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나무병원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29초

과수, 전작물 및 잡초의 노린재에 관한 국내 연구 현황 (Review on True Bugs Infesting Tree Fruits, Upland Crops, and Weeds in Korea)

  • 강창훈;허혜순;박정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69-277
    • /
    • 2003
  • 최근 들어 벼, 田作物, 과수 등에서 노린재류에 의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지금까지 우리 나라에서 이루어진 연구내용을 조사$.$정리할 필요가 있어서, 우리 나라에서 출판되는 각종 학술지에 게재되어 있는 벼를 제외한 작물, 과수, 잡초를 가해하는 노린재류에 관한 논문을 수집하여 분야별(\circled1 분류 및 형태, \circled2 발육과 성장, \circled3 곤충상, \circled4 피해수준, \circled5 발생소장, \circled6 방제, \circled7식물병 매개)로 정리하였다. \circled1에서는 한국산 노린재류의 종류와 명아주노린재과에 속하는 Piesma spp.의 난과 약충의 형태, 억새노린재의 외부생식기의 형태, 홍줄노린재와 주둥이노린재의수정방의 형태에 관한 연구를 간략히 정리하였다. \circled2에서는 명아주노린재, 장수허리노런재, 큰허리노린재의 온도별 발육과 성장분석에 대한 보고를 요약하였다. \circled3에서는 콩, 단감, 유자, 감귤, 포도, 국화, 백하수오 등의 작물과 참쑥, 망초 등의 잡초에 발생하는 노린재류에 관한 문헌을 정리하고, 계룡산과 경기도 수원시 여기산 지역의 노린재류 상에 관한 조사보고를 소개하였다. \circled4에서는 콩, 단감, 유자, 포도 등에서 노린재류에 의한 피해정도를 정리하였고, \circled5는 단감원에 발생하는 노린재류, 국화의 주요 해충인 애긴노린재,한약재인 백하수오에 발생하는 십자무의긴노린재, 콩 포장에 발생하는 수종의 노린재류의 발생소장에 관한 문헌을 정리하였다. \circled6에서는 단감원, 포도원 및 콩밭에서 실시한 약제방제 효과에 관한 문헌을 조사하였으며, 몇 가지 살충제의 실내 생물검정에 대한 논문도 정리하였다. \circled7마지막으로 오동나무빗자루병의 병원체인 micoplasma-like organism이 썩덩나무노린재와 담배장님노린재에 의해서 일일초로 전파된다는 논문을 소개하였다.

퇴원손상심층조사 자료를 이용한 의료기관 중증도 보정 사망비 비교 (Comparison of Hospital Standardized Mortality Ratio Using National Hospital Discharge Injury Data)

  • 박종호;김유미;김성수;김원중;강성홍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739-1750
    • /
    • 2012
  • 본 연구는 의료서비스의 결과지표인 의료기관 중증도 보정 사망비(HSMR)를 산출하고, 비교하여 행정자료를 이용한 의료서비스 결과를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서 질병관리본부의 2007-2008년의 퇴원손상환자 63,664건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중증도 보정모형 개발을 위해 데이터마이닝을 이용한 의사결정나무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최종 모형으로 선정된 로지스틱 회귀분석에는 성별, 재원일수, Elixhauser 상병지수, 입원경로, 주상병 변수가 포함되었다. 퇴원시 사망에 영향을 끼치는 이러한 변수를 보정 후 병원간의 중증도 보정 사망비(HSMR)를 비교한 결과 병원간의 중증도 보정 사망비(HSMR)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병원의 의료서비스 수준 차이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HSMR 범위: 55.6-201.6). 본 연구를 통하여 병원간의 퇴원시 사망률을 비교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되었으므로 향후에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의료의 질 향상 활동을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PCR 특이검출에 의한 국내 포도나무 혹병(Agrobacterium vitis) 균주의 신속 분리 및 병원학적, 생화학적 특성 비교 (PCR based Rapid Isolation of Agrobacterium vitis Strains in Korea and Their Pathogen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 김종군;임선화;이대성;최재을;윤해근;박상헌;강성수;강희완
    • 식물병연구
    • /
    • 제12권3호
    • /
    • pp.205-212
    • /
    • 2006
  • 2002년에서 2005년 동안 경북김천, 천안, 경기지역의 포도재배지로부터 채집한 300여점의 포도 혹병반으로부터 A. vitis의 PCR 특이검출 Phe A primer를 이용하여 포도혹병균의 대량분리를 실시하여 0.25kb의 PCR 특이밴드가 증폭된 51균주가 포도 혹병균으로 선발되었다. 이 균주들을 Ti-Plasmid 유래의 Vir A primer로 적용한 결과 40균주에서 0.5kb의 특이밴드가 검출되었다. 거봉포도와 당근절편에서 다양한 양상의 병원성을 보였으며 25균주가 거봉포도에 강한 병원성을 나타내었으며, 다른 균주는 약하거나 비 병원성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분리한 10개 균주를 대상으로한 세균의 이화학적 특성은 균주간에 약간은 달랐으나, 3-Ketolactose의 비생성, 2%NaC 첨가 배지에서의 성장, Melezitose로부터의 산을 생성하지 못하는 등 비교균주와 대체적으로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PheA and Vir A primer를 이용하여 Agrobacterium vitis 균주를 대량 분리할 수 있으며 신속, 정확하게 동정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웰다잉 저해 요인의 관련성에 관한 융합 연구 (Convergence Research on Relationships among the inhibiting factors of Dying Well)

