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술 전략 수립

Search Result 1,387,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Study of formulation of research strategy based on paper/patent data : Case Study of Next Generatio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논문·특허 데이터 기반 연구전략 수립 연구 : 차세대 반도체 제조공정 사례를 중심으로)

  • Cho, Ki-hwan;Yoon, Jung-sik;Song, Jung-ho;Lim, Jin-ho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763-777
    • /
    • 2017
  • 기술집약적 산업의 급격한 기술혁신 속도 및 환경변화에 따른 기술수명 주기의 단축, 기술간 경쟁을 통한 시장지배력의 우위를 선점하기 위해 기술융합을 통한 연구전략 수립은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최근 4차 산업혁명 기반의 반도체산업이 이러한 예이며, 이와 같은 기술집약적 산업의 기술융합이 매우 중요해짐에 따라, 관련 전략수립을 위한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기반의 논문 특허 분석을 통해 반도체산업의 플라즈마 기술이슈의 기술융합 동향 및 특허 동향 분석과 이를 통한 특허 전략 수립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논문·특허 분석 기반 이종 분야 공통기술 식별을 통한 융복합연구 전략수립 연구: 핵융합·가속기 공통부품 국산화 전략수립을 중심으로

  • Kim, Yu-Bin;Jang, Han-Su;Choe, Won-Jae;Hwang, Seong-Ha;Do, Hyeon-Su;Kim, Tae-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5.05a
    • /
    • pp.241-254
    • /
    • 2015
  • 최근 연구개발(R&D) 관련 연구 주체 간 융복합 연구를 통한 신규 사업 발굴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로 인해 융복합 신규 사업을 발굴하고 기획하는 것이 매우 중요해지고 있으며, 관련하여 이종 분야 간 융복합 분야 발굴을 위한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본 논문은 논문 특허 정보 분석을 통해 기존 방법 대비 빠르게 공통 기술을 식별하고, 식별된 결과를 활용한 융복합 연구 전략 수립의 과정을 핵융합 가속기 공통 부품국산화 추진 전략 사례 연구를 통해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양 분야 간 어떤 기술들이 공통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는지를 논문 특허 분석으로 식별하기 위해 핵융합 가속기 분야를 중심으로 WoS(Web of Science) 논문 DB를 활용하여 두 분야 간 공통적으로 출현하는 색인(Index) 빈도수 분석 및 Thomson Innovation을 활용한 신규성(Novelty) 중심의 특허 분석을 수행하여 공통 기술을 식별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이렇게 도출된 공통기술 분야는 기술과 관련 산업체의 사상(寫像, mapping) 과정에 활용하여 국산화 추진 후보를 선별하였고, 기술경쟁력, 기술성숙도 등의 기술성 평가 수행으로 국산화 추진을 위한 최종 전략 분야를 선정하여 핵융합 가속기 공통기술 기반의 융복합 연구의 전략 수립 전 과정을 제시하였다.

  • PDF

Planning Future Technology Strategies Using Patent Information Analysis and Scenario Planning: The Case of Fuel Cells (특허정보분석과 시나리오 플래닝을 이용한 미래기술전략의 수립: 연료전지의 사례를 중심으로)

  • Yoon, Jang-Hyeok;Choi, Sung-Chul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 /
    • v.43 no.2
    • /
    • pp.169-197
    • /
    • 2012
  • Patents are an up-to-date and reliable source of technological knowledge, and thus patent analysis has been considered to be a necessary step for identifying evolving technological trends and planning technology strategies. Although there exist many research papers and technical reports concerning patent analysis, few empirical studies on planning technology strategies for uncertain futures from a national or company perspective have been rarely conducted. Therefore, this paper aims presenting a procedure and its practical case of planning future technology strategies by incorporating patent analysis and scenario planning. Using patents related to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s, this paper developed technology strategies corresponding to future scenarios. We expect that the proposed method and case study can assist knowledge services of experts in the long-term technology strategy planning process.

