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난류에 의한 2차 유동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2초

터빈 블레이드 통로에서의 3차원 점성유동에 대한 수치해석 (Numerical Study on Three - Dimensional Viscous Flows in Turbine Blade Passages)

  • 윤준원;유정열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527-539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터빈익렬의 입구유동면에 주어지는 끝벽 경계층유동에 의하여 익렬 내의 유동에서 발생하는 여러 와류들에 의한 2차 유동과 이와 연관된 여러가지 3차원 점성유동 현상 그리고 이에 따른 유동손실을 보다 정확히 예측하기 위한 수치해 석적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이에 필요한 수치해석적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이에 필요 한 수치해석코드를 작성하였다.유동특성에 대하여 상세한 연구결과가 보고되어 있 는 UTRC(United Technologies Research Center) 평면 터빈익렬을 연구대상으로 채택하 여 익렬 내의 3차원 유동특성을 연구하고 계산한 결과를 기존의 결과와 비교 검토하였 다. 강한 2차유동이 존재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수치확산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대류 항에 대하여 2차 정확도(second-order accuracy)의 선형상류도식(linear upwind sche- me)을 사용하여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하이브리드도식(hybrid scheme)에 의한 해 석결과와 비교하였다. 터빈익렬 내의 난류 유동은 익렬의 회전과 유선의 만곡 등에 의한 영향으로 복잡한 유동현상을 나타내지만, 터빈익렬 내의 난류유동 특성에 대한 실험결과가 아직까지는 부족하고 또한 본 연구에서는 평균유동값의 정확한 해석에 중 점을 두었으므로 표준 k-.epsilon. 모델을 사용하였다.

정사각형 관내의 전개 중인 난류 유동 해석 (Calculation of Developing Turbulent Flow in a Square Duct)

  • 신승주;박승오;김의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170-177
    • /
    • 1989
  • 본 연구에서는 부분 포물형 Navier-Stokes 방정식에 Speziale이 제안한 비선형 k-.epsilon. 난류 모형을 적용하여 비직교 조표계에서 전개 중인 유동의 평균 속도와 난류 운동에너지 등을 예측하였다.

저레이놀즈수 2차 모멘트 난류모형에 의한 정사각단면의 $180^{\circ}$ 곡덕트 난류유동의 수치해석 (Numerical computation of turbulent flow in a square sectioned $180^{\circ}$ bend by low-Reynolds-number second moment turbulence closure)

  • 신종근;최영돈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0권8호
    • /
    • pp.2650-2669
    • /
    • 1996
  • A new low Reynolds number nonlinear second moment turbulence closure was introduced to analyze a square sectioned 180.deg. bend flow. Inclusion of nonlinear return to isotropy term and cubic mean pressure strain term has brought out a marked improvement in the level of agreement with measured velocity profiles. Optimization of present closure was performed by comparison of computed velocity profiles with the experimental ones with variation of nonlinear return to isotropy term and quadratic and cubic pressure-strain model. Progressive vortex breakdown due to the interaction of primary and secondary flows was well captured by using the optimized second moment turbulence closure.

액체 로켓엔진 설계에서의 유동해석 (Numerical Simulations for Design of a Liquid Rocket Engine)

  • 김영목;채연석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1995년도 제5회 학술강연회논문집
    • /
    • pp.87-96
    • /
    • 1995
  • 인공위성의 궤도진입에 사용되는 액체추진제 로켓엔진의 개발에서 분사기 설계를 적절히 수정, 보완 할 목적으로 수행된 핵심부품별 유동해석의 내용이 기술되었다. 단일 격자계를 구성하기 어려운 복잡한 형상의 분사기 유동장에 대한 격자계 구성을 용이하게 하고, 3차원의 점성 유동해석을 컴퓨터 기억 용량에 제한없이 수행하기 위한 다중블럭 격자기법이 사용되었다. 분사기의 내부유동은 3차원 비압축성 Navier-Stokes 방정식으로 pseudocompressibility 방법을 이용하여 수치모사되었다. 정상상태의 해는 근사 인자분해에 의한 ADI 기법으로 계산되고, 공간미분항에 대해 nonstaggered 격자계에서 2차 중앙차분을 사용하며 수치해의 안정성을 위해 인공점성항을 추가하였다. 난류계산을 위해 Baldwin- Lomax의 대수적 난류모델에 다수의 벽면효과를 고려하였다. 해석결과는 분사기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유동조건에 따라 분석되었다.