  • 이종형;안상윤;김용하;김광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37-44
    • /
    • 2019
  • 본 연구는 좋은 죽음을 맞이하고 싶어 하는 사람에게 웰다잉을 하지 못하도록 저해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전국 17개 시와 도의 만 19세 이상 만 75세 미만의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설문구성은 일반적 특성 4문항과 리커트의 7점 척도를 활용한 웰다잉의 저해요인과 관련된 2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분석은 기술통계, 상관분석,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웰다잉을 저해하는 요인들에 관한 문항 중 '퇴행성 질병(치매 등)'은 5.502점, '통제력 상실(정신/신체)'는 5.268점 등으로 나타났다. 웰다잉 저해요인들 간의 상관성 분석에 있어서는 '안 좋은 부부관계와 안 좋은 자녀관계', '죽음교육을 받지 못함과 의료정책 홍보부족(웰다잉)', '안 좋은 자녀관계와 사람들의 무관심'의 순서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고려하여 좋은 죽음을 맞이하기 위한 죽음교육을 구성 및 실시한다면 사회전체가 좋은 죽음을 위한 인식과 실천적 삶을 위해 노력하고 삶과 죽음 교육의 확대가 이루어 질 것으로 사료된다.

Streptozotocin으로 유도된 당뇨 랫드에서 황칠나무 잎 열수추출물의 항당뇨 효과 (Anti-diabetic effects of aqueous extract of Dendropanax morbifera Lev. leave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Sprague-Dawley rats)

  • 김민재;강예진;이동언;김석;임세훈;이후장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61권4호
    • /
    • pp.38.1-38.8
    • /
    • 2021
  • This study examined the anti-diabetic effects of aqueous extracts of Dendropanax morbifera leaves (DMWE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Sprague-Dawley (SD) rats. Thirty male SD rats (body weight [BW], 250.4 ± 19.7 g)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six groups: normal control rats (NC), diabetic control rats (DC), diabetic rats treated with metformin HCl 100 mg/kg BW (DT), diabetic rats treated with DMWEs 50 mg/kg BW (DM-50), diabetic rats treated with DMWEs 100 mg/kg BW (DM-100), and diabetic rats treated with DMWEs 200 mg/kg BW (DM-200). From two weeks of administration of DMWEs, the BW of all groups treated with DMWEs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DC (p < 0.05). At four weeks after treatment, the blood glucose levels in DT, DM-100, and DM-200 decreased below 200 mg/dL, while the glycated hemoglobin concentrations in all groups administered DMWEs were similar to those of NC and DT. Regarding the blood biochemical parameters, the levels of aspartate transaminase, alanine transaminase, blood urea nitrogen, and creatinine in DM-100 and DM-200 were similar to those in NC and DT. Overall, these results highlight the effectiveness of DM-100 in the treatment of diabetes.