A Study for Establishment of 3P-based Big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ment Strategy: Focusing on Localization Strategies of Core Components for Heavy-Ion Particle Accelerator (3P기반 거대과학 기술개발 전략수립을 위한 연구 : 중이온 입자 가속기 핵심부품 국산화 전략수립 사례를 중심으로)

  • Yun, Seong-Uk;Kim, Yu-Bin;Choe, Won-Jae;Do, Hyeon-Su;Gwon, Sun-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1533-1549
    • /
    • 2017
  • 정부 R&D성과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고 중장기 국가 재정사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각 연구 기관의 시도들이 있어 왔다. 연구사업의 발굴, 기획 및 수행에 있어 효과적인 정부 R&D 예산의 배분, 우선순위를 도출, 기술개발 전략 수립을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 정부 재정사업인 국가 R&D사업은 국가 기간산업을 활성화하고 경제발전을 수반할 수 있는 중요한 모멘텀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국가 R&D사업의 한 축인 거대과학은 최첨단 기술의 개발과 미래성장동력의 발굴이라는 대명제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거대과학 연구는 그 분야의 특수성으로 인해 대학의 과학자, 공공 연구기관의 연구원, 기업의 엔지니어가 함께 참여하여야 하고 대규모 국가 예산을 동원하는 과학 연구 사업이다. 이는 대규모 예산을 기반으로 하고 있기에 집중적 투자가 수반된다면 단기적으로 기초과학의 발전을 이뤄낼 수 있다. 이것은 산업발전에 밑거름이 되어 그 분야 자체로 하나의 산업생태계를 구성하고 요소 기술들의 응용으로 파생기술이 전파된다면 새로운 신산업 창출 등 국가산업에 많은 혜택을 줄 수 있다. 하지만 많은 인력과 대규모 투자 그리고 중장기 프로젝트라는 특성으로 인해 실패 가능성도 높아 전략적 선택 및 추진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거대과학의 기술개발전략의 수립을 위하여 중이온 입자가속기 핵심부품 국산화 전략수립 사례를 중심으로 효율적인 R&D추진 방안을 도출해보고자 한다. 또한, 논문, 특허를 기반으로 한 3P분석을 통하여 중이온 가속기 핵심부품의 국산화 전략을 제안하고, 추진 우선순위 및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a GIS ISP Model for Local Governments to Overcome the Problems in a Transition Period (지자체 GIS의 과도기적 문제점 극복을 위한 GIS 정보화 전략계획(ISP) 수립모델 연구)

  • 고광철;김도훈;김은형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4.03a
    • /
    • pp.415-421
    • /
    • 2004
  •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여 추진하고 있는 지자체 GIS사업은 기술의 발전에 비해 제도, 교육, 사용자의 마인드, 유지관리 활동, 향후 사업 구상 등에서 상대적인 빈곤을 경험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렇듯 신기술이 도입됨에 따라 다양한 제반 여건들이 동반적으로 성숙하지 못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을 과도기적 현상1)으로 진단하고 있다. 이미 다양한 분야에서 GIS를 도입한 지자체에서는 이러한 과도기적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새롭게 GIS를 도입하고자 하는 지자체에서도 타 지자체에서 모니터링을 통해 간접적으로 과도기적 현상을 경험함으로 인해 효과적인 사업 추진을 구상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지자체의 경우 중앙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다양한 사업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고, 현재의 GIS 사업의 추세가 단순한 공간정보 중심의 사업이 아닌 다양한 속성정보와의 연계를 모색하고 있다는 점에서 지자체 GIS정보화의 방향은 예전과는 사뭇 다른 양상을 간파해 야 하는 현실에 놓여 있다. 이와 같은 지자체 GIS의 과도기적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정보기술의 빠른 변화속도와 외부환경의 극심한 환경변화의 상황에서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의 관계를 진단하고, 변화에 대한 예측과 대비, 중요한 일과 급한 일을 구분한 총체적인 밑그림의 마련과 실행계획의 수립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지자체 GIS의 문제 해결의 노력이 단숨에 바로 해결되는 것이 아니고, 또한 현재 추진된 사업을 기반으로 중복투자의 방지와 시너지 효과 극대화를 위한 투자의 노력이 장기간의 시간적 개념속에서 진행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이를 이끌어줄 가이드가 필요한 것이다. 이러한 총체적인 지자체 GIS의 계획마련을 위해 건설교통부에서는 ‘국가지리정보구축 및 활용등에 관한 법률’상에 계획 수립의 항목을 명문화하고, 나아가 GIS정보화 전략계획 수립에 관한 지침작성을 위한 노력을 진행 중에 있다. 이러한 일련의 현실을 감안하여 지자체 GIS정보화 전략계획 수립을 체계적이고 실질적으로 수립할 수 있는 ‘지자체 GIS정보화 전략계획 수립모델’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사항임에 분명하다. 지자체 GIS정보화 전략계획 수립 모델은 지자체 GIS정보화 전략계획 수립의 효과로 하고 있으며, 형식적 측면에서는 GIS특성을 반영한 전략계획 수립의 방법론적 측면을 중심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처 실제 지자체 GIS정보화 전략계획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9단계를 설정하고 각각의 단계에 대한 중심활동을 바탕으로 지자체에서 실제 전략계획 수립에 필요한 지침을 작성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 PDF

