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하학습

Search Result 344,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Case Study on Change in the Geometrical Thinking Levels of the Under Achievers by Using Mathematical Journal Writing (수학저널 쓰기를 활용한 수학학습 부진학생의 기하학적 사고 수준 변화 사례 연구)

  • Ha, Eun-Young;Chang, Hye-Won
    • School Mathematics
    • /
    • v.11 no.1
    • /
    • pp.147-164
    • /
    • 2009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velopment of geometrical thinking levels of the under achievers at mathematics through supplementary classes according to van Hiele's learning process by stages using mathematical journal writing. We selected five under achievers at mathematics among the fourth graders. We examined their geometrical thinking levels in advance and interviewed them to collect basic data related to their family backgrounds and their attitude toward mathematics and their characteristics. Supplementary classes for the under achievers were conducted a couple of times a week during 12 weeks. Each class was conducted through five learning stages of van Hiele and journal writing was applied to the last consolidating stage. After 12th class had been finished, posttest on geometrical thinking levels was conducted and the journals written by the pupils were analyzed to find out changes in their geometrical thinking levels. The result is that three out of five under achievers showed one or two level-up in their geometrical thinking levels, though the other two pupils remained at the same level as the results by the pretest. Moreover we found that mathematical journal writing could provide the pupils with opportunities to restructure the content which they study through their class.

  • PDF

Amazing Triangle을 이용한 기하 학습자료개발

  • Go, Sang-Suk;Hong, Seok-Ma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3 no.1
    • /
    • pp.361-379
    • /
    • 2002
  • 본 논문은 재미있고 활동적인 기하 수업을 위한 학습자료를 제시한 것으로써 Amazing Triangle (NCTM, 1993)를 GSP를 활용하여 학교수업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방안과 테셀레이션으로 확장시켜 도형의 각의 크기, 대칭과 변화, 합동 등의 학습을 통해 자연스럽게 기하에 관한 수학적 개념과 의미를 익히고 수학적 사고력과 창의력을 키우고자 하였다. 수학에 대한 정의적 측면에서의 향상과 동시에 타교과인 미술 분야에 수학이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 가도 알 수 있다.

  • PDF

내가 중학교 기하 영역의 교사용 지도서를 다시 쓴다면?

  • Choi, Su-Il;Kim, D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7-28
    • /
    • 2008
  • 이 논문은 중학교 기하 영역의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성취도가 낮은 것을 관찰하고, 그에 대한 고민으로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수학교육의 질적 접근을 위한 교수 실험을 통해 실제 중학교 과정에서 운용되는 논증기하 교육의 문제점과 그 대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가 반드시 갖춰야 할 지식으로 Shulman(1986)이 제시한 교과 내용 지식과 교수학적 내용 지식, 그리고 교육과정 관련 지식을 받아들였으며, 중학교 기하 영역에서 이런 지식을 갖추기 위해 교사가 폭넓은 고민을 하여 수업의 개선점을 찾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연구를 통해서 학생들에게 명제를 지도할 때 주의할 점과 학습자에게 증명을 하도록 제시하는 방법상의 문제점, 그리고 이등변삼각형의 지도에서의 그 증명이 갖는 의미를 잘 이해하여 학생들에 증명 학습에 진정한 도움이 될 수 있는 방향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절차만을 학습시키는 현행 작도 수업을 개선하기 위한 여러 시도와 등변사다리꼴의 학습에서와 같이 학생들이 수학 용어를 되돌아보는 수업이 필요성을 탐색하여, 많은 교수 실험을 통한 교육과정의 바람직한 개정을 제안하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Digital Geoboards for Geometrical Shapes Learning for Elementary Students (기하판을 지원하는 초등 도형 학습 소프트웨어의 설계 및 구현)

  • Choi, Jiwon;Lee, Yong-Ba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22 no.3
    • /
    • pp.385-396
    • /
    • 2018
  • This research supports the idea that manipulative devices can be an effective modality tool for learning abstract concepts involved with identifying geometric shapes and enhance learners' problem solving and motivation. Until recently specified manipulative device has been adapted only in traditional classroom environment and it has been very rare to find devices that is designed for online-basis. This study focused on designing and implementing an educational software which guide learners with geoboard in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polygons. In addition to the function to draw and to delete various shapes, this software helps learners immediately assess the outcome. The results of the Delphi Technique show promising evidence for it being a very efficient means to learn geometric shapes and increase learners' motivation to learn the subject matter.

