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업 창업지원사업

Search Result 247,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The Effect of technical competence according to commercialize the company's technology incubator support and management performance stage (창업보육기업의 기술사업화에 따른 기술역량이 지원과 경영성과단계에 미치는 영향)

  • Jeon, In-Oh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2 no.9
    • /
    • pp.325-340
    • /
    • 2012
  • The present study,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through support of government enterprise incubator, incubator companies examined, and the support of the government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cal competence necessary steps management performance steps, support conditions required were investigated. Government support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support business performance necessary steps to support the needs of the incubator companies and step conditions. Therefore, need funding and funding support, and the time and duration of the condition of the steps in the support business performance, the conduct of the government's support is the most needed step, showed a new growth engine projects of the application and selection screening, sector was.

경기도 문화콘텐츠분야 창업보육센터 지원서비스가 입주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창업아이템의 사업타당성을 중심으로

  • Hong, Dae-Ung;Lee, Il-Ha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04a
    • /
    • pp.41-41
    • /
    • 2017
  • 연구에서는 기존의 업종구분 없이 창업보육센터의 서비스와 입주기업의 성과와의 상관관계 분석과 관련된 연구들을 문화콘텐츠 분야의 기업 관점에서도 유의미한지 재 검증해보고, 또한 문화콘텐츠 기업의 특성상 아이템의 사업성이 입주기업의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검증하고자 한다. 그래서 문화콘텐츠 분야의 창업보육 시 필요한 서비스를 발굴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문화콘텐츠 시장의 성장에 따른 아이템의 사업성 평가에 따른 차별화된 창업보육 서비스를 통해 성과가 도출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문화콘텐츠 분야의 창업보육시스템 구축의 중요성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설문조사는 경기도 문화콘텐츠분야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설문 데이터의 실증분석 방법으로는 SmartPLS 2.0를 이용해 빈도분석(頻度分析), 신뢰도분석(信賴度分析), 그리고 구조모형을 통하여 가설검증을 실시하였다. 가설검증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다음과 같다. 첫째, 경기도 문화콘텐츠 분야 창업보육센터의 지원서비스 수준이 창업아이템의 사업타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공간 및 부대지원서비스, 경영지원서비스, 기술지원 서비스는 창업아이템의 사업타당성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적지원 서비스 및 마케팅 지원 서비스는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둘째, 경기도 문화콘텐츠 분야 창업보육센터의 지원서비스 수준이 입주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공간 및 부대지원 서비스, 인적지원 서비스 및 마케팅지원 서비스는 입주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나, 경영지원 서비스, 기술지원 서비스는 입주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간 및 부대지원 서비스, 경영지원 서비스, 인적지원 서비스 및 마케팅지원 서비스는 입주기업의 비재무적 성과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나. 기술지원 서비스는 입주기업의 비재무적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기도 문화콘텐츠 분야 창업아이템의 사업타당성이 입주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것을 분석한 결과 창업아이템의 사업타당성이 입주기업의 성과(재무적,비재무적) 성과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창업자 역량과 지원시스템이 경영성과와 사업지속 의지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Sin, Bong-Gwan;HwangBo, Yu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9.11a
    • /
    • pp.75-79
    • /
    • 2019
  • 국내 창업 생태계는 최근 몇 년 사이에 양적으로 급속히 팽창하였다. 정부 또한 가장 시급한 문제로 일자리 창출을 꼽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 중 하나로 창업지원을 대폭적으로 확대하며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확대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창업의 양적 성장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시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창업기업의 양적확대라는 긍정적인 측면에도 불구하고 창업기업의 낮은 생존율은 개선의 시급함을 나타내고 있다. 국내 창업기업 10곳 중 7곳 이상이 창업 5년 이내에 폐업을 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2015년부터 중소벤처기업부는 창업기업의 데스밸리(Death Valley) 극복 및 성과창출을 위해 창업 후 3년 이상 7년 이내 기업을 대상으로 자금 및 서비스를 지원하는 등 창업기업이 어려움을 극복하고 사업 지속 가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 역시 창업자가 사업을 진행하면서 겪는 어려움을 극복하는 요인과 사업지속의지가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가를 조사하고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업 어려움 극복영향 요인(창업자 역량, 지원시스템)이 사업지속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경영성과의 매개 역할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 역할을 하는지를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창업자 역량과 지원시스템이 경영성과를 증진하고, 증진된 경영성과가 사업지속의지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인과적 경로를 검증하고자 한다. 사회적 지지를 조절변수로 설정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 PDF