  • PDF

2-方程式 모델 에 의한 二相亂流 제트流動 의 數値解析 (Calculation of Two-Phase Turbulent Jet with a Two-Equation Model)

  • 양선규;최영돈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9권6호
    • /
    • pp.714-724
    • /
    • 1985
  • 본 논문에서는 입자가 부상된 2상유동의 해석에서 여러유동조건의 유동을 공 통적으로 해석할 수 있고 또 유동의 난류구조를 규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2-방정 식 난류모델을 적용하였고 또 지배방정식들 속에 나타나는 1유체와 2유체의 2차 상관 관계들을 모형화 할 때 Taweel and Landau의 스펙트럼 이론을 확장발전시켜 적용하였 다.

환기중(換氣中)인 축사(畜舍)의 열부력(熱浮力)이 공기유동 및 온도분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rmal Buoyancy on Air Flow and Temperature Distribution in a Slot-Ventilated Livestock Building)

  • 최홍림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18권2호
    • /
    • pp.144-157
    • /
    • 1993
  • 환기중인 실험축사내에서 가축의 현열과 환기공기의 온도차에 의한 열부력(熱浮力)(thermal buoyancy)이 공기유동 및 온도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TEACH 컴퓨터프로그램($k-{\varepsilon}$ 난류모형 및 SIMPLE계열 Algorithm)을 Curvilinear Coordinates에 맞게 변형하였다. 계산한 축사내 공기유통 및 온도분포의 유의성(有意性) 검증은 Boon(1978)의 실험결과를 이용하였다. 열부력의 크기에 따른 유동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유입공기의 온도를 $17^{\circ}C$$10^{\circ}C$ 두 수준으로 입력하였으며, 가축의 현열플릭스(flux)는 실내온도에 따라 변화하므로 유압공기의 온도가 $17^{\circ}C$일 때는 130W/$m^2$, $10^{\circ}C$일 때는 170W/$m^2$을 경계조건으로 입력하였다. 예측한 공기유동의 형태는 실험값(Boon, 1978)과 비교하여 대체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다. 그러나 유입공기의 온도가 $10^{\circ}C$인 경우, 예측 공기유동은 실험 유동형태와 차이가 있었다. 즉, 실험에서는 수평슬롯으로 유입된 공기가 바로 아래로 굴절되어 유동(流動)하였으나, 계산의 결과는 일정 거리로 수평방향으로 유동하다가 아래로 굴절하였다. 이런 유동의 차이는 경험적으로 열부력(熱浮力)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는 k-${\varepsilon}$ 난류(亂流)모형의 적용이 원인이 되거나 실험의 부적절한 수행이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이 유동(流動)의 Reynolds 수(數) (Re)는 약 3,300, 수정Ar수(修正Ar數)(Corrected Archimedes Number : $Ar_c$)64로써, $Ar_c$ <30 이거나 $Ar_c$ >75이면 유입공기의 제트는 수평유동한다는 Randall & Battams(1979)의 연구결과와는 일치하였다. 그러나 공기제트의 굴절은 유동의 특성이 같다하더라도 유체의 성질, 축사의 기하학적 형태에 따라서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실제 실험을 통한 재검정과정을 거쳐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Fig. 9와 Fig. 10의 기하학적 형태의 지점별 예측온도와 측정온도(Boon, 1978)와의 편차는 대부분의 지점에서는 $1^{\circ}C$ 미만으로 상당히 정확하였으며, 최대의 온도차는 Fig. 10의 지점 13에서 $1.7^{\circ}C$이었다.

