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저막

검색결과 187건 처리시간 0.029초

징거미새우, Macrobrachium nipponense 수정관의 미세구조와 기능 (Finestructure and Function of Vas deferens in a freshwater Prawn Macrobrachium nipponense)

  • 김대현;이재용;정지현;강정하;이복규;한창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424-430
    • /
    • 2002
  • 징거미새우의 수정관은 정소의 중앙 후반부에서 기원되어 제 5보각의 기부에 위치한 생식공까지 연결되어 있고 그 형태에 따라 짧고 가느다란 기부, 나선부, 직선상의 말단부 그리고 사정관 4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수정관 기부의 내강은 높이가 $12{\~}28{\mu}m$의 SCE가 랴은 기저막으로 둘러싸여 있다. 그리고 일부에 높은 HCE도 관찰된다. 나선부와 말단부의 내강은 배면으로는 $40\~120{\mu}m$ 높이의 높은 HCE가 그리고 복면과 측면에는 $12\~28{\mu}m$ 범위의 SCE로 구성되어 있다. 수정관의 사정관에는 종주근과 환상근으로 이루어진 근세포들로 둘러싸여 있고 2종류의 상피세포는 거의 비슷한 비율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기부의 내강에는 성숙정자와 호염기성 기질만 관찰되는 반면, 나선부부터는 SCE주변으로 호 산성 기질이 함께 나타난다. 사정관내에 저장되어 있던 정자덩어리와 정자를 싸고있는 물질이 양쪽의 생식공으로부터 한 쌍의 관형태의 정포로 되어 교미 직후의 암컷의 $2\~4 $또는 5번째 보각의 복판에 부착된다. 정포는 그 길이가 $2.7\~4.0mm$, 폭이 $1.5\~2.7mrn$ 정도의 크기였다.

인간 무세포성 진피기질 위에 배양한 가토 구강각화상피세포의 중충화와 기저막 형성에 관한 연구 (FORMATION OF BASEMENT MEMBRANE AND STRATIFICATION OF RABBIT ORAL KERATINOCYTES CULTURED ON HUMAN ACELLULAR DERMAL MATRIX)

  • 김용덕;안강민;염학렬;정헌종;김성민;장정원;성미애;박희정;황순정;이종호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7권6호
    • /
    • pp.510-522
    • /
    • 2005
  • To assess the clinical applicability of bio-artificial mucosa which was made with autologous oral keratinocytes and human acellular dermal matrix, the formation of basement membrane and stratification of oral keratinocytes were evaluated. Six New Zealand white rabbits (around 2kg in weight) were anesthetized and its buccal mucosa was harvested (1.0 $\times$ 0.5cm size). Oral keratinicytes were extracted and cultured primarily with the feeder layer of pretreated NIH J2 3T3 fibroblast. These confluent cells were innoculated on the human acellular dermal matrix and cultured in multiple layer by air-rafting method. After 3, 5, 7, 10, 14 days of culture, each cultured bio-artificial mucosa was investigated the number of epthelial layer of by H&E stain and toluidine blue stain. The immuhohistochemical methods were used to evaluate the cell division capacity, the formation of basement membrane, and it's property of specific cells (PCNA, cytokeratin 14, laminin). Transmission electromicroscopy was used for the attachment between cells and matrix with the number of hemidesmosome. In result, the numbers of layer of stratified growth of oral keratinocyte cultured on the human acellular dermal matrix and the number of hemidesomal attachment between epithelial cells and human acellular dermal matrix were similar to the layers of normal oral mucosa after 10 days of culture. The cell division rate, basement membrane formation and proliferation rate increased as culture period increased. With these results, bio-artificial mucosa with autologous oral epithelial cells cultured on the acellular dermal matrix had clinically adaptable properties after 10 days' culture and this new bio-artificial mucosa model with relatively short culture time can be expected clinical applicability.

