장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2호
    • /
    • pp.139-14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남성간호사가 여성간호사에 대한 적응과정이 어떠한가를 남성의 관점에서 심도 있게 파악하여남성간호사의 여성간호사에 대한 적응의 의미를 찾는 것이다. 본 연구는 여성간호사에 대한 남성간호사의 적응은 어떠한가? 라는 연구 주제를 가지고 현상학적 방법을 통하여 남성간호사의 여성간호사에 대한 적응과정을 탐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본 연구의 의도와 방법을 듣고 동의한 25개월 이상의 병원근무경력을 가진 남성간호사로 총 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39개의 구성의미와 13개의 주제 묶음, 4개의 범주로 도출 되었다. 범주로는 부적응상황에 가로막힘, 대인관계로 동화되어 가기, 업무능력 향상시키기, 전담간호사로 피해가기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남성간호사의 여성간호사에 대한 적응 과정을 이해하여 임상 현장에서 효과적인 간호인력 관리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남성 간호사의 성 역할정체감, 성 고정관념,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Gender-Role Identity, Gender Stereotype,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Male Nurses)

  • 박형숙;하재현;이미헌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2962-2970
    • /
    • 2014
  • 본 연구는 남성간호사의 성 역할정체감, 성 고정관념,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부산 경남지역 의료기관에 근무 중인 남성간호사 86명이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12년 8월부터 12월까지이다. 자료분석은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남성간호사의 성 역할정체감은 양성성(33.7%), 미분화(30.2%), 여성성(19.8%), 남성성(16.3%)순 이였고 직무만족은 양성성 유형의 직무만족이 높았다(${\chi}^2$=12.80 p=.005). 성 고정관념과 직무만족 및 이 직의도의 상관관계는 성 고정관념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높고(r=.22, p=.044)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낮았다(r=-.36, p<.001). 따라서 간호현장에서 직무만족이 낮은 성 역할정체감 유형의 남성간호사들의 직무만족을 높이고 이직의도를 줄이는 전략이 필요하다.

간호사의 직장 내 폭력상황 대처경험 (Exposure to Workplace Violence and Coping in Nurses)

  • 김현수;윤희장;곽은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4호
    • /
    • pp.233-240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사들이 대처하고 있는 폭력상황에 대해 간호사의 관점에서 깊이 있게 파악함으로써 간호사의 폭력상황 대처방법에 대한 본질과 의미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의미와 목적을 이해하고 동의한 간호사 14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성별은 여성이 7명, 남성이 7명이었다. 본 연구의 분석은 질적연구방법인 현상학적 방법으로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폭력상황으로부터의 분리, 도움 요청하기, 폭력상황의 회피, 맞서 대응하기, 참고 견디기로 5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폭력적인 상황을 경험하고 있는 간호사에게 대처방안을 제공하고 폭력적인 상황에 노출되기 쉬운 간호사의 환경을 개선하여 폭력상황을 예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남성 간호사들의 임상간호현장 적응 경험 (Male Nurses' Adaptation Experiences in Clinical Nursing Settings)

  • 김성혁;김수진;강희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304-316
    • /
    • 2017
  • 본 연구는 남성 간호사들의 임상간호현장 적응 경험의 구성요소와 적응에 도움을 주는 요인을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종합병원에 재직하고 있는 남성 간호사 8명이다. 심층면담을 통하여 수집된 자료는 Giorgi의 현상학적 분석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참여자의 임상간호현장 적응 경험의 핵심 구성요소는 '주어진 업무에 전념하기', '기대와는 다른 현실에 도전하기', '직업적 정체성 확립하기', '미래를 위한 자기 개발하기'로 축약 되었다. 이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는 인과적, 촉진적, 순환적 특성을 보여 주었고, 참여자들의 적응 경험은 시간적 맥락에 따라 구조화 하고 있다. 남성 간호사들이 원만한 임상간호현장 적응을 위해서는 이들의 근무 여건 조성을 위한 지지체계 확립, 성 차별 없는 공정한 인사 및 승진 기회 부여 등의 정책적 노력이 요구되며, 이들 스스로 의지력 강화와 적응 전략 채택을 통한 자기개발 노력의 내적 통제가 필요하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제언하면,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이들의 임상간호현장에서 자리를 굳힐 수 있도록 돕는 전략 개발과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남자 간호사의 태움 경험 (Male Nurse's Taeoom Experience)

  • 홍경숙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4호
    • /
    • pp.83-91
    • /
    • 2024
  • 본 연구는 남자 간호사의 태움 경험을 탐색하여 경험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에 태움 경험이 있는 임상 경험 1년 이상의 남자 간호사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으며, 질적연구방법 중 하나인 현상학적 연구방법(Colaizzi)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남자 간호사의 태움 경험은 37개의 의미단위, 19개의 주제, 4개의 주제모음으로 구분되었으며, 4개의 주제모음은 '한 사람의 인생을 송두리째 변화시키는 체험', '여초조직에서 살아남기', '변화되기 어려운 간호조직', '나는 간호사'로 나타났다. 남자 간호사의 태움 경험은 남성의 특성을 이해받지 못한 채 나홀로 여성이 다수인 간호조직 내에서 적응을 위하여 고분군투하는 남자 간호사의 모습을 보여준다. 본 연구결과 간호조직의 차원에서 남자 간호사의 특성을 이해하고 조직 내에서 융화하기 위한 다각적 노력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병원 종사자의 성 역할 정체감과 성 고정관념이 남자간호사에 대한 편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Gender Role Identity and Gender Stereotypes on the Prejudice Against Male Nurses of Hospital Workers)

