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body fluid antigen of Clonorchis sinensis using immunogold labeling method

면역황금 표기법을 이용한 간흡충의 체액 항원에 관한 연구

  • Ju, Bong-Deok (Department of Parasitology, College of Medicine, and Institute for Tropical Medicine, Korea University) ;
  • Im, Han-Jong (Department of Parasitology, College of Medicine, and Institute of Tropical Medicine, Korea University) ;
  • Kim, Su-Jin (Department of Biology, Hallym University)
  • 주봉덕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및 열대풍토병연구소) ;
  • 임한종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및 열대풍토병연구소) ;
  • 김수진 (한림대학교 생물학과)
  • Published : 1990.03.01

Abstract

In order to observe the antigenic localization in the tissues of the adult Clonorchis sinensis, immunogold labeling method was applied using serum immunoglobulins (IgG) of either worm·infected rabbits (group I) or antigen-immunized rabbits (group II) (by the body quid obtained from the adult worms). The electron micrographs of the sectioned worm tissue antigens, embedded in Lowicryl HM 20 medium and stained with protein A-gold complex (particle sixte: 12 nm), were compared between the group I and group II. The gold particles were observed in the interstitial matrix of the worm parenchyma, the epithelial lamellae of the cecum, and the cecal lumen both in group I and II. But the particles were in general more concentrated in group II. The gold particles were not observed on the basal lamina of the tegument or on vitelline glands in group I, while they were highly concentrated on those areas in group II. There were also differences in the antigenicity of interstitial matrix(reacted with group I IgG) and head part(reacted with group II IgG) of the sperm cells in the seminal receptacle. Conclusively, it is suggested that the substances comprising the basal lamina of the tegument or vitelline glands act as specific antigens reacting with antigen(body quid) immunized rabbit IgG. On the other hand, the substances in the cecal lumen and cecal epithelial lamellae are thought to be the specific antigen that react with the worm-infected rabbit IgG.

간흡충의 항원성 부위를 규명하기 위하여 간흡충 충체로부터 분리한 체액을 실험 토끼에 주사하여 면역시킨 IgG와 간흡충에 감염된 실험 토끼의 IgG를 간흡충 조직 항원에 반응시키고 면역황금 표식법을 이용하여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간흡충의 조직세포 사이의 구성물인 세포간질과 맹관의 내용물, 그리고 맹관 막 구조물은 충체에 감염된 IgG와 체액 항원에 면역된 IgG 모두에서 항원-항체 반응이 관찰되었지만 체액 항원으로 면역된 IgG에서 다소 강한 반응이 나타났다. 표피의 기저층과 난황선의 난황 물질은 충체에 감염된 IgG에서는 반응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체액 항원에 면역된 IgG에서는 강한 반응이 나타나 이들을 구 성하는 물질은 체액 반응 IgG에 대한 특이 항원으로 생각되었다. 배설관의 내용물과 막 구조물은 충체에 감염된 IgG에 대한 반응이 특이하였으나 체액 항원에 면역된 IgG에 대한 반응은 매우 미 약 하여 항원성에 차이점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수정낭의 정자세포 간질은 충체 감염 IgG에 반응 하고 정자세포의 두부는 체액 항원으로 면역된 IgG에 반응하여 매우 상이한 항원성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충체의 세포간질과 맹관 구성물은 충체 감염시와 체액 항원에 면역된 IgG에 대하여 반응의 정도 차이는 있으나 항원성으로 관찰되는 것은 동일하였다. 그러나 수정낭의 세포간질과 배설낭의 구성물질은 충체에 감염된 IgG에 대한 특이 항원이며 수정낭 내의 정자들의 두부와 난황을 구성하는 물질은 체액 면역 IgG에 대한 특이 항원인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