사과나무 부란병균(腐爛病菌) Valsa ceratosperma에서의 Auxotrophic Mutants의 검출(檢出) (Detection of Auxotrophic Mutants form Valsa ceratosperma, the Causal Fungus of Apple Canker)

  • 홍연규;엄재열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5권
    • /
    • pp.119-126
    • /
    • 1987
  • 사과나무 부란병균 병반상에서 검출된 비병원성 Valsa속 균의 비병원균 인자가 부란병균으로 전이되는지의 여부를 밝히기 위해서는 적당한 유전표식(遺傳標識)이 필요하므로 두 균종(菌種)에서 영양요구성 돌연변이주를 작출(作出)하기 위해 수행한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본 균의 영양요구성 돌연변이주의 검출에 가장 적합한 합성배지로는 E. Parasitica의 연구에 사용되었던 최소배지 및 완전배지가 선발되었고 단집락형성용 배지로는 이 최소배지에 0.5%의 L-sorbose를 첨가한 것이 가장 좋았다. 단집락형성용 배지상에서 포자가 발아하기까지는 약 96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밝혀져 자외선 조사후 완전배지를 중층(重層), putative auxotrophs를 선발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96시간 이상 야생형(野生型)을 지속적으로 제거해야 될 것으로 나타났다. 병포자 발아과정의 핵의 행동을 추적해 본 결과, 1차 핵분열이 일어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약 60시간으로 자외선 처리 후 photoreactivation에 의한 reversion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조사(照射) 후(後) 60시간(時間) 이상 암상태(暗狀態)에 보존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절한 자외선 조사방법(照射方法)을 선정하기 위하여 병포자현탁액에 조사(照射)하는 방법과 단집락형성용 배지에 포자를 도말하고 그 위에 자외선을 조사(照射)하는 방법(方法)을 비교 검정해 보았다. 병포자현탁액에 자외선을 조사(照射)한 방법에서는 130초에서 포자의 발아능력이 완전히 상실되었고 생존율이 0.1%에서 7%의 범위인 80초~120초 사이에서 putative auxotrophs를 선발할 수 있었다. 한편, 단집락형성용 배지상에 도말된 병표자에 자외선을 조사(照射)한 방법에서는 90초의 조사(照射)에서 포자의 발아능력이 완전히 상실되었고 50초 정도의 조사(照射)에서 가장 많은 수의 putative auxotrophs를 선발할 수 있었으며, 조사(照射)시간에 따른 포자생존율에 있어서 균주간에 큰 변이가 없는 후자의 방법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에서 선발한 161개의 putative auxotrophs 중 10개의 영양요구성이 확인이 되었는데 nucleic acid base 요구성 4균주, amino acid 요구성 4균주 vitamine 요구성 2균주가 얻어졌다. 이들 영양요구성 돌연변이주의 병원성을 조사한 결과, 병원성이 상실된 것이 5균주, 약병원성 3균주, 여전히 강한 병원성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 2균주로 나타났는데 약병원성 또는 강병원성을 나타낸 5균주중 nicotine 요구성인 AM513만 병반상에서 포자가 내장된 병자각을 형성하였고 여타의 균주는 포자형성능(胞子形成能)이 상실되었다.

  • PDF

Pseudomonas syringae pv. morsprunorum에 의한 매실의 세균성궤양성 (Bacterial Canker of Japanese Apricot (Prunus mume) Caused by Pseudomonas syringae pv. morsprunorum)

  • 김두영;한효심;고영진;정재성
    • 식물병연구
    • /
    • 제11권2호
    • /
    • pp.135-139
    • /
    • 2005
  • 한국의 남부지방에 소재하는 대부분의 매실 과수원에서 매실궤양병이 발견되었다. 감염된 나무에서는 과실에 검은 반점과 함께 잎에는 갈색 병반을 보이며, 감염된 줄기나 가지의 균열에서 붉은색의 세균 유출액이 흘러나오는 등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궤양병의 징후가 나타났다. 16지역에서 분리한 38개 균주에 대하여 생리, 생화학적 특성을 (LOPAT과 GATTa실험)조사하고 16S rDNA 및 ITS 염기서열을 분석함으로써 매실궤앙병의 원인 세균을 동정하였다. 이 결과와 병원성 검정을 통해 한국에서 매실에 궤양병을 일으키는 원인 세균은 Pseudomonas syringae pv. morspnnorum임을 알 수 있었다.