양서류 피부 색소세포의 미세구조 (The Ultrastructure of the Cutaneous Pigment Cells in the Amphibia)

  • 김한화;노용태;지영득;문영화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33-144
    • /
    • 1981
  • 도룡뇽 배부피부의 색소세포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표피의 색소세포는 종자층 사이에 있는 흑색소세포와 각질세포층에 산재해 있는 흑색 소보유세포로 구성되었으며 표피내 이들 세포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A. 흑색소세포의 핵은 원형 또는 타원형이며, 부분적으로 크고 작은 핵막함요를 나타내었다. B. Rough-surfaced endoplasmic reticulum과 Golgi체가 특히 흑색소세포의 핵 아래부분의 세포질에 잘 발달되었으며, ribosome은 특히 핵 주변부와 인접하여 산재해 있었다. C. 흑색소세포의 흑색소과립은 전자밀도가 높고 낮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나타났다. D. 흑색소보유세포의 핵은 일부분의 핵막이 깊게 함입하였으며, 흑색소과립이 세포질에 채워져 있으므로 다른 세포소기관은 구별되지 않았다. 2. 진피는 기저막 바로 밑의 대황세포와 흑색소보유세포로 구성되었으며, 전피내 이들 세포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A. 대황세포는 크기가 다른 원형 또는 타원형의 소낭을 가지고 있으며, 그 소낭은 6가지의 형으로 구분되었다. (제 1형 prerinosome, 제 2형 pterinosome, 제 3형, pterinosome, 제 4 형 pterinosome, 제 5 형 pterinosome, 제 6 형 pterinosome). B. 진피의 흑색소보유세포의 핵은 긴 타원형이며, 핵막의 일부분이 깊게 함입되었다. C. 같은 전자밀도의 흑색소과립이 흑색소보유세포의 전 세포질에 채워져 있으며, 다른 세포소기관은 관찰되지 않았다. D. 흑색소보유세포의 돌기는 대황세포와 평행하여 뻗어 있었으며, 그 돌기속에는 흑색소과립이 채워져 있었다.

  • PDF

흰쥐 수지동맥의 미세구조에 관한 연구 (Eine Structure of Digital Arteries in Rat)

  • 김백윤;신근남
    • Applied Microscopy
    • /
    • 제29권1호
    • /
    • pp.83-94
    • /
    • 1999
  • 미세혈관 수술의 발달로 수지동맥의 재접합술이 성행함에 따라 혈관벽의 구조에 관한 연구들이 활발하지만 수지의 미세동맥과 모세혈관에 관한 연구는 드물다. 이에 저자는 흰쥐 수지의 충양근 안에 있는 미세동맥과 모세혈관의 구조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1. 흰쥐 충양근 내의 미세동맥 (small arterioles)은 그 직경이 $12\sim20{\mu}m$로 중막이 한 층의 평활근세포로 구성된 종말소동맥 (terminal arteriole) 형태였는데 인체의 종말소동맥$(30\sim35{\mu}m)$에 비해 직경이 작았으며, 모세혈관은 직경이 $5\sim8{\mu}m$로 비슷하였다. 2. 모든 미세동맥 및 모세혈관의 내막을 구성하는 내피세포는 연속형 (continuous type)이었고, 따라서 전체 세포질내에 포음소포(pinocytic vesicles)가 많이 관찰되었다. 3. 모세혈관 주위에서 자주 혈관주위세포(pericytes)가 관찰되었는데 철관주위세포의 긴 들기가 내피세포의 일부를 싸는 경우도 많았으며 이들은 기저판에 의해 둘러싸여 있었다. 4. 내피세포들 사이에는 여러 가지 형태의 접촉이 있었으나 특히 폐쇄띠 (tight junction)를 가장 많이 관찰할 수 있었다. 미세동맥의 내피하층은 기저판 아래에서 매우 불규칙한 양상으로 나타났는데 곳곳에 내피세포와 중막을 구성하는 평활근세포의 막이 꽉 붙어 관찰되었다. 5. 미세동맥의 중막을 구성하는 한 층의 평활근세포의 세포질은 많은 filaments가 있어 균질성으로 보이는 균질성 영역 (homogeneous area)과 mitochondria, 조면내형질망, 골지복합체, polyribosome 등이 관찰되는 핵 주위의 비균질성 영역 (non-homogeneous area)으로 구분되었다. 6. 미세동맥의 외막은 섬유모세포의 아주 가느다란 돌기들로 형성되어 있었으며 군데군데 교원섬유들이 관찰되었다.