창업지원 정책 개선 방안 연구

  • Gil, Un-Gyu;Sim, Yong-Ho;Bae, Hong-Beom;Kim, Seo-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457-457
    • /
    • 2017
  • 창업활성화와 중소기업의 안정적인 성장을 유도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정부에서는 조세 금융의 직접적인 방법과 지원 사업을 통한 간접적인 방법으로 효과적인 지원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의 창업정책에 대한 견해는 여전히 팽팽하다. 지원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하고 있으나. 지원 방식과 지원사업의 실효성에 대해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정부 창업지원 사업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를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정부 창업지원 사업을 경험한 ICT 창업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행하였으며, 이 중 128개를 대상으로 GAP 분석 및 ISA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실제 지원 사업을 체감한 기업의 의견을 반영하여 현실성 있는 보완책을 제언하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정부 창업지원 사업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언하여, 정부 창업지원사업의 질적 수준을 개선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 PDF

창업지원 매니저의 역량 특성이 조직몰입과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매니저의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 Gang, Hye-Jeong;Yang, Yeong-Seok;Kim, Myeong-Suk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1.11a
    • /
    • pp.155-160
    • /
    • 2021
  •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중소벤처기업부를 중심으로 다양한 창업지원 사업을 시행하고 있고, 매년 창업지원 사업이 증가하고 있다. 창업지원 사업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예비창업자 또는 창업기업의 성공적인 사업화를 지원하고 성공률 제고를 위해 자금·교육·투자·네트워크 등을 지원하는 일이다. 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전담 조직과 전담 인력이 필요하다. 현재까지는 창업보육센터와 창업보육 매니저에 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창업지원단의 역할과 창업지원 매니저에 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창업지원 매니저의 역량 특성이 조직몰입과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창업지원 사업의 규모 확대와 역할변화에 따르는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요구하는 창업지원 매니저의 역량들을 도출해보고, 역량 강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제안하고자 한다.

  • PDF

창업가가 인식한 창업지원사업의 중요도: 만족도 분석

  • Lee, Yeong-Ju;Yang, Yeong-Seok;Kim, Myeong-Suk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11a
    • /
    • pp.113-116
    • /
    • 2017
  • 본 연구는 창업지원사업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창업지원사업의 분야 및 창업지원사업의 기대충족도와 경영성과와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 창업기업의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검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창업지원사업의 분야별 인지도, 중요도, 만족도를 살펴보고, 이러한 인식도의 차이인 기대충족도를 비교분석하여 이에 근거한 문제점을 파악함으로서 현 시대에 맞는 발전방향을 도출하여 우리나라 창업지원사업의 발전방안들을 제시하며, 합리적이고 효과적인 정책방향을 탐색하고자한다. 조사대상은 충청남도와 충청북도의 창업보육센터에 위치하며, 중소기업창업지원법에 의해 사업을 개시하고 7년이 지나지 않은 개인사업자 및 법인 사업자로 한정하였다. 자료수집 방법은 창업보육 매니저에게 요청하여 10개의 창업보육센터를 대상으로 총 150개의 입주기업에 이메일 설문지가 발송되었고, 자기보고식 작성방법에 따라 설문회수된 123개의 설문지 중 불성실 하게 응답한 설문지 1부를 제외한 총 122개를 최종 설문지로 사용하였다. 연구를 위한 자료의 수집은 2017년 10월 10일부터 2017년 10월 25일까지 2주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2.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창업지원사업 분야별로 창업자들이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정도와 실제 만족하는 정도의 평균값과 그 차이에 대한 검정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창업지원사업 중 가장 중요하게 인지하고 있는 분야는 자금지원(4.44점), 시설 공간(4.25점), 컨설팅(3.80점), 창업교육(3.76점) 순으로 나타났고, 자금지원과 시설 공간은 4점 이상의 높은 점수를 보였다. 창업지원사업의 만족도는 창업교육(3.39점), 시설 공간(3.48점), 자금지원(3.36점), 컨설팅(3.33점)순으로 나타났다. 창업지원사업의 창업교육, 시설 공간, 컨설팅, 자금지원 각각 분야의 중요도와 만족도의 차이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한 결과 모든 분야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초기창업자의 창업동기와 창업준비가 사업계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창업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Han, Hyang-Won;Ha, Gyu-S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0.06a
    • /
    • pp.113-121
    • /
    • 2020
  • 최근 정부가 창업기업에게 3년간 공공금융기관 등을 통해 약 100조원 투입하였으며, 금융위원회가 신용보증기관과 산업은행 등 정책금융 등의 많은 창업지원 자금을 통해 약 35조원을 지원하는 등 최근 3년간(2015년~2018년) 창업기업에 약 100조원 이상을 지원하였다. 실제로 중소기업청의 지원예산 중 스타트업 지원 비중은 85%에 달한 반면 스케일업(성장·성숙기)지원은 15%에 불과하다. 그러나 국내 창업기업의 생존율은 선진국에 비해 턱없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창업 후 3년간 생존율은 39.1%로 10곳 중 4곳 정도만 살아남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5년간 살아남을 확률은 27.5% 10곳 중 3곳 정도만 살아남는다. 반면 해외 창업기업들은 5년간 창업기업 생존율은 우리나라의 2배에 달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최근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는 초기창업자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과 함께 창업동기와 창업준비가 사업계속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창업만족도의 매개역할에 관한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초기창업자의 창업동기와 창업준비에 기초하여 창업을 한 후에 창업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보다는 창업 전 부터 사전 준비의 필요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초기창업자들의 창업만족도를 높이고 계속 가능한 창업수행을 할 수 있도록 유용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the Start-up Support Policy: Focused on the ICT Start-up (창업기업 지원 정책 개선 방안 연구: ICT 창업기업을 중심으로)

