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화

Search Result 801,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Experiment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ir Heating Vaporizer at Different Season (계절 변화에 대한 공기 가열식 기화기의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Eldwin, D.;Lee, Y.H.;Jeong, H.M.;Chung, H.S.
    • Journal of Power System Engineering
    • /
    • v.11 no.2
    • /
    • pp.12-19
    • /
    • 2007
  • 현재, 육지에서 필요한 천연 가스 (NG)의 얻기 위한 방법으로 공기 가열식 기화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파이프라인에 의해 도달될 수 없는 거리가 멀리 떨어진 소외된 지역까지 보낼 수 있기 때문에 소형 위성기지의 역할은 대단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소형 위성기지의 LNG는 인수기지에서 탱크로리를 이용하여 배달되고 그 후에 위성기지에서 기화과정을 통하여 각 수요처로 보내어진다. 공기 가열식 기화기는 LNG 인수기지 외의 소형 위성기지 단위에서 최근 많이 개발되고 사용되고 있는 기화기의 종류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1). 효율적인 공기 가열식 기화기를 개발하기 위하여, 핀이 없는 경우와 핀이 8개이고 핀의 길이가 55 mm인 공기 가열식 기화기를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고 그리고 나서 두 가지 유형의 기화기를 비교하였다. 실험조건은 기화기의 길이 변화와 여러 가지 주위 조건(온도, 습도, 풍속)을 변화하였다. 실험에 적용된 주위 온도는 각 계절별 온도와 동일한 온도를 적용하였다. 본 실험에서 나타내고자 한 공기가열식 기화기의 주요 특성은 각 계절별 조건에 따른 입구 측과 출구 측의 온도차를 비교하는 것이다. 액화천연가스(LNG)를 가지고 실험을 하는 것은 위험성이 있어 특성이 비슷하면서 안전한 $LN_2$를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여 핀을 가지는 기화기가 핀이 없는 기화기보다는 좋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Experimental Study on Gasification Characteristic by Using Liquefied Gas Vaporizer with Various Shape (다양한 형상을 갖는 액화가스용 기화기의 기화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Lee, Y.H.;Eldwin, D;Chung, H.S.;Jeong, H.M.
    • Journal of Power System Engineering
    • /
    • v.11 no.2
    • /
    • pp.5-11
    • /
    • 2007
  • 액화천연가스(LNG : Liquified Natural Gas)는 연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기화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기화하는 방식에는 해수에 의한 기화와 공기에 의한 기화의 두 가지 방식으로 나뉘게 된다. 해수에 의한 기화는 LNG 인수기지에서 대량의 LNG를 NG로 기화하기 위하여 사용하며, 공기에 의한 기화는 LNG 위성기지에서 사용처에 적합한 온도를 얻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공기식 기화기를 이용하여 기화를 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LNG가 NG로 기화하는 과정에서 1kg당 200kcal의 냉열을 외부로 방출하고 있으며, 이러한 냉열의 방출로 인하여 공기식 기화기의 표면에 결빙현상을 발생시킨다. 또한 현재 사용하고 있는 기화기는 $2{\sim}3$개의 기화기를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어 그 비용의 손실이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최근 사용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공기식 기화기에 관한 것으로 작동유체는 실제 LNG와 특성이 비슷한 초저온 액화가스인 $LN_2$를 사용하였다. 이번 연구에 사용된 변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각의 기화기의 길이를 4000mm, 6000mm, 8000mm으로 하였고 핀의 type을 finless, 4fin, 8fin으로 하여 적용하였다. 두 번째는 봄, 여름, 가을, 겨울철에 따른 기화기의 성능을 알고자 각각의 계절별 온도와 습도를 적용하였다. 마지막으로 계절별 풍속과 실험을 하는 시간 동안의 유량을 알고자 압력을 1 bar로 적용하였다. 그리하여 이번 연구의 목적으로는 각각의 변수를 통하여 실험을 진행 한 후 vaporizer type과 길이에 대한 최적의 성능을 가지는 기화기에 대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기성분은 균주에 따른 약간의 차이가 있었으나 경향은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알코올 발효 균주에 따른 참다래 와인의 이화학적 품질특성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고급알코올함량을 비교하였을 때 Sacch. cerevisiae Wine 3이 와인제조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홍국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b값은 CSB가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홍국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물성측정 결과 경도와 응집성은 각 시료들 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탄력성과 부서짐성은 CSB가 가장 낮았으며, 홍국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점착성은 SDB1이 가장 낮았으며, 홍국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기공의 균일성은 SDB1이 가장 균일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색은 홍국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경도, 탄력성, 단맛 및 신맛 등은 홍국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취는 SDB1이 가장 적게 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기호도는 SDB1이 가장 높았다. 따라서 홍국을 10% 첨가한 sourdough starter를 3일 동안 발효한 후 반죽에 첨가하여 sourdough bread를 제조할 때 품질이 가장 우수한 제품을 얻을 수 있었다.생수와 여러 물질의 혼합용액의 온도가 장에 끼치는 자극에 차이가 있지 않나 추측되며 이에 관한 추후 연구가 요망된다. 총대장통과시간의 단축은 결장 분절 모두에서 줄어들어 나타났으나 좌측결장 통과시간의 감소 및 이로 인한 이 부위의 통과시간 비율의 저하가 가장 주요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차가운 생수 섭취가 주로 결장 근위부를 자극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아닌가

