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존학교시설

Search Result 103,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학교용지부담금, 정부의 결단이 필요하다

  • Gang, Un-San
    • 주택과사람들
    • /
    • s.205
    • /
    • pp.46-49
    • /
    • 2007
  • 교육인정자원부가 부족한 교육재원 확보를 이유로 이미 위헌판결이 내려진 학교 시설 용지부담금 대신 아파트 사업자들에게 학교 시설 비용 일체를 부담하라는 새로운 해석으로 민간 건설사들의 강한 반발을 사고 있다. 기존의 대단지 아파트 입주민들에게 부담금을 전가하는 것은 위헌이라는 판결을 받은 바 있는 학교용지부담금이 다시금 쟁점화됐다.

  • PDF

A Study on the Multiplex Use of Elementary School Facilities for Revitalizing Local Communities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초등학교시설 복합화 방안에 관한 연구)

  • Lee, Si-Won;Chu, Beom
    •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 /
    • v.23 no.2
    • /
    • pp.11-22
    • /
    • 2024
  • Rapid urbanization has led to the decline of local communities in old city centers and the deterioration of school facilities, resulting in an increased need for school complexes. School complexes are currently growing, with various policies being proposed. However, integrating additional facilities into the existing infrastructure in schools can lead to a range of issues. To mitigate these issues, additional traffic flow paths and complex integration strategies are required. This study categorizes school complex projects into various types based on themes and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each type and community revitalization factors. Through this analysis, the study recommends desirable directions for the implementation of elementary school complex projects to revitalize local communities.

Location Characteristic of School - Moved Sites in Busan Metropolitan City (학교시설 이적지의 시설입지 전·후 특성에 관한 연구)

  • Kim, Kyung-Su;Baek, Tae-Ky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0 no.2
    • /
    • pp.103-111
    • /
    • 2007
  • Since the 1980's the school of Busan metropolitan city has been converted into the other land-use such as high-rise apartment houses, commercial and office buildings. School facilities are available to locate in green area due to not restricted by land use zone. And the location of school facilities were closely related with the school district, distribution of neighborhood unit, safety of students, and so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location characteristic of school - moved sites in Busan metropolitan city.

  • PDF

A Study on Redesigning of School Library Facilities (학교도서관 시설 개선에 관한 연구)

  • 김병주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14 no.2
    • /
    • pp.141-158
    • /
    • 2003
  • The development of new technology and the change of educational environment are much influencing the primary and middle school education. The school library which is very important part of school education in order to perform its functions effectively and efficiently must be provided with professional staff, necessary resources and adequate facilities. It is necessary to redesign and renovate existing facilities to meet the growing needs of newly developed school library programs and to effectively manage and allocate physical space appropriately.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ubject and to find out present conditions and future needs of school library facilities and environmental change in Korea through a predesigned questionnaire for a redesign proposal.

  • PDF

Schematic Design Study for the Reconstruction of Hongpa Primary School (서울 홍파초등학교 재건축 계획 설계 연구 요약)