  • Gil, Wungyu;Bae, Hongbeom;Sim, Yongho;Kim, Seokyu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3 no.4
    • /
    • pp.117-128
    • /
    • 2018
  • Various government support policies are being promoted in order to stimulate growth of SMEs. The government is striving to provide effective support through direct methods of tax, finance and indirect methods through support programs. However, the view on the government's startup policy is still tense. We are sympathetic with the need for support, but discussions continue to be made on the effectiveness of support projects and support projects. Therefore, this study evaluates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the government start-up support project.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questionnaires on ICT start-ups who have experienced government start-up support projects. Of these, 128 were analyzed for GAP analysis and ISA. As a result of the GAP analysis of the government start - up support project, the degree of satisfaction (4.408) was lower than the degree of importance (5.221), confirming that the beneficiary's evaluation on the start-up support project was negative. As a result of the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R&D' and 'commercialization' are located in the maintenance area, and 'government funding', 'marketing, overseas advancement' projects are included in the concentrated area. In the low-ranking areas, there are 'entrepreneur events and networks' items. Finally, there are 'facilities and spaces', 'mentoring and consulting', a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the surplus areas.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R&D', 'entrepreneurial education', and 'government funding' influenced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level of the government start-up support project by establishing the support policy for the ICT start-up enterprises and improving the system.

Analyzing The Types of Policy Support Used by Venture-Backed Startups (벤처투자를 유치한 창업 기업의 정책지원 이용 유형 분석)

  • Jaesung James Park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8 no.4
    • /
    • pp.177-191
    • /
    • 2023
  • This study analyzes the types of linkages between major projects used by firms that attracted venture capital among firms that received government support in the field of SME startups. It identifies the types of linkages between support programs related to attracting venture investment and verifies the usefulness of integrated and cooperative support.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artup Success Packages, Startup Foundation Funds*, Youth Entrepreneurship Centers, and Training are the main programs used by startups and venture firms, and support-implementing agencies use these programs to provide support for each stage of growth. Second, the majority of startups and venture firms receiving policy support for job creation and manpower enhancement projects. Third, export-type growth companies receive continuous support from MSS, MOTIE, MSIT, and KIPO. Fourth, job creation programs drive the employment performance and creation of companies. Fifth, local government support projects tend to rely heavily on central government support programs. Sixth, growth companies in the startup and venture sector have a clear link to credit guarantee scheme by KIBO. These findings provide empirical evidence on the necessity and feasibility of integrated and collaborative support, and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irection of better support policies.

  • PDF

차세대 글로벌 주역의 산실 창업보육센터

  • Korea Venture Business Association
    • Venture DIGEST
    • /
    • s.75
    • /
    • pp.12-13
    • /
    • 2005
  • 성장 가능성이 있는 벤처기업을 지원하겠다는 의도로 도입된 창업보육센터(Business Incubator) 사업. 지난 10여 년간 진행된 이 사업은 단순히 저렴한 사무공간을 제공하는 차원을 넘어서서 교육, 기술지원, 시설확보, 컨설팅지원 등 창업에 필요한 전반적인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다수의 성공기업을 배출하는 업적을 세웠다. 이에 지금까지 달성한 성과와 역할, 글로벌스타벤처의 산실로서 자리매김하게 될 창업보육센터의 비전을 점검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