  • PDF

A Study on Boiling Characteristics of Direct Contact LNG Evaporator (직접접촉식 액화천연가스 기화기의 비등특성 연구)

  • 김남진;김종보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4 no.3
    • /
    • pp.420-428
    • /
    • 1995
  • 현재 사용하고 있는 액화천연가스 기화기는 관내부로 -162$^{\circ}C$의 액화가스가 흐르고, 관외부로 발전소 증기응축기 출구에서 배출된 20~3$0^{\circ}C$의 해수를 흐르도록 하여, 두 유체사이의 온도차로 기화시키는 간접접촉방식 열교환기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간접접촉방식 열교환기는 두 유체사이의 큰 온도차로 인한 금속재료의 피로현상과 해수의 염분에 의한 재질의 부식 및 미생물 부착 등의 원인으로 열전달효율이 저하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관을 중간매체로 하는 간접접촉식 열교환기대신 액화천연가스와 기화용수인 물을 직접접촉시키는 방법으로 이용하여,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해결하려 한다. 본 실험에서는 기화기내의 수위 500 mm와 물의 유량 10 l/min을 일정하게 고정시키고, 액화천연가스의 유량 0.12 ㅣ/min, 0.36 l/min, 0.6 l/min, 기화기내의 압력을 100 kPa, 300 kPa, 500kPa로 변화시키면서 기화기내의 기포, 온도분포, 급팽창현상, 동결현상 및 기화후 수분함유량등의 비등특성을 규명하였다. 실험결과 기화기내의 압력이 증가할수록 기포는 작고 균일한 분포를 이루고, 폭발적인 급팽창현상은 일어나지 않았다. 또한 동결현상은 액화천연가스의 기화를 방지하지 못하였으며, 기화된 천연가스내의 수분함유량 몰%는 압력과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 PDF

Performance Test and System Analysis on Check-Floater in a Coil-Typed LP Gas Vaporizer (전열온수식 LPG 기화기 액 유출 방지장치 성능평가 및 시스템 분석)

  • Choi, Sung-Joon;Kwon, Jeong-Rock;Kim, Hy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11 no.1 s.34
    • /
    • pp.46-50
    • /
    • 2007
  • The metering systems in LPG vaporizers have been frequently exposed to severe conditions and resulted in many problems such as gauge malfunctioning and rupturing if the check-floaters fail to stop liquid outflow when the heat supply for the vaporization of LPG is interrupted. Therefore, to analysis the vaporizer system we carried out the vaporizer performance test and float bulb test by newly devised test equipments. Consequently, we determined the specific gravity of the float bulb and reasonable operating temperature ranges for the LPG and heating waters.

  • PDF

Simulation for Fuel Droplet Evaporation in Cylinder (실린더내의 연료 액적의 기화 과정에 관한 수치 연구)

  • 전흥신;김형택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11 no.1
    • /
    • pp.74-80
    • /
    • 2002
  • In this study, a numerical method for fuel droplet evaporation in cylinder of S.I. engine is presented. This study was newly defined non-dimensional critical droplet lifetime and modeled heating and evaporation processes of fuel droplet during intake and compression stroke of gasoline engine.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simultaneous increase of gas temperature and pressure in compression stroke seems to have compensative effect on droplet gasification rate. The environment variations in cylinder have little effect on the fuel droplet gasification process. The droplet size for full evaporation at the end of compression stroke can be estimated using this program.

Numerical analysis of LNG vaporizer heat transfer characteristic in LNG fuel ship (선박용 액화천연가스 기화기의 열전달 특성의 수치해석)

  • Lee, Dae-Chul;Afrianto, Handry;Chung, Han-Shik;Jeong, Hyo-Min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7 no.1
    • /
    • pp.22-28
    • /
    • 2013
  •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LNG(Liquefied Natural Gas) vaporizer on the ship was performed by numerical simulation to get the optimum NG(Natural Gas) generating condition. The glycol-water was used for heating in LNG vaporizer, and the cooling water of main engine was used as heating souse for glycol-water. This cooling water temperature increases again after recirculating from the main engine, and then it can be used to heat the glycol-water. The numerical analysis results has good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by liquid nitrogen for validation. So CFD technique was used to simulate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LNG vaporizer on the ship. The numerical results show that the operation condition of LNG vaporizer shows NG temperature of $6^{\circ}C$ in the outlet of LNG vaporizer, and the mass flow rates of LNG and glycol-water were showed 0.111 kg/s and 1.805 kg/s, respectively.

