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낙하시간

Search Result 110, Processing Time 0.067 seconds

CRDM내 이동 권선 신호를 이용한 고리2호기 제어봉 낙하 시간 측정 시험

  • 윤명현;김기훈;신창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8.05a
    • /
    • pp.258-263
    • /
    • 1998
  • 원자력 발전소의 제어봉 낙하 시간 측정 시험은 원자로 비상 정지 명령에 따른 제어봉의 낙하 속응성이 지침서의 제한치 이내에 있는지를 주기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제어봉의 원자로 안전 운전 및 정지 기능을 확인하는 중요한 시험이다. 현재 고리2호기를 비롯한 WH형 발전소들은 제어봉이 디지틀 제어봉 위치 지시(DRPI) 코일속을 낙하할 때 유기되는 전압을 검출하여 제어봉 낙하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 방법은 제어봉을 뱅크별로 인출한 후 하나씩 개별 낙하시키기 때문에, 제어봉 낙하 시간 측정 시험에 많은 시간과 다수의 인력이 소요되며, 측정시 격납용기내에 작업자가 장시간 체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DRPI 신호 이용 제어봉 낙하 시간 측정 방법의 단점을 보완하여 제어봉 구동 장치(CRDM)내 이동권선 신호를 이용하는 다중 낙하 방식의 새로운 측정 방법을 제안하고, 측정 장치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제어봉 낙하 시간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고리2호기 제어봉 낙하 시간 측정 시험시 기존의 방법과 병행 측정 시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비교 검토하여 충분히 정확하게 제어봉 낙하 시간을 측정할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Development of A Computer Program for Drop Time and Impact Velocity of the Rod Cluster Control Assembly (제어봉집합체의 낙하시간과 충격속도 계산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 Park, Ki-Seong;Kim, Il-Ko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6 no.2
    • /
    • pp.197-204
    • /
    • 1994
  • In a PWR rod cluster control assembly(RCCA) for shutdown is released upon action of control rod drive mechanism and falls down through the guide thimble by its weight. Drop time and impact velocity of the RCCA are two key parameters with respect to reactivity insertion time and the mechanical integrity of fuel assembly. Therefore, the precise control of drop time and impact velocity is prerequisite to modifying the existing design features of the RCCA and guide thimble or newly designing them. During its falling down into the core, the RCCA is retarded by various forces acting on it such as fluid resistance caused by the RCCA movement, buoyance and mechanical friction caused by contacting inner surface of the guide thimble, etc. However, complicated coupling of the various forces makes it difficult to derive an analytical dynamic equation for the drop time and impact velocity. This paper deals with the development of a computer program containing an analytical dynamic equation applicable to the Korean Fuel Assembly(KOFA). The computer program is benchmarked with an available single control rod drop tests. Since the predicted values a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test results, the computer program developed in this paper can be employed to modify the exiting design features of the RCCA and guide thimble and to develope their new design features for advanced nuclear reactors.

  • PDF

Experiment of Characteristic Diffusion Time of Viscoelastic Fluids Using the PIV (PIV를 이용한 점탄성 유체의 특성 확산시간에 대한 측정)

  • 전찬열;이재수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2.11a
    • /
    • pp.249-252
    • /
    • 2002
  • 점탄성 유체의 특성 확산시간을 규명하기 위하여 낙하하는 구 주위의 유동현상을 가시화한 결과 300 wppm과 500 wppm, 2000 wppm의 경우 측정시간 간격에 따라 낙하하는 구의 종말속도가 서로 다르게 측정됨을 알 수 있으며 특성화산시간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특성 확신시간은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며 낙하하는 구 주위의 유동현상을 가시화한 결과 2000 wppm의 경우 처음구를 떨어뜨린 후 30초 후에 최고속도에 도달하였으며 시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여 50초가 경과하여 처음의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점탄성 유체의 특성 화산시간 측정에서 낙하하는 구 앞쪽과 뒤쪽의 속도분포의 비는 t=30에서 가장 적게 나타나며 시간이 경과할수록 속도분포의 비는 증가함을 알 수 있다.

Maximum Height and Velocity of Jumping Car (도약한 차량의 최대 높이 및 속도)

  • Shin, Kwang-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1a
    • /
    • pp.59-60
    • /
    • 2012
  • 자유 낙하하는 물체가 받는 힘은 중력 뿐이다. 우리는 중력만을 받아서 운동하는 것을 자유 낙하 운동이라고 하고 자유 낙하하는 물체를 자유낙체라 한다. 다시 말해서, 물체의 초기 운동 상태와 무관하게 중력의 영향으로만 자유롭게 낙하하는 물체를 말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공기의 저항을 무시하고, 수직방향으로 짧은 거리의 범위 내에서 고도에 의한 자유낙하 가속도의 변화가 없다는 가정을 하고, 자동차가 수직 상 방향으로 출발하여 도약하고 최고점에 도달하는 시간, 최대높이, 자동차가 출발 위치로 돌아오는 시간과 자동차의 속도, 자동차가 땅에 떨어질 때의 시간 및 속도에 대해 알 수 있다.