  • PDF

Paeonol에 의한 표피줄기세포 활성화 (Activating the Proliferation of Keratinocyte Stem Cells by Paeonol, a Compound from Natural Herb)

  • 김도형;김효진;여혜린;이천구;이상화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45-152
    • /
    • 2016
  • 피부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표피는 개체의 생존에 절대적으로 중요하며, 기저막에 위치한 표피줄기세포에 의해 평생 끊임없이 재생되고 있다. 표피줄기세포는 한정된 세포분열을 진행하고 각질세포로 분화하는 transit amplifying (TA)세포를 만들어 냄으로써 오랜 기간 재생에 필요한 많은 각질세포를 만들어 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표피줄기세포 세포분열 활성화 화합물로 목단으로부터 추출한 페오놀(paeonol)을 350여 개의 화합물들로부터 검색해 냈다. 이러한 세포분열 활성화 효능은 표피줄기세포 특이적으로 나타나며, 표피줄기세포의 지표로 알려진 p63 단백질의 발현 경향은 페오놀을 처리한 표피줄기세포에서 변화하지 않음을 유세포분석법으로 확인하였다. 콜로니형성 분석에서는 페오놀을 처리한 표피줄기세포가 1.3배 이상 더 나은 콜로니 형성능을 보여 주었다. 그리고 PCR array 분석을 통해서 페오놀의 효능은 여러 신호전달에 의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페오놀이 줄기세포성에 영향을 주지 않고 표피줄기세포의 재생능력을 향상시키므로 표피줄기세포 활성화 물질로서 화장품 소재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PMA로 자극된 HT-1080 세포에서 염주괴불주머니 추출물의 MAPK 경로를 통한 MMP-2, MMP-9 발현 억제 효과 (Production of PMA-induced MMP-2 and MMP-9 in the HT-1080 Fibrosarcoma Cell Line is Inhibited by Corydalis heterocarpa via the MAPK-related Pathway)

  • 유가현;카라데니즈 파티;오정환;공창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1-55
    • /
    • 2022
  •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는 세포의 기저막 분해에 관여하는 효소로 과발현된 MMPs는 암세포 침윤과 전이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항염증, 항균활성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는 염주괴불주머니 추출물을 이용하여 PMA로 유도된 인간 섬유육종세포 HT-1080 세포에서 MMP-2, MMP-9의 발현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염주괴불주머니 추출물은 TIMP-1 및 TIMP-2를 증가시키면서 MMP-2 및 MMP-9의 mRNA 및 단백질 발현 수준을 모두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p38, JNK, ERK의 인산화를 억제하였으며, 이를 통해 염주괴불주머니 추출물은 MAPKs 신호 전달 경로 조절에 영향을 줌으로써 MMPs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염주괴불주머니를 이용한 암 전이 억제 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면역황금 표기법을 이용한 간흡충의 체액 항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ody fluid antigen of Clonorchis sinensis using immunogold labeling method)

  • 주봉덕;임한종;김수진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8권1호
    • /
    • pp.11-24
    • /
    • 1990
  • 간흡충의 항원성 부위를 규명하기 위하여 간흡충 충체로부터 분리한 체액을 실험 토끼에 주사하여 면역시킨 IgG와 간흡충에 감염된 실험 토끼의 IgG를 간흡충 조직 항원에 반응시키고 면역황금 표식법을 이용하여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간흡충의 조직세포 사이의 구성물인 세포간질과 맹관의 내용물, 그리고 맹관 막 구조물은 충체에 감염된 IgG와 체액 항원에 면역된 IgG 모두에서 항원-항체 반응이 관찰되었지만 체액 항원으로 면역된 IgG에서 다소 강한 반응이 나타났다. 표피의 기저층과 난황선의 난황 물질은 충체에 감염된 IgG에서는 반응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체액 항원에 면역된 IgG에서는 강한 반응이 나타나 이들을 구 성하는 물질은 체액 반응 IgG에 대한 특이 항원으로 생각되었다. 배설관의 내용물과 막 구조물은 충체에 감염된 IgG에 대한 반응이 특이하였으나 체액 항원에 면역된 IgG에 대한 반응은 매우 미 약 하여 항원성에 차이점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수정낭의 정자세포 간질은 충체 감염 IgG에 반응 하고 정자세포의 두부는 체액 항원으로 면역된 IgG에 반응하여 매우 상이한 항원성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충체의 세포간질과 맹관 구성물은 충체 감염시와 체액 항원에 면역된 IgG에 대하여 반응의 정도 차이는 있으나 항원성으로 관찰되는 것은 동일하였다. 그러나 수정낭의 세포간질과 배설낭의 구성물질은 충체에 감염된 IgG에 대한 특이 항원이며 수정낭 내의 정자들의 두부와 난황을 구성하는 물질은 체액 면역 IgG에 대한 특이 항원인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기저핵, 시상, 속섬유막 뇌출혈로 인한 반신부전마비에 대해 한·양방 병행 치험 1례 (A Case Report of Hemiparesis in a Patient with an Intracerebral Hemorrhage at the Basal Ganglia, Thalamus, and Internal Capsule Treated with a Combination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and Western Medicine)