Fusarium oxysporum에 의한 브룬펠지아 줄기마름병 (Stem Blight of Brunfelsia Caused by Fusarium oxysporum)

  • 한경숙;박종한;이중섭;최용문
    • 식물병연구
    • /
    • 제9권1호
    • /
    • pp.36-38
    • /
    • 2003
  • 2001년 9월 경기도 성남시 분화용 브룬펠지아에서 F. oxysporum에 의한 줄기마름병이 발생하였다. 처음에는 생육이 부진하고 아래 잎부터 누렇게 변색되며, 줄기가 마르고 심한 경우 나무 전체가 말라죽는다. 병든 식물체의 줄기를 잘라보면 줄기 내부의 도관부가 갈색 내지 암갈색으로 변하는 것이 특징이었다. 병원균을 분리하여 형태적·배양적 특징을 조사한 결과 F. oxysporum으로 동정되었으며 병원성 검정 결과 자연상태와 동일한 병징을 확인할 수 있었으므로 이 병을 Fusarium oxysporum에 의한 브룬펠지아 줄기마름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금속매염제인 초산구리의 세포독성에 대한 자귀나무잎 추출물의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 of Albizzia julibrissin Leaf Extract on the Cytotoxicity Induced by Cupric Acetate Metallic Mordant)

  • 정정화;임요섭;서영미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520-528
    • /
    • 2019
  • Objectives: This study assessed the cytotoxicity of the metallic mordant cupric acetate (CA) and the protective effect of Albizzia julibrissin (AJ) leaf extract on CA-induced cytotoxicity in NIH3T3 fibroblasts. Methods: For this study, cell viability and antioxidative effects such as the inhibitory activity of lipid peroxidation (LP) and superoxide anion-radical (SAR) scavenging activity were assessed. Results: CA significantly decreased cell viabil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the $XTT_{50}$ value was measured as $55.0{\mu}M$ of CA. The cytotoxicity of CA was determined as highly toxic by Borenfreund and Puerner's toxic criteria. The catalase antioxidant significantly increased cell viability diminished by CA-induced cytotoxicity in these cultures. Regarding the protective effect of AJ leaf extract on CA-induced cytotoxicity, AJ leaf extract remarkably increased the SAR scavenging ability and the inhibitory ability of LP. From these findings, it is suggested that oxidative stress is involved in the cytotoxicity of CA, and AJ leaf extract effectively protected CA-induced cytotoxicity via antioxidative effects. Conclusions: Natural resources like AJ leaf extract may be a putative therapeutic agent for treatment or alleviation of the toxicity induced by CA metallic mordant.

과수화상병 매몰방재지 토양에서 분리된 8종의 국내 미기록 진균 보고 (Report of Eight Unrecorded Fungi from the Fire Blight Burial Control Soil in Korea)

  • 노형진;서희주;김성환
    • 한국균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447-460
    • /
    • 2023
  • 식물병원 세균 Erwinia amylovora 의해 발생하는 과수화상병은 사과, 배 등 장미과에 속하는 식물에 심한 피해를 주고 있다. 병의 빠른 확산을 막기 위해 국내에서는 병이 발생한 사과나무와 배나무에 대해 매몰하는 병관리를 실시해 왔다. 방제방법의 안전성을 입증하기 위해 매몰한 이병식물과 이병식물 주변의 토양을 조사하였다. 매몰토양 미생물군 조사과정에서 Bisifusarium allantoides, Botryotrichum Domesticum, Microascus verrucosus, Paraphoma pye, Phaeosphaeria culmorum, Ramophialophora globispora, Sordaria tomentoalba, Striaticonidium brachysporum 등이 국내 미기록종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이들 8종 진균에 대한 형태학적, 분자유전학적 특성을 보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