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의

Search Result 107,604, Processing Time 0.08 seconds

Study on the Performance Variation of Gas Turbine Air Compressor Integrated with Air Separation Unit in IGCC Power Plant (IGCC 발전소내 공기분리장치와 연계된 가스터빈 공기압축기의 성능변화에 관한 연구)

  • Lee, Chan;Kim, Hyung-Taek;Yoon, Yong-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6.10b
    • /
    • pp.98-103
    • /
    • 1996
  • 석탄가스화복합발전소내 공기분리장치와 연계된 가스터빈 공기압축기의 성능병화를 예측할 수 있는 해석방법을 제안하였다. 공기분리장치와 연계된 가스터빈용 공기압축기의 성능변화는 유선곡률방법과 압력손실모델을 결합한 해석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예측결과들을 실제 압축기성능 시험 결과와 비교하여 예측정확도를 검증하였다. 제안된 압축기성능 해석방법을 근간으로, 압축기와 공기분리장치의 연계조건인 열교환기의 핀치포인트 온도차, 추출공기량 및 추출 공기압력이 압축기 성능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예측하였다. 공기추출량이 늘어나거나 핀치포인트 온도차가 커질수록, 압축기의 압축비 및 소요동력은 증가하나, 압축기 효율은 공기추출량의 증가에 따라 고압공기추출시에는 저하되고, 저압공기추출시에는 향상되었다. 더 나아가, 압축기의 일반화된 성능특성곡선의 제시를 통해, 압축기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압축기/공기분리장치 간 연계조건의 최적화를 시도하였다.

  • PDF

Design of Unknown-Input PI Observer and Realization of Exact LTR (미지입력 비례적분 관측기 설계와 완전 LTR의 실현)

  • ;S. KAWAJ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13 no.7
    • /
    • pp.133-139
    • /
    • 1996
  • 전형적인 상태 관측기에서는, 외란이 시스템 입력에 가해지는 경우 시스템의 상태 추정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상태관측 문제에 대한 한가지 대책법으로서 비례적분(PI) 관측기가 제안되어 스텝외란의 소거에 대한 유효성이 밝혀져 로바스트 제어기 설계에 대한 응용으로서 널리 연구가 행해져 왔다. 그러나, 미지입력에 대한 PE 관측기 설계는 여전히 문제로 남아 있다. 이 논문에서는 미지입력 PI 관측기의 설계법을 제안하고, 이에 대한 응용으로서 완전 LTR을 실현할 수 있는 결과를 보인다. 먼저, 입력의 정보없이 시스템의 상태를 추정할 수 있는 미지입력 PI 관측기의 충분조건을 제안하고, PE 관측기의 설계에 요구되는 필요충분조건을 보인다. 이러한 조건은 완전 LTR의 실현을 위한 직접적인 요구조건임을 보인다. 따라서, 완전 LTR을 달성하면서 지정한 관측기의 극을 지니는 PI 관측기 설계가 가능하다.

  • PDF

The study on the design method for DLMS/COSEM meter S/W using Meter Configuration Script (Meter Configuration Script를 이용한 DLMS/COSEM 계량기 S/W 설계 방법에 대한 연구)

  • Im, Chang-Jun;Hahn, Kwang-Soo;Kim, Byung-Seop;Kim, Jong-Bae;Jung, Nam-Jo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11a
    • /
    • pp.108-110
    • /
    • 2006
  • 계량기의 시장이 독점 시장에서 자유 시장으로 천이 되면서 시장은 계량기의 상호운용능력과 계량기의 지능, 관리능력 그리고 보안등의 부가적인 기능들을 요구 하게 되었다. 이러한 시장의 요구에 맞추어 DLMS 프로토콜을 표준으로 하고 COSEM 오브젝트 모델링 기법을 사용하는 계량기 표준인 IEC 62056이 제정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IEC 62056에서 정의한 프로토콜 및 서비스에 적합한 DLMS/COSEM 계량기의 S/W 아키텍처 및 그 설계 방법을 제안한다. 계량기 S/W는 크게 MCS와 MOM으로 구성되며, MCS는 계량기의 모델링 스크립트로 COSEM 오브젝트와 계량기의 구체적인 기능을 명시하고, MOM은 MCS를 읽어 계량기를 구동 시키는 모듈로 MCS에서 선언된 기능 및 동작을 해석하여 계량기를 전기, 가스, 수도 등의 기능을 갖는 계량기로 동작시키는 역할을 한다.