An Information Geometrical Approach on Plateau Problems in Multilayer Perceptron Learning (다층 퍼셉트론 학습의 플라토 문제에 대한 정보기하 이론적 접근)

  • Park, Hye-Yeong;;Lee, Il-Byeong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26 no.4
    • /
    • pp.546-556
    • /
    • 1999
  • 다층 퍼셉트론은 다양한 응용 분야에 성공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신경회로망 모델이다. 그러나 다층 퍼셉트론의 학습에 사용되는 오류역전파 알고리즘으로 알려진 기울기 강하 학습법은 느린 수렴속도로 인해 실시간 처리가 요구되거나 시간에 따라 환경이 변하는 문제에의 적용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느린 수렴속도는 기울기 강하법을 사용한 학습과정에서의 오차함수의 기울기 변화가 극히 적어 오차의 감소가 거의 일어나지 않는 부분인 플라토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기하이론의 관점에서 기존의 학습법에 사용되는 기울기의 이론적 문제를 지적하고, 그로부터 플라토 문제의 원인을 밝힌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정보기하이론에 의해 새롭게 정의되는 자연 기울기를 이용한 학습법을 제시하고, 이를 이용한 플라토 문제가 문제해결의 가능성을 분석적으로 고찰하고 실험을 통해 확인한다.

Analysis of LEGO Mindstorm Activity Levels Based on the Van Hiele Levels of Development in Geometry (Van Hiele 기하 학습 수준 이론에 따른 LEGO 마인드스톰 활동 수준 분석)

  • Rim, Haemee;Choi, Inseo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22 no.3
    • /
    • pp.257-275
    • /
    • 2019
  • Technology-based convergence education is being emphasized for students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math education, students need to increase their capabilities in the future by having them experience mathematical problems using robots and sensors, a key technology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present educational uses for educational robots in relation to math and curriculum from a 'mathematics education perspective' and analyze its educational use in relation to the mathematics and curriculum, considering the role of mathematics at the base of the process of exploring real-world phenomena and solving problems. Based on the analysis of Van Hiele levels of development in geometry and the LOGO activity level of Olson et al.(1987), this study analyzed and presented the level of LEGO Mindstorm activity, a representative educational Robot capable of 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and programming in the form of block language, in the first to fourth level.

van Hiele 모델에 의한 기하학적 사고력 개발에 관한 연구(0 수준과 1 수준의 조작활동 중심으로)