  • PDF

Aesthetic Measure of Video Image (차량의 낙하 속도 및 시간)

  • Shin, Kwang-Seong;Shin, Seong-Yoon;Rhee, Ya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1.10a
    • /
    • pp.135-136
    • /
    • 2011
  • 자유낙체란 자유로이 낙하하는 물체를 말한다. 즉 물체의 초기 운동 상태와 무관하게 중력의 영향으로만 자유롭게 낙하하는 물체를 말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공기의 저항을 무시하고, 수직방향으로 짧은 거리의 범위 내에서 고도에 의한 자유낙하 가속도의 변화가 없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가정 하에, 자동차가 수직 상 방향으로 출발하여 최고점에 도달하는 시간, 최대높이, 자동차가 출발 위치로 돌아오는 시간과 자동차의 속도, 자동차가 땅에 떨어질 때의 시간 및 속도에 대하여 알아본다.

  • PDF

Improved drop impact reliability of Sn-Ag-Cu solder joint using Cu-Zn solder wetting layer (Cu-Zn 합금 젖음층을 이용한 Sn-Ag-Cu 솔더 접합부의 낙하 충격 신뢰성 향상 연구)

  • Kim, Yeong-Min;Kim, Yeong-Ho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9.05a
    • /
    • pp.35.2-35.2
    • /
    • 2009
  • 최근 본 연구실에서 무연 솔더를 위한 새로운 Cu-Zn 합금 젖음층을 개발하였다. 전해도금을 통하여 Cu-Zn 합금층을 형성한 뒤 그 위에 Sn-4.0wt% Ag-0.5wt% Cu (SAC 405) 솔더를 리플로 솔더링을 통해 솔더접합부를 형성하였으며 계면에서 생성된 금속간 화합물의 형성 및 성장 거동을 연구하였다. SAC/Cu 시스템의 경우, $150^{\circ}C$에서 시효 처리를 실시하는 동안 솔더와 도금된 Cu 계면에서 $Cu_6Sn_5$ 상과 미세한 공공이 형성된 $Cu_3Sn$ 상이 발견되었다. 반면에 SAC/Cu-Zn 시스템에서는 계면에서 $Cu_6Sn_5$ 상만이 형성되었다. 또한 큰 판상형의 $Ag_3Sn$ 상이 SAC/Cu 시스템에 비해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SAC/Cu-Zn 계면에서의 금속간 화합물의 성장 속도가 SAC/Cu 계면에서 형성된 금속간 화합물의 성장 속도보다 느리게 나타났다. Cu-Zn 젖음층의 Zn가 솔더와 Cu-Zn 층 사이에서 Cu와 Sn 원자의 상호 확산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Cu와 Cu-Zn 층을 이용한 솔더 접합부의 낙하 충격 신뢰성을 연구하였다. 낙하 충격 시험 시편은 두 개의 인쇄 회로 기판을 SAC 405 솔더볼을 이용하여 리플로를 통해 상호연결 하여 제조되었다. 이 때, 각각의 인쇄 회로 기판의 패드에는 Cu 층과 Cu-Zn층을 전해도금을 통하여 각각 $10{\mu}m$두께의 젖음층을 형성하였다. 낙하 시험 시편을 제조한 뒤, 시효 처리에 대한 낙하 저항 신뢰성의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250, 500 시간동안 시효처리를 한 후 각 조건에서 계면에 형성된 금속간 화합물의 성장 거동을 관찰하였으며, 낙하 충격 시험을 실시하였다. 낙하 시험은 daisy chain으로 연결된 시편의 저항이 100 Ohm 이상 측정되었을 때 중단되도록 하였다. Cu-Zn/SAC/Cu-Zn 시편의 경우 초기 리플로를 하였을 때 불량이 발생하는 평균 낙하 수는 350이며, Cu/SAC/Cu 시편의 평균 낙하수는 200 미만으로 나타났다. Cu/SAC/Cu 시편의 경우, 시효처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평균 낙하수는 큰 폭으로 감소하였지만, Cu-Zn/SAC/Cu-Zn 시편은 불량이 발생하는 평균 낙하수의 감소폭이 보다 완만하게 나타났다. Cu 층에 Zn를 첨가함으로써 솔더와 젖음층 사이에서 형성된 금속간 화합물의 성장 및 미세 공공의 형성이 억제되었고, 솔더 접합부의 과냉을 감소시킴으로써 큰 판상형의 $Ag_3Sn$ 상의 형성을 억제함으로써 Cu-Zn/SAC/Cu-Zn 솔더 접합부에서 Cu/SAC/Cu 솔더 접합부보다 낙하 충격에 대한 저항성 및 신뢰성이 향상되었다. 이는 무연 솔더에 Zn를 첨가하여 낙하 충격 신뢰성을 향상시킨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 과학 기술 재단의 전자패키지 재료 연구 센터(CEPM)와 지식 경제부의 부품 소재 기술 개발 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습니다.