통일준비를 위한 축산부문 대북정책 수립전략

  • Kim, Su-Gi
    • 농업기술회보
    • /
    • v.51 no.5
    • /
    • pp.6-7
    • /
    • 2014
  • 지난 6월 17일 농업기술진흥관에서 (사)통일농수산정책연구원 창립 10주년 기념 '통일준비를 위한 농림수산부문 대북정책 수립전략'을 주제로 심포지엄이 진행되었습니다. 그 내용을 지난 호에 이어 요약 게재한다.

  • PDF

Establishment of KST's Mid to Long-Term Strategy for Stable Operation of Maritime Traffic Safety Assesment (진단제도 안정적 운영 및 고도화를 위한 공단의 중장기 대응전략 수립)

  • Kim, Bu-Young;Bak, Jeong-Dae
    • Journal of Korea Ship Safrty Technology Authority
    • /
    • s.34
    • /
    • pp.46-53
    • /
    • 2013
  • 본 연구는 능동적이고 선제적인 진단제도의 안정적 효율적 관리를 위하여 진단제도상공단의 중장기 대응전략을 수립하고자 한다. 특히, 현재 진단제도의 운영현황, 문제점 분석을 통하여 진단제도의 개선방안을 도출하고 의견수렴을 통한 개선방안에 따른 공단 대응전략을 수립하여 국내유일의 진단제도 전문기관 역할수행 및 수익모델 발굴을 위한 로드맵으로서 활용하고자 한다.

  • PDF

Framework for making standardization roadmap and strategy (정보통신 표준화 로드맵 및 전략 수립 체계)

  • Min, Jae-Hong;Cho, Pyung-Dong;Hahm, Ji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2.05a
    • /
    • pp.737-740
    • /
    • 2012
  • With the advent of smart age, the competitiveness among companies and countries to preoccupy the advanced ICT technologies which lead the economic growth in the future have increased more than ever before. So have global standard competitiveness done under the situation of using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as practical strategy for dominating market. It is essential to make standardization strategy and do systematic implementation for core technology which leads global market in order to fit such an environment and introduce smart society as soon as possible.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systematic approach and framework to make standardization roadmap in relation to R&D through analysing the current technology roadmap framework and standardization roadmap case and provides infrastructure to promote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f domestic technology.

  • PDF

CRM 구축 방법론

  • Jeon, Yong-Jun
    • Digital Contents
    • /
    • no.3 s.70
    • /
    • pp.44-46
    • /
    • 1999
  • 현대적인 의미에서의 CRM은 정보시스템의 구축 및 활용과 유기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정보시스템 기술이 없이는 CRM이 성립될 수 없고 CRM을 전개해가는 과정은 정보시스템 구축과 전략의 수립 및 집행을 결합한 과정으로 파악해야 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CRM 방법론에서의 절차는 전략 계획의 수립, 전략의 실행, 전략 실행결과의 평가라는 전략계획 실행 과정상에 정보시스템의 계획, 분석, 설계, 구축, 운영이라는 정보시스템 기발 과정이 결합된 형태가 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