  • 최창우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1 no.1
    • /
    • pp.59-71
    • /
    • 1997
  • 기하학적 사고력 개발이라는 우리의 목표는 궁극적으로 보다 낮은 수준의 학생들에게 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아가게 하는 경험을 주는 것이다. 학생들이 보다 높은 수준에서 추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들이 보다 낮은 수준에서 충분하고 효율적인 학습 경험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분수에서 이루어지는 것처럼 기계적인 암기식으로 사물을 학습함으로써 수준(단계)을 뛰어 넘으려고 노력하면은 그들이 학습한 것에 관한 많은 것을 기억할 수 없을 것이다. 조작에 관한 보다 풍부한 경험과 시각적으로 입체감을 주는 설명을 들은 어린이들이 보다 훌륭한 공간 추론을 할 수 있을 것이라 믿는다. 본 고에서는 기하학적인 사고의 개발에 관한 van Hiele 모델이 초등학교에서 기하 수업의 토론을 위한 기초로서 사용되어졌다. 그 모델의 수준들이 묘사되었고 일반적으로 초등학교 아동들의 사고는 0수준과 1수준이라 는 것이 밝혀졌다. 단지 극소수의 아동들이 2수준의 사고에 도달해 있을 것이다. 그러나 만약 초등학교에서의 수업이 기하학적인 개념을 구성하는데 주안점을 둔다면 보다 많은 어린이들이 2 수준의 사고를 보여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0 수준의 어린이들은 도형의 형태에 초점이 맞추어져있고 1 수준의 어린이들은 도형의 성질을 이해하는데 에 있다. 2 수준의 사고자는 도형의 포함관계를 이해하고 비공식적으로 추론 할 수 있다. 처음 세 수준에서의 활동들에 대한 지침이 주어져 있으며 0 수준과 1수준에 연관되는 다수의 활동들을 묘사했다. 0수준의 어린이들을 위해 묘사된 활동들은 그들이 2차원 및 3차원의 도형 둘 다를 시각화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이다. 1 수준에서 사고하는 학습자들을 위해 묘사된 활동들은 2차원 및 3차원 도형의 성질들을 강조했다. 아울러 본 고에서 언급한 활동들은 상호교수에의 접근을 반영했다. 그러한 접근방식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그들의 활동과 의견으로부터 개념을 구성하게 해주며 그들의 활동 결과에 대해 다른 사람들과 의사소통 함으로서 개념을 명확하게 다듬어지게 해줄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평가 활동들이 본고의 마지막 부분에 주어져있다. 그러한 활동들은 교사들에게 어린이들의 기하학적인 사고수준을 결정하게 해주며 학습자들로 하여금 수업시간 이외에 보다 높은 사고수준으로 나아가게 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he Research on the Actual Introduction of Justification to the New Mathematics Textbooks: Focus on the 8th Grade Geometry (수학 교과서의 정당화 도입 실태 분석: 중학교 2학년 기하 영역을 중심으로)

  • Kim, Soo Cheol
    • School Mathematics
    • /
    • v.16 no.2
    • /
    • pp.201-218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Actual Introduction of Justification that mentioned in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of 2009 Revised Curriculum. For this, researcher analyzed the new mathematics textbooks for 8th grade that will be applied 2014. Researcher and cooperators analyzed the 8th grade geometry using the criteria of advanced research.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following. Frist, Teacher need to present the various types of Justification to be used students of the different levels. Second, Teacher have to lead the activity of Justification to satisfy the needs of students.

  • PDF

Gender Differences in Learning Geometric Transformations Using a Computer (컴퓨터를 이용한 기하 변환학습에서 남녀성차에 따른 연구)

  • ChoiKoh, Sang-Sook;Ko, Ho-K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9 no.4
    • /
    • pp.539-556
    • /
    • 2006
  • Tessellations are the pattern of iterations of geometric transformation. We can find them in the works of Escher, the famous Dutch artist. Also, We can find the beauty of tessellations in traditional Korean house doors, old Korean architecture, palace walls, and so forth. In this article, the figures of patterns we present are a pig, a frog, Tchiucheonwhang (the mascot of Korean football supporters), and figures by Escher, using the computer geometric program, GSP (Geometer's Sketchpad). We wanted to investigate the gender differences on students' achievement and disposition toward mathematics in constructing tessellations. The results indicated that if students were supported with well prepared instructional materials which helped students make their own figures, female students in particular would be more interested in learning geometric transformation.

  • PDF

Skemp's concept development of underachievers' analytic geometry using the exploratory software, GSP & Excel (탐구형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해석기하에서 학습부진학생들의 개념형성에 관한 연구: 관계적.도구적 이해를 중심으로)

  • Yoon, In Jun;ChoiKoh, Sang Sook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15 no.4
    • /
    • pp.643-671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exploratory activities using Excel and GSP which are exploratory software, in learning analytic geometry affected on the underachievers' analytic geometry concept development process. The subjects of 5 students who received the 8th~9th grades from their examination of the last semester, participated in a total of 7 units based on Skemp's intelligent learning model.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two important cases found to nearly achieve the category $R_2$. One was reflective thinking could happen through exploratory software in category $R_1$. The other was the exploratory activities which could have the same effectiveness as the relational understanding in category $I_2$, as Skemp mentioned that there is a room to be achieved in the elementary level when such relational understanding is achiev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