  • PDF

Maximum Height and Velocity of Jumping Car in The Air (공중으로 점프한 차량의 최대 높이 및 속도)

  • Shin, Seong-Yoon;Lee, Hyun-Cha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7 no.10
    • /
    • pp.55-60
    • /
    • 2012
  • An free-fall object is received only force of gravity. Movement that only accept gravity is free-fall movement, and a free-falling object is free falling body. In other words, free falling body is only freely falling objects under the influence of gravity, regardless of the initial state of objects movement. In this paper, we assume, ignoring the resistance of the air, and the free-fall acceleration by the height does not change within the range of the short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Under these assumptions, we can know about time and maximum height to reach the peak point from jumping vertically upward direction, time and speed of the car return to the starting position, and time and speed when the car fall to the ground. It can be measured by jumping degree and risk of accident from car or motorcycle in telematics.

Analysis of the Momentary Interruption Impact on the HANARO Operation (순간정전이 하나로 운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Kim, Hyeong-Gyu;Jeong, Hwan-Seong;Choe, Yeong-San;U, Jong-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2004.10a
    • /
    • pp.655-656
    • /
    • 2004
  • 1) 제어봉의 전자 클러치는 직류전원 공급 장치에 의해 12V의 직류 전력을 공급받으며 전압 강하에 대한 내성이 좋다. 제어봉은 10V의 전압이 525msec 이상 지속될 때 전자력 상실로 낙하한다. 완전정전(0V)이 발생하여도 직류전원 공급 장치는 500msec 동안 전자클러치에 직류전력을 공급하여 제어봉의 연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2) 정지봉 계통에 대한 전압강하의 영향은 제어회로를 구성하는 전자접촉기의 개방에 의하여 펌프의 전원공급이 차단되고, 그 결과 정지봉이 낙하한다. 정지봉은 펌프의 전원이 상실되면 수압 실린더의 압력 상실로 약 1000msec 후에 낙하한기 시작한다. 그림 2는 제어봉 및 정지봉에 대한 정전 영향을 시간에 따라 표시한 것이다. 3) 1차 및 2차 냉각계통의 부족전압 계전기에 의해 펌프가 정지할 때까지 저유량 신호 및 N/T mismatch 신호에 의한 원자로 정지신호는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정지봉 및 제어봉 계통에 적용하고자 하는 순간정전 보상장치는 부족전압 계전기 동작시간 이내의 보상시간에서만 가능할 것이다.

  • PDF

Integrity Evaluation of Control Rod Assembly for Sodium-Cooled Fast Reactor due to Drop Impact (낙하충격에 의한 소듐냉각고속로 제어봉집합체의 건전성 평가)

  • Lee, Hyun Seung;Yoon, Kyung Ho;Kim, Hyung Kyu;Cheon, Jin Sik;Lee, Chan Bock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41 no.3
    • /
    • pp.233-239
    • /
    • 2017
  • The CA (Control Assembly) of an SFR has a CRA(Control Rod Assembly) with an inner duct and control rod. During an emergency situation, the CRA falls into the duct of the CA for a rapid shut-down. The drop time and impact velocity of the CRA are important parameters with respect to the reactivity insertion time and the structural integrity of the CR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ynamic behavior and integrity of the CRA owing to a drop impact. The impact analysis of the CRA under normal/abnormal drop conditions was carried out using the commercial FEM code LS-DYNA. Results of the drop impact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CRA maintained structural integrity, and could be safely inserted into the flow hole of the damper under abnormal conditions.

A Study of Air borne micrbes with Air ambient (광주지역 대기질과 낙하세균에 관한 연구)

  • 전의찬;노기환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04a
    • /
    • pp.97-98
    • /
    • 2002
  • 최근 들어 구제역과 같은 세균에 대한 경계와 관심이 늘어가고 있다. 하지만, 관심에 비하여 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고 대기질과 상호 연계한 연구는 더욱 미미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광주광역시의 시간대별 교통량과 대기질 그리고 낙하세균의 수를 함께 조사하여 상호연관성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낙하세균은 탄저균이나 구제역처럼 전염성이나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지만 공중보건과 대기질 관리의 관점에서 이에 대한 정보 확보와 관련대책이 시급하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