  • 손아현;최현민;고지윤;이동근;신현수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80-189
    • /
    • 2017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effects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reatment on a patient with an intracerebral hemorrhage (ICH) at the left basal ganglia, thalamus, and posterior limb of the internal capsule. Methods: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acupuncture, moxibustion, Hyangsayukgunja-tang, and Samul-tang-gami. The effect of these treatments were evaluated using the manual muscle test (MMT), modified Barthel index (MBI), and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Stroke Scale (NIHSS). Results: After the treatments, the patient's status improved, as shown by his MMT grade, which increased from 1/1 to 4/4. In addition, the patient's MBI score improved from 0 to 77, and his NIHSS score declined from 16 to 2. In addition, the patient's Levin tube and Foley catheter were removed.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raditional Korean medicine may be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ICH.

대하(Penaeus chinensis) 아가미의 형태 및 미세구조 (Morphology and Ultrastructure on the Gill of the Fleshy Shrimp, Penaeus chinensis (Decapoda: Penaeidae))

  • 이정식;강주찬;정선영
    • Applied Microscopy
    • /
    • 제30권3호
    • /
    • pp.311-319
    • /
    • 2000
  • 대하 아가미의 형태와 미세구조를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으로 조사하였다. 대하는 수지형 아가미를 가진 다. 아가미는 출새관과 입새관을 구분하는 세로 격벽을 가진다. 각각의 새판은 전자밀도가 다른 다층구조의 큐터클로 싸여 있다. 새판 기저세포들은 편평형이며, 전자밀도가 높은 세포질을 가진다. 상피세포층은 단층으로 큰 핵을 가진 편평상피로 구성된다. 새판의 기둥구조는 세로방향의 미세소관들과 측면 membrane interdigitation을 가진다. AB-PAS음성 분비세포들은 다세포선의 형태이다. 활성화된 선에서 각 세포의 경계부는 뚜렷하지 않으며, 세포질에는 활면소포체, 미토콘드리아, 전자밀도가 낮으며 막을 가진 분비소포들과 granular rosettes를 가진다. 비 활성화된 선에서는 세포 경계가 뚜렷하며, 세포질에서는 전자밀도가 높은 다수의 작은 과립들이 산재한다. 그리고 alcian blue에 양성인 단세포 분비세포들은 세포질에 발달된 다수의 골지체와 조면소포체들을 함유한다.

  • PDF

폐흡충 총체표피의 단백질 조성 및 항원성 (Protein composition and antigenicity of the tegument from Paragonimus westermani)

  • 김석일;조승열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1권3호
    • /
    • pp.269-276
    • /
    • 1993
  • 폐흡충 성충 표피의 구성 단백질의 분자량을 측정하고. 항원성을 갖는 표피 단백질을 규명하였다. 10개월 성충을 0.1% digitonin용액에 담궈 표피하 기저 막까지 박리하여 회수한 표피층을 초음파 분쇄하여 표피 단백질을 추출하였다. 표피 단백 질 추출액을 SDS-PAGE와 immunoblot으로 분석하였다 폐흡충 표피의 구성 단백질은 분자량이 각각 94. 74 (76-66). 62. 54. 44. 42. 38, 28, 26, 25 24. 17. 15.5. 13.5 IEDa으로 측정되었고. 94 kDa 단백질이 가장 주된 표피단백질이었다. 폐흡충 감염자 혈청을 사용한 immunoblot에서 항원성이 확인된 표피단백질의 분자량은 각각 94. 90. 78. 76. 74. 68. 65. 62. 60, 59. 54 kDa 이었다. 이 표피항원 단백질은 폐흡충증 혈청 10개중 7개에서 immunoblot 양성반응을 나타내었고. 7개 양성반응 혈청 각각에서 표피항원 단백질의 특이 항원성이 모두 관찰되었다. 그러나. 이들 폐홉충 표피항원은 간흡충란 양성자혈청과는 전혀 반응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폐흡충 표피 단백질중에서 분자량 94-54 kDa 사이의 것들이 폐흡충 특이 항원임을 알 수 있었고. 특히 94 kDa 단백질은 가장 양이 많은 대표적인 표피단백질이면서 아울러 특이항원성도 갖고 있었고. 양이 적은 표피단백질이었던 76. 66 kDa 단백질도 상대적으로 높은 특이 항원성을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