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초 수학

Search Result 967,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Cuboid가 형성하는 공간의 표상

  • Lee, Jae-Sun;Lee, Cheong-Ju;Kim, Ga-Yeon;Han, Jae-Ye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9
    • /
    • pp.317-325
    • /
    • 1999
  • 수식에 의한 컴퓨터 그래픽의 입력과 출력에 관한 프로그램의 개발은 수학의 역동화, 인간화, 보편화에 기여하고 있다. 현실적으로 해결해야할 문제와 수식에 의한 해답이 전부인 현재의 수학을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그래픽 기능을 첨부하면 움직이는 수학을 가시화 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한 수학의 실현은 수학자들 모두의 염원으로 전세계적으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이는 것이다. 수학의 원리와 응용성을 가미한 수학적 그래픽의 발전은 새로운 천년을 장식할 새로운 학문분야로 등장하고 있다. 기초과학의 여러 자료를 분석, 검토하여 그래픽으로 조립하는 작업은 수학적 그래픽의 힘으로 가능하며, 실험과 실습의 양상을 바꾸어 놓고 있다. 건축이나 토목 또는 전기전자 학과의 응용수학은 새로운 소프트웨어의 출현으로 컴퓨터 강의로 전환되고 있으며 수학 그 자체로 전산기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개편되고 있다. 수학 교과 내용의 전산 프로그램화와 컴퓨터 활용 수학 학습은 거부할 수 없는 시대적 요구이다. 이 연구에서는 새로운 천년의 시작은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한 완성된 그래픽의 연출이라는 시각에서 수식에 의한 컴퓨터 그래픽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2차원 평면이나 3차원 공간에 이와 같은 다변수함수의 역할을 구현함으로써 다양한 그래픽을 영상화할 수 있다. 다중화면의 연출, 다단계화면의 조합, 다단계다중화면의 영상화 등은 수학에 의한 애니메이션의 기초가 된다. 평면도형의 기본동작을 화면에 구체화시키는 Table 기능을 실제로 구현한다. 연습과 실행 그리고 재구성을 반복하여 조형미를 갖춘 수학적 그래픽을 실현한다. 수학의 학습에 적용할 가치가 있는 학습조형물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의 단순화에 노력한다. 미분기하학의 여러 공식을 이용하여 숨어 있는 그림을 표출하며 미분방정식의 해가 갖는 그래픽의 묘미를 형상화한다. 수식에 의하여 출력된 그래픽의 여러 효과를 응용수학에 활용할 수 있도록 재조립하는 과정을 걸쳐 완성하는데 이 연구의 참된 의미가 있다.

  • PDF

A Study on the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Tools for Math Activities & it's Application (수학체험교구 개발 모형 및 이를 적용한 최대공약수 교구 개발 연구)

  • Suh, Bo Eu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34 no.4
    • /
    • pp.587-603
    • /
    • 2020
  • This study is a basic study to effectively develop a mathematics experience object, an important tool and educational tool in mathematics education. Recently, as mathematics education based on action theory is emphasized, various mathematics experience objects are being developed. It is also used through various after-school activities in the school. However, there are insufficient cases in which a mathematics experience teaching tools is developed and used as a tool for explaining mathematics concepts in mathematics classrooms. Also, the mathematical background of the mathematics experience teaching tools used by students is unclear. For this reason, the mathematical understanding of the toolst for mathematics experience is also very insufficient. Therefore, in this study, a development model is proposed as a systematic method for developing a mathematics experience teaching tools. Also,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Great Common Divisor' mathematics experience teaching tool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model. Through the model proposed through this study and the actual mathematics experience teaching tool, the development of various tools for mathematical experience will be practically implemented.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various tools for experiencing mathematics based on mathematical foundations will be developed.

Analysis of Effectiveness of NCS Mathematics Ability Course in Junior College (전문대학에서 NCS 수리능력 수업의 효과성 분석)

  • Ban, Hee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21 no.2
    • /
    • pp.91-111
    • /
    • 2018
  • Junior college students in located Eup-Myeon areas commonly fail to meet the basic standards of mathematics. This leads students to lack basic knowledge and to have difficulties in studying their majors. In addition, students often lose their interest in the study and eventually leave school or drop out, while some have difficulties in their life at work. To remedy and solve these problems, the country propose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The basic occupational competencies proposed in NCS are essential occupational abilities required to successfully perform the job. I want to apply mathematical ability, which is one of the basic occupational competencies, to mathematics education of junior college. Applying NCS mathematical ability to junior college students, I would like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NCS mathematical ability cour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way of education of desirable mathematical ability and to raise basic academic ability and interest in mathematics.

The Design and Teaching Strategy of Geometry Program for the Mathematically Gifted (수학영재를 위한 기하 프로그램 설계 및 교수전략)

  • Jeon, Young-Ju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13 no.2
    • /
    • pp.225-241
    • /
    • 2010
  • Even though geometry is an important part basic to mathematics, studies on the program designs and teaching strategies of geometry are insufficient.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propose the model of program design for autonomous learners taking their characteristics of the mathematically gifted into consideration. The core of teaching materials are analytic geometry and projective geometry. And the new teaching strategy will introduce three steps ; a draft strategies step(problem presentation, problem solving), a supportive strategies step(abstraction of a mathematical concept, mathematical induction, and extension), a transference strategies step to teaching strategy suitable for mathematically gifted. As a result, this study will suggest the effective methods of geometry teaching for the mathematically gifted.