Flow Simulation of a Small Engine Carburettor (소형엔진 기화기의 유동해석)

  • Bae, Bong-Ki;Park, Sung-You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12a
    • /
    • pp.511-514
    • /
    • 2009
  •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300cc 소형엔진 기화기의 최적화 및 성능 향상을 위하여 유동해석을 수행하였다. 베르누이의 정리를 기본으로, 성능을 발휘하는 주요 설계인자인 기화기 내부의 벤튜리 튜브의 각도, 길이 등을 변수로 하여 유동해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분석하여 최적화된 모델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유동 해석을 바탕으로 기존 사양 대비 향상된 성능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유동해석을 통해 기화기 내부의 벤튜리관에 곡면(Rounding)처리를 적용함으로 기화기에서 소모되는 흡기저항을 줄여 펌핑로스를 저감활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펌핑로스의 저감은 엔진 연비의 향상과 엔진토크에 긍정적 효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벤튜리관의 출구 각도를 감소시킴으로 박리를 개선하여 Dead Volume을 줄임으로서 기존 모델에 대비하여 원활해진 유동의 흐름을 얻을 수 있었다. 이는 흡기유량을 증대시키고 엔진출력을 상승시키는 효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Separation of Non-covalently Functionalized Graphene Nanoplatelets via Salting-out Process (염석법을 이용한 비공유 기능기화된 그래핀 나노플레이트렛의 분리 공정 연구)

  • Kim, Joonhui;Yoo, Sung Chan;Cha, Jaemin;Ryu, Hojin;Hong, Soon Hyung
    • Composites Research
    • /
    • v.32 no.3
    • /
    • pp.134-140
    • /
    • 2019
  • Graphene nanoplatelets (GNP), one of the graphene derivatives is famous as the most proper candidate for industrial applications. However, current performance of GNPs as reinforcing filler in composites is limited by their agglomeration and physicochemical heterogeneity. Herein, an approach to produce non-covalently functionalized GNPs (F-GNPs) is reported which possesses potential to be extended as the industrial level of mass production. The one-step functionalization process uses melamine, a low-cost chemical, to prevent agglomeration and dispersion in polar solvents. Furthermore, a purification strategy called salting-out process based on differences in the dispersibility of the individual F-GNP flakes is reported to separate F-GNPs. The functionalization and separation process developed in this paper provides a strategy to use GNPs at the industrial level in composite applications.

An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regasification system for LNG-FSRU depending on the changes in performance with vaporization and temperature of the heat source (LNG-FSRU용 재기화 시스템의 열원 온도 및 기화성능의 변동에 따른 시스템 특성분석)

  • Lee, Yoon-Ho;Kim, You-Taek;Kang, Ho-Keun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8 no.6
    • /
    • pp.625-631
    • /
    • 2014
  • In this study, according to increase of thermoelectric power plants that use LNG, LNG-FSRU(Floating-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appeared and it is installed on the Topside in order to deliver in a gaseous state to consumers who are in the shore. This study about th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alysis of the system depending on changes in performance with the vaporization and temperature of the heat source. For the characteristics analysis of the system, we devided vaporization method into Ethylene glycol water vaporization method and sea water as a heat source. Then the system that can vaporize 200ton per hour of LNG of $-157.9^{\circ}C$ and 10,400kPa was configured, an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supplied sea water, required minimum flow rate value was calculated. Also in case of using Ethylene glycol Water as a vaporization method, providing for regional and seasonal factors such as decrease of temperature of water. The system is configured by adding a steam boiler of $174.5^{\circ}C$, 775kPa as heat source. The generation amount of the steam required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vaporizer compared to the water temperature changes in the steam boiler and the amount of required evaporative performance due to changes in the quantity of steam and Ethylene glycol Water was confirmed.

Overpressure Prevention of Pipeline Attached to Outlet of LPG Vaporizer (온수전열식 기화기 후단 배관내 가스의 이상압력상승 방지방안에 관한 연구)

  • Park Kyo-Shik;Park Heui-Joon;Kim Ji-Yo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5 no.2 s.14
    • /
    • pp.62-68
    • /
    • 2001
  • Overpressure in pipeline attached to outlet of LPG vaporizer has been studied to provide countermeasures to prevent it. The cause of liquefaction in pipeline was reviewed using vapor pressure curve with temperature, pressure, and composition to suggest method of controlling such parameters. Performance of vaporizer has been tested to detect defective design of float ball, and then improved scheme was suggested. Trouble of regulator attached to vaporizer was also studied to give countermeasur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