  • PDF

흡수식 고효율화 방안

  • 문인식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3 no.3
    • /
    • pp.29-32
    • /
    • 2004
  • 이중효용 흡수냉동기의 고효율화 방안과 당사(한국 캐리어)에서 개발한 흡수식 냉동기를 소개 하고자 한다. 흡수냉동기는 1777년 영국의 NAIRNE에 의해 흡수냉동기 이론을 발표한 이후 1945년 미국 CARRIER사가 냉매로서 물, 흡수제로서 리튬브로마이드(LiBr)를 이용한 일중 효용 흡수냉동기가 세계 최초로 상용화되면서 공조용 및 산업용 냉방기기로서 보급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흡수식 기술은 일본에서 이중효용 흡수냉동기 및 냉온수기를 개발하면서 공조용 및 산업용 냉. 난방기기로서 널리 보급되기 시작하였으며, 최근에는 고 효율 이중효용 흡수냉동기 및 냉온수기(COP 1.2-l.3)를 개발하여 제작. 판매하고 있으며 또한 삼중효용 흡수냉온수기(COP 1.6)를 개발하고 있다. 그리고 세계 흡수냉동기 시장은 일본 및 중국을 중심으로 고 효율 흡수냉동기 시장으로 재편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는 아직 일본기술에 의존한 표준 COP 이중효용 흡수냉동기 및 냉온수기(COP 1.01)를 제작 판매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이중효용 흡수냉동기의 고효율화 방안과 당사(한국 캐리어)에서 개발한 흡수식 냉동기를 소개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a Thermoelectric Dehumidifier (열전식 제습기 개발)

  • 주해호;이재원;이화조;권도중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6.04a
    • /
    • pp.753-757
    • /
    • 1996
  • 연전식 제습기는 제습판과 발열판, 열전식 열펌프, 팬과 모타, 직류 전원공급 장치로구성되어 있으며, 열전식 열펌프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면 고온면과 저온면이 발생하는 데 저온면의 온도룰 로점온도 이하로 냉각하여 공기중에 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초기 단계로 개발된 열전식 열펌프를 이용한 열전식 제습기(TED-92)는 기계식 제습기에 비하 여 제습효율이 너무 낮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여러 문제점을 개선하는 방법으로 열전식 열펌 프의 선정, 핀 설계, 제습기의 설계 등을 중점적으로 개선하여열전식 제습기 (TED-95)를 개발하 였다. 여러가지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 열전식 열펌프 CP1.4-127-045L 2개를 사용하여 발열판의 크기를 300 mm로 하여 단열재를 사용하지 않고 입력 전류를 4A를 입력하였을 때 단위전력당 제 습량이 가장 많았다. 열전식 제습기와 기계식 제습기를 비교실험 해본 결과, 열전식 제습기가 기 계식 제습기에 비해 약 21%의 제습효율을 나타 내었다. 그러므로 초기의 열전식 제습기 (TED-92) 보다 약 2배의 제습효율을 높였다.

  • PDF

Active Flutter Control of Wing Using Controller Order Reduction (제어기축차기법을 이용한 항공기 날개의 플러터제어)

  • 고영무;황재혁;김종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5.04a
    • /
    • pp.270-275
    • /
    • 1995
  • 본 논문에서는 3자유도를 갖는 2차원 강체날개의 플러터 속도를 향상시키는 축차 제어기를 설계하는 기법을 연구하였다. 먼저 2차원 강체날개의 운동방정식을 유도하고 플러터 해석을 수행하였다. 다음 수동계의 플러터 속도를 향상시키는 능동제어기를 설계한 후 제어기의 차수를 축차하는 기법을 적용하여 저차의 능동제어기를 구성하였다. 제어기 축차기법으로는 BACR을 사용하였으며 전차 제어기의 상태변수를 약 80%정도 줄일 수 있다. 축차된 제어기를 사용한 능동시스템과 전차 제어기를 사용한 능동시스템의 제어효과의 차이는 무시 할 수 있을 정도로 매우 작다. 따라서, BACR을 사용하여 얻은 축차된 제어기를 사용하면 상당한 계산량 감소효과와 실시간 단축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동일한 돌풍입력에 대한 각각의 능동 시스템의 시간응답도 매우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전차 제어기를 사용한 능동시스템의 돌풍응답과 축차된 제어기를 사용한 능동시스템의 돌풍 응답 사이의 차이도 매우 작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항공기 날개의 능동 플러터억제에는 BACR을 이용하여 설계한 축차된 제어기가 플러터 능동제어에 매우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BACR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요구되는 정확도와 계산량에 대한 상호 절충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 PDF