  • Shim, Woo-Gab;Kim, Seung-J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 /
    • v.4 no.1
    • /
    • pp.53-64
    • /
    • 1997
  • 지난 20여년간의 비약적 경제 성장을 통하여 우리 사회는 모든 물리적 측면에서 양적인 성장과 질적인 발전을 거듭하여 왔다. 이러한 경제 성장기를 거치면서 우리의 삶은 다각도에서 변화를 겪었으며 건축환경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 정보화, 세계화라는 시대적 흐름은 우리의 생활자체를 급속도로 변화시키고 있으며 업무용 시설을 포함한 모든 건축물이 대형화, 고층화 뿐 아니라 정보화, 현대화되고 있다. 그러나, 교육의 중요성과 이를 뒷받침해 줄 학교 시설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교육환경의 질적 개선은 상대적으로 낙후되어 있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교육개혁위원회의 교육개혁방안이 계속적으로 나오고 있고 서울의 불암초등학교를 필두로 한 시설 현대화 시범학교가 시도별로 마련되고는 있지만 전반적인 교육 환경은 아직 열악한 상태이다. 특히 구도심부에 위치한 초등학교의 경우, 준공된 후 30년 이상 경과된 학교 건물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가 적지 않아 안전상의 문제마저 안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건물의 내구 연한이 그 한계에 달해 가고 유지보수비용이 계속적으로 늘어 경제성을 잃어 가고 있는 학교들을 대상으로 한 재건축과제가 신설 학교의 신축 또는 기존학교의 이전 못지 않은 주요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더욱이 기존 학교의 재건축사업은 수업을 진행시켜가며 철거 및 신축공사가 단계적으로 수행돼야 한다는 어려움을 갖고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의 재건축을 위한 기본적인 자료를 정리하고 배치 및 평면 계획을 중심으로 한 계획 대안을 작성, 검토하여 대안별 장단점을 분석한 후 가장 바람직하다고 평가되는 안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범위로 하였다. 계획안의 작성에 앞서 실시된 문헌조사 및 실측조사를 통하여, 신축되는 홍파초등학교에 필요한 시설의 내용 및 규모가 산정되었는데 특기할 사항은 좁은 대지임에도 불구하고 가능한 체육관 시설을 포함시키고자 하였다는 것이다. 홍파초등학교 부지는 $8,960m^2$ 정도밖에 안되는 좁은 부지로서 운동장도 제대로 확보할 수 없는 상황이었으나 체육관의 높은 활용도 및 장래의 필요성을 고려하여 소규모라도 계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하였다. 열린교육에의 대응, 제반 특별교실의 확충, 식당 및 지하주차장의 확보 등 모든 시설이 현재 및 장차의 사용에 적합하도록 계획하여 현 시설의 1.5배 정도의 연면적을 갖는 신축 계획안을 작성하였다. 서울대학교와 광운대학교에서 분담하여 실시된 계획안의 작성을 통하여 총 4개의 계획안이 도출되었으며 이 대안들을 채광 및 환기, 학년별 zoning, 기능별 zoning, 열린교실의 정도, 지역사회에의 개방성, 재건축 공사의 용이성, 규모, 옥외공간의 활용성, 동선 계획, 조형성 등 10개 항목을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이러한 비교분석을 통하여 결론적으로 제1안을 최적안으로 제시하게 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최종 설계안이 도출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 PDF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School Building Area per Student for the Revision of School Facility Standard (학교시설 면적기준 개정을 위한 학생 1인당 시설면적 비교 분석)

  • Cho, Jin-il;Choi, Hyeong-ju;Park, Sung-chu
    •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 /
    • v.14 no.2
    • /
    • pp.1-11
    • /
    • 2015
  • The existing school facility recommendations enacted in 1997 has not been suitable for current school curriculum. The objective of the paper is to present the school building area reflecting the current education policies and curriculum. This paper firstly reviewed previous school facility recommendations through literature review. Secondly, the statistical approach was carried out for analyzing the present situation of school building area by using statistical database of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The paper did the field investigation and questionnaire. And, the final step proposed the school building area standards(minimum, optimum, maximum) by space program using Nelson model. The contents of analyzing space organization are 'entry and placement, outdoor space', 'space program' and 'phase structure and organization of unit space'.

A Study on a Remodelling Decision-Making Model for Existing School Facilities (기존학교시설(旣存學校施設)의 리모델링 의사결정(意思決定) 모델에 관한 연구(硏究))

  • Lee, Hwa-Ryong;Kim, Jin-Man;Kim, Jun-Ta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 /
    • v.8 no.2
    • /
    • pp.5-12
    • /
    • 2001
  • As the exiting school facilities become old and unfit for new curriculum, the systematical remodelling process based on its educational and physical functions is required. due to the inadequate maintenance and repairing practices, unnecessary costs are expend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remodelling decision-making model for improv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the existing school facilities. According to the budget system, it proposes the concept of remodelling that includes the activities of extension, reconstruction, repair and improvement. This study classifies the performance evaluation for school facilities as that of safety, durability and educational function, and articulates the assessment standards, methods and elements. In the end, it suggests a rational model for remodelling decision-making that can provide efficient and comprehensive remodelling process, economic and sustainable school develop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