  • PDF

A Study on the Effect of Visual Communication Utilizing Smartphones on Basic Mathematics Education at the Tertiary Level (대학기초수학 수업에서 스마트폰을 활용한 시각적 의사소통이 수학교육에 미치는 영향 연구)

  • Hong, Ye-Yoon;Im, Yeon-Woo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10
    • /
    • pp.53-60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visual mathematics education using smartphones and immediate feedback through SNS on students' understanding of basic mathematical concept and academic achievement at the tertiary level. Researchers analyzed the test results of 214 students' mid-term and final examination in 4 classes consisted of 16 weeks' classes with two hours per week. Also their 30 questionnaire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The result reveals that classes using smartphones promoted understanding mathematical concepts and induced students' motivation and affirmative reaction. This study implies that an appropriate use of technology will support dynamic visualization of mathematical modeling and its interpretation, which enables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and deeper understanding.

Reflections on the Prim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in the Netherlands - Focused on Number and Operations Strand - (네덜란드의 초등 수학 교육과정에 대한 개관 - 자연수와 연산 영역을 중심으로 -)

  • Chong, Yeong-Ok
    • School Mathematics
    • /
    • v.7 no.4
    • /
    • pp.403-425
    • /
    • 2005
  • The study aims to get real picture of primary mathematics education based on RME in the Netherlands focusing on number and operations strand by reflecting and analyzing the documents in relation to the prim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In order to attain these purposes, the present paper describes the core goals for mathematics education, Dutch Pluspunt textbook series for the primary school, and a learning-teaching trajectory by TAL project which are determinants of the Dutch prim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Under these reflections on the documents, it is analyzed what is the characteristics of number and operations strand in the Nether-lands as follows: counting numbers, contextualization, positioning, structuring, progressive algoritmization based on levels, estimation and insightful use of a calculator. Finally, discussing Points for improving our primary mathematics curriculum and textbook series development are described.

  • PDF

대학수학능력시험의 확률영역에 관한 문항반응 분석

  • Lee, Gang-Seop;Kim, Jong-Gyu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8 no.2 s.19
    • /
    • pp.239-250
    • /
    • 2004
  • 수학적 힘의 함양과 문제해결력의 신장을 위한 수학교육에서 확률영역은 중요한 학습소재임에도 불구하고, 확률영역은 어려운 것으로 고착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확률영역의 어떤 부분을 어려워하고 이해하기 힘들어하는지를 구체적 문항분석을 통하여 알아봄으로서 교수-학습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한다. 이를 위하여, 지난 10년간 출제되었던 대학수학능력시험의 확률영역 16문항을 고등학교 학생 220명에게 실시하고, 고전검사이론과 문항반응이론울 적용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고전검사이론에서는 신뢰도와 변별도를 측정하였고, 문항반응이론에서는 Rasch 1-모수 문항반응모형에 근거한 BIGSTEP을 사용하여 내적타당도와 난이도를 측정하였다.

  • PDF

자리바꾸기 문제를 활용한 수학적 창의성의 발현 과정 연구

  • Kim, Bu-Yun;Lee, Ji-Se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9 no.2 s.22
    • /
    • pp.327-344
    • /
    • 2005
  • 솔리테르(solitaire) 중 간단한 게임인 자리바꾸기 문제에 대해 학습자로 하여금 다양한 해결방법을 산출 하도록 한 후, 그 과정에서 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의 발현 과정을 추적해 본다. 제시한 문제 해결 과제에 대한 학습자들의 반응과 해답을 분석함으로써 수학적 창의성에서의 인지적 구성요소인 확산성, 유창성, 논리성, 유연성, 독창성과 정의적 구성요소에 해당하는 적극성, 독자성, 집중성, 정밀성 등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를 살펴본다. 또한 그렇게 함으로써 각 구성요소의 의미와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며, 나아가 이들 구성요소를 판별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수학교사의 교수 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분석

  • Bang, Jeong-Su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2
    • /
    • pp.331-347
    • /
    • 2001
  • 수학교육 개혁에서 강조되고 있는 교실 문화의 변화는 교사가 그 개혁 방향을 이해하고 자신들이 지향하는 가치와 우선 순위를 수업에 어떻게 적용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에서는 문헌을 통하여 교수 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변인 (교사의 학습 및 교수 경험, 지식, 신념, 개별인성특징) 및 사회문화적 변인 (문화적 ${\cdot}$ 교육적 규준, 교육과정 개발과 운영, 교사교육, 전문적 모델과 교사공동체)을 찾아내고 이를 기초로 하여 수학 교사의 교수 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질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구체적인 개발면담 질문을 제시한다.

  • PDF

학습부진아에 대한 효율적인 지도방법 - 고등학교 중심 -

  • Lee, Sang-Wo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0
    • /
    • pp.237-270
    • /
    • 2000
  • 본 연구는 고등학교 1학년 학습부진아를 위하여, 자연과학의 기초가 되고, 학습의 전이가 높다고 생각되는 수학 교과를 중심으로 학습부진아의 특성을 규명하고 학습부진아를 위한 교수, 학습방법, 수학적 능력향상, 학습부진아에게 새로운 흥미와 학습 의욕을 야기 시켜 보다 효율적인 지도방법, 학습부진아의 원인을 규명하고, 개인차에 알맞은 학습과 현장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소하여 학습부진아를 위한 교재를 개발하여 학습의 전의력을 높임으로써 수학교과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수, 학습 모형을 구성 적용하고, 학습에 대한 태도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키고, 학습부진아를 위한 효율적인 지도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