  • PDF

2차 모멘트 난류모형에 의한 회전하는 평행 평판유동 해석 (Numerical Simulation of Rotating Channel Flows Using a Second Moment Turbulence Closure)

  • 신종근;최영돈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4권4호
    • /
    • pp.578-588
    • /
    • 2000
  • A low-Reynolds-number second moment turbulence closure is improved with the aid of DNS data. For the model coefficients of pressure-strain terms, we adopted Shima's model with some modification. Shin and Choi's new dissipation-rate equation is employed to simulate accurately the turbulence energy dissipation rate distribution in the near wall sublayer. The results of computations are compared with DNS, LES data and experimental data for turbulent plane channel flow with rotation about spanwise axis. The present second moment closure achieves a level of agreement similar to that for the non-rotating. In particular, it accurately captures the distribution of turbulence energy dissipation rate in the near wall region.

열선 유속계에 의한 정사각형 단면의 270도 곡관에서의 난류유동 특성에 관한 연구 (Measurement of Turbulent Flows in a Square Sectioned $270^{\circ}$ Bend)

  • 조석휴;최영돈;이건휘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B
    • /
    • pp.467-472
    • /
    • 2000
  • Most of the past experimental or analytical studies were performed for the curved bend with a square cross-section. Velocity profiles and Reynolds stresses of the turbulence flow in the 270 degree bend with circular cross-section were measured by a hot-wire anemometer. The mean velocity of primary flowing direction effected by the downstream of bend in the entry region of the bend. The flow in the inner part of the bend slowed the distribution velocity relatively large and unsymmetric phenomenon. In the strong secondary flow occurred when the flow passed in the region of 45 degree to 90 degree. The secondary flow appeared very large value in the neighbor region of inner wall.

  • PDF

LDV에 의한 정사각 단면 180° 곡덕트에서 난류진동유동의 유동특성 (Characteristics of Developing Turbulent Oscillatory Flows in a 180° Curved Duct with a Square Sectional by using a LDV)

  • 윤석주;이행남;손현철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7권7호
    • /
    • pp.344-353
    • /
    • 2015
  • In the present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urbulent oscillatory flows in a square-sectional $180^{\circ}$curved duct were investigated experimentally. A series of experiments for air flow were conducted to measure axial velocity profiles, secondary flow velocity profiles and pressure distributions. The measurements were made by a Laser Doppler Velocimeter (LDV) system with a data acquisition and processing system which includes Rotating Machinery Resolve (RMR) and PHASE software. The results from the experiment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aximum velocity moved toward the outer wall from the region of a bend angle of $30^{\circ}$. The velocity distribution had a positive value extended over the total phase in the region of a bend angle of $150^{\circ}$. (2) Secondary flows were generally proportional to the velocity of the main flow. The intensity of the secondary flow was about 25% as much as that in the axial direction. (3) Pressure distributions were effects of the oscillatory Dean number and respective region.

타원 방정식을 사용하는 2차모멘트 모형에 의한 성층된 난류 평판유동의 예측 (Prediction of Stratified Turbulent Channel Flows with an Second Moment Model Using the Elliptic Equations)

  • 신종근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9권12호
    • /
    • pp.831-841
    • /
    • 2007
  • This work is to extend the elliptic operator, which has been already adopted in turbulent stress model, to fully developed turbulent buoyant channel flows with changing the orientation of the buoyancy vector to be perpendicular to the channel walls. The turbulent heat flux models based on the elliptic concept are employed and closely linked to the elliptic blending second moment closure which is used for the prediction of Reynolds stresses. In order to reflect the stable or unstable stratification conditions, the present model introduces the gradient Richardson number into the thermal to mechanical time scale ratio and model coefficients. The present model has been applied for the computation of stably and unstably stratified turbulent channel flows and the prediction results are directly compared to the DNS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