  • 최주희;장철훈;김성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75-91
    • /
    • 2018
  • 여성이 대다수인 간호전문직에 남자간호사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그들은 성 고정관념에 따른 사회적 장벽에 부딪히며, 부서배치 등에서 차별을 경험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병원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성 역할 정체감과 성 고정관념이 남자간호사에 대한 편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 결과 양성성 집단은 성 고정관념과 남자간호사에 대한 편견이 다른 집단에 비해 낮았으며, 병원종사자들은 남자 간호사들이 일반인들에게 낯설고 생소하며, 응급실, 중환자실, 수술실 같은 병원의 특수 부서에서 주로 일할 것이라는 편견을 가지고 있었고, 성 고정관념은 남자간호사에 대한 편견에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의료기관은 남자간호사에 대한 편견을 해소하기 위해 양성 평등적인 조직문화를 구축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여 성 고정관념을 탈피하기 위해 노력하고, 간호조직 내에서 남성과 여성이 동등한 기회를 부여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베이비붐세대 남성의 자살 예방 프로토콜 구성을 위한 델파이 연구 (A Delphi Study for Constructing a Suicide Prevention Protocol for Male Baby Boomers)

  • 김희숙;신은정;김갑연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43-54
    • /
    • 2021
  • 본 연구는 베이비붐세대 남성의 자살예방을 위한 프로토콜을 구성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에 참여한 전문가 패널들은 베이비붐세대 남성들의 심리적 특성과 자살에 대한 지식 및 실무적인 경험을 갖춘 전문인력으로 총 17명이 구성되었다. 조사의 첫 번째 단계는 질문지 문항을 구성하는 단계로 다양한 연구 자료를 활용하여 본 연구에 참여한 정신간호학 교수 2인, 정신전문간호사 2인에 의해 문항이 도출되었다. 2단계는 전문가 집단의 1차 델파이 조사로 2015년 10월 13일부터 11월 1일까지 실시되었으며 3단계인 2차 델파이 조사는 2015년 11월 10일부터 12월 4일까지 실시되었다. 조사 결과 영역I '베이비붐세대 남성의 특성', 영역II '베이비붐세대 남성의 자살징후', 영역III '베이비붐세대 남성의 자살위험요인', 영역IV '베이비붐세대 남성의 자살 보호요인', 영역V '자살예측 측정도구', 영역VI '지역사회연계 기관', 영역 VII '베이비붐세대 남성의 정신건강프로그램' 등 총 7개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본연구는 베이비붐세대 남성들의 자살예방을 위한 가이드라인으로써 지역사회 정신보건 실무자들에게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음성인식에 기초한 치매환자 노인을 위한 대화시스템 (Dialog System based on Speech Recognition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 Kim, Sung-Il;Kim, Byoung-Chul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6권6호
    • /
    • pp.923-930
    • /
    • 2002
  • 본 연구는 치매노인환자의 생활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대화시스템의 개발에 목표를 둔다. 제안된 시스템은 주로 세 가지 모듈, 즉, 음성인식, 시간테이블에 의해 구분된 대화 데이터베이스의 자동검색, 그리고 간호사의 녹음음성으로 이루어진 맞장구 등의 긍정적인 대답,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단계로서, 치매환자가 간호시설에서 자주 발화하는 대화의 내용을 조사하였다. 다음으로, 환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그들의 발화 음성을 자동인식 하도록 구성하였다. 여기서 시스템의 응답은 전문 간호사의 녹음음성으로 설계되었다. 시스템의 평가를 위해서 시스템이 도입되었을 때와 되지 않았을 때의 비교연구를 실시하였고, 치료 전문가(occupational therapist)들이 비디오 촬영을 통해서 남성 대상자의 반응을 평가하였다. 평가 견과는 치매환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는데 있어서 대화 시스템이 전문간호사들보다 더욱 답적이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게다가 제안된 시스템은 상호 대화에 있어서 간호사들보다 환자가 더 많이 말하도록 유도함을 알 수 있었다.

간호에서의 남성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f Masculinity in Nursing)

  • 김미영
    • 임상간호연구
    • /
    • 제15권2호
    • /
    • pp.37-46
    • /
    • 2009
  • Purpose: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masculinity in nursing by investigating how the male qualities are expressed in the culture of nursing wherein men represent a minority group. Methods: Connell's hegemonic masculinity theory (1987, 1995) and qualitative thematic analysis were used to conduct this study in which eight male nurses participated. Braun and Clarke's six stages of thematic analysis (2006) were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masculinity in nursing meant 'soft masculinity' meeting the expectations of the discipline while keeping the male qualities intact. Male nurses were found to suppress their masculinity at earlier stages of their career and to make themselves more accommodating to the profession. However, males re-asserted their masculinity once they became more comfortable with their nursing work. Conclusion: In the field of nursing, masculinity was found to be subjected to stages of attenuating and consolidating which take place in succession. Consolidation of the male qualities was motivated rather unexpectedly by female colleagues.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issue of gender in nursing is an important factor in recruiting and understanding male nurses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