An Acquisition Technique for PN Code Using Signed-Rank Detectors (부호순위 검파기를 쓰는 의사잡음 부호획득 기법)

  • 김홍길;정창용;송익호;권형문;김용석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6 no.5B
    • /
    • pp.599-607
    • /
    • 2001
  • 이 논문에서는 부호와 순위를 바탕으로 한 비모수 검파기를 쓰는 직접수열 대역확산 시스템의 의사잡음 부호획득을 다루었다. 먼저 국소 최적 순위 검파기의 검정통계량을 얻고, 점근 점수 함수를 쓰는 국소 준최적 순위 검파기와 변형 부호순위 검파기의 검정통계량을 제외한다. 제안한 국소 준최적 순위 검파기와 변형 부호순위 검파기를 쓴 한 우물기법과 이제까지의 제곱합 검파기와 변형 부호 검파기를 쓴 것을 견주어 본다. 제안한 국소 준최적 순위 검파기와 변형 부호순위 검파기의 성능이 이제까지의 변형 부호 검파기의 성능보다 2-3dB쯤 낮고, 거의 최적임을 모의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 PDF

Performance Analysis of Multiuser Detector for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CDMA (동기 및 비동기 CDMA를 위한 다중 사용자 검출기의 성능 해석)

  • 박미선;장은영;김영민;변건식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2003.06a
    • /
    • pp.222-225
    • /
    • 2003
  • 다중 사용자 검출은 CDMA 시스템에서 가장 큰 문제인 원관 문제를 해결해 주는 하나의 방법이다. 동기식 다중 사용자 검출기는 크게 선형과 비선형으로 나누어지며, 선형 검출기에는 역상관기, MMSE 검출기, LMS 검출기, RLS 검출기가 있다. 비선형 검출기에는 SIC, PIC, DFD등이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동기식 선형 및 비선형 다중 사용자 검출기와 비동기식 다중 사용자 검출기의 특성과 성능을 비교 평가하고, 학습 계열이 필요 없는 블라인드 다중 사용자 검출기를 위의 검출기 성능과 비교 평가함으로서 학습 계열을 이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 같은 성능으로 블라인드 다중 사용자 검출기를 사용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Inverter Arc Welder with High Power Factor Using Single-Chip Microprocessor (싱글칩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고역율 인버터 아크 용접기에 관한 연구)

  • 채영민;이승요;신우석;목형수;최규하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 /
    • v.2 no.4
    • /
    • pp.56-64
    • /
    • 1997
  • 최근 용접분야에서는 용접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인버터회로를 용접기에 적용한 인버터 용접기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범용의 인버터 용접기의 경우 다이오드 정류기를 사용함에 저차의 전류고조파가 발생하고 시스템 역율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인버터 아크 용접기의 역율개선을 위한 PWM 컨버터에 관하여 연구하여 입력전류의 저차 고조파를 저감하였고 전원전압과 동상으로 전원전류를 제어함에 의한 단위 역율형 인버터 용접기의 특성을 해석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에너지 절약, 용접 특성, 역율, 사용율, 크기 및 부피 등의 관점에서 인버터 아크용접기의 응용연구 및 실험적 분석을 수행하였고 용접기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노이즈를 억제하고 전력용 반도체 소자를 보호할 목적으로 새로운 노이즈 차폐변압기를 채택하였다. 이상의 전체시스템은 싱글칩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이용한 디지털 제어기로 구현함으로서 제어기의 유연성과 기능의 다양화를 추구하였다.

  • PDF

초고압 변압기의 현황과 전망

  • 노철웅
    • 전기의세계
    • /
    • v.40 no.1
    • /
    • pp.37-44
    • /
    • 1991
  • 변압기의 발전은 송전계통의 변화추이와 밀접한 관계를 갖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송전계통 전압의 변화추이, 국내 변압기의 개발역사, 변압기 정격전압 및 용량 현황, 변압기의 기술동향, 2000년대를 대비한 변압기 기술 연구과제에 대해 서술키로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