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술확산

Search Result 4,069,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국가 전력기술 확산체제 구축방안 연구

  • 김은선;구영덕;조현춘
    • Proceeding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 /
    • 2004.06a
    • /
    • pp.68-87
    • /
    • 2004
  • 본 연구는 국가기술혁신시스템의 틀 안에서 기술이전$\cdot$확산의 필요성과 역할을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21세기 국내 전력산업이 경쟁력을 갖춘 산업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기술이전$\cdot$확산시스템 구축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나아가 전력기술 확산체제 구축이 국가기술혁신시스템과 독립적으로 인식되는 것을 제고하고, 연구 과정 중에 전력기술 확산체제가 국가기술혁신시스템 내에서 자연스럽게 이해될 수 있도록 이론적 틀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술이전$\cdot$확산 체제의 개념과 정책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전력기술이전$\cdot$확산체제 구축의 필요성과 추진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후 전력기술이전$\cdot$확산 시스템의 구축에 있어 예상되는 설계사항을 분석하고, 이에 부합하는 전력기술이전$\cdot$확산시스템의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전력부문의 정책 및 전략의 추진체계 수립을 통하여, 국가기술혁신시스템 내에서 전력기술이 확산되도록 하기 위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Diffusion Path Tracking based on Multi-Dimensional Time, Performance and Price of Multiple Generation Technology: Case of Logic Semiconductor Diffusion (시간, 성능 및 가격의 다차원 기반 다세대 기술의 확산경로(Diffusion Path) 추적에 대한 연구 : 로직 반도체의 기술 확산 사례)

  • Park, Changhy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9
    • /
    • pp.108-115
    • /
    • 2018
  • Time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factor to understand the diffusion behavior of single generation technology. However, multiple generation technology required additional factors in addition to time to understand the diffusion behavior. This study defined the diffusion path of multiple generation technology based on dimensions of 'time, price, and performance' after extracting price and technical performance factors and traced the diffusion path of semiconductor industry based on defined dimensions. The case study of semiconductor industry indicated that the diffusion path is determined maximizing the integrated area of price and performance. This study has theoretical implications in that it analyzed the diffusion behavior of multiple generation technology based on multiple dimensions and can forecast the diffusion behavior at matured as well as early stage technology. Also, this study has practical implications for R&D and marketing managers to understand time-to-market, exit time, and economical as well as technical requirements.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prospect users' intentions to adopt TSI technologies (실감공간기술 잠재적 사용자들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

  • Kim, Min-Gyu;Kim, Joo-Ha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685-69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로저스의 개혁확산이론(Rogers, 2003)과 데이비스의 기술수용모형(Davis, 1989)을 바탕으로 실감공간기술에 대한 잠재적 사용자의 태도를 분석하였다. 개혁확산이론과 기술수용모형을 바탕으로 한 선행 연구들을 통해 새로운 미디어의 채택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고찰할 수 있었다. 개혁확신이론을 통해서는 개인의 심리적 수준은 물론 인구통계학적 수준, 사회적 수준 등 다양한 요인과 그 하부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기술수용모형을 통해서는 개혁확산이론을 통해 도출된 다양한 변인들이 실감공간기술에 적용될 수 있다는 가설을 설계할 수 있었다. 개혁확산 이론과 기술수용모형을 통해 이미 설명된 기존의 뉴미디어들과 달리 실감공간기술이 개발 진행 중이라는 점과 그 다양한 발전 가능성이라는 특징을 고려했을 때, 실감공간기술의 확산을 어떻게 예측하고 설명할 수 있는지 고찰하는 것 또한 본 연구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감공간기술에 대한 잠재적 사용자들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영향력을 살펴봄으로써 실감공간기술의 다양한 활용 방안에 대하여 모색하였다.

  • PDF

A study on technology diffusion trend considering technological performance enhancement and economics : case of technology evolution of 32nm, 22nm, 14nm logic semiconductors (기술적 성능향상 및 경제성을 고려한 기술 확산(Technology Diffusion) 추세에 대한 연구 : 32nm, 22nm, 14nm 로직 반도체의 기술진화 사례)

  • Park, Changhy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2
    • /
    • pp.177-184
    • /
    • 2017
  • Understanding trends and drivers of technology diffusion is imperative to forecast new technology adoption and understand the proces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Our research utilizes a quantitative trend analysis considering both technological and economic indicators for trends and drivers of technology diffusion for 32nm, 22nm, and 14nm logic semiconductor technology. In terms of technological performance, the technology diffusion curve showed an S-curve pattern during the stages of maturity and decline, and the diffusion curve showed evidence supporting the learning curve. The diffusion curve showed the life cycle duration of 2 years, and the rate of technological performance and obsolescence are observed quantitatively between generations. Architectural innovation is affected by technological drivers more significantly than economic drivers. This research has implications as empirical research on the trends and drivers of technology diffusion in the high-tech semiconductor industry, and is meaningful in forecasting new technology adoption or build technology strategy.

Development of Diffusive Wave Rainfall-Runoff Model Based on CUDA FORTRAN (CUDA FORTEAN기반 확산파 강우유출모형 개발)

  • Kim, Boram;Kim, Hyeong-Jun;Yoon, Kwang 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87-287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CUDA(Compute Unified Device Architecture) 포트란을 이용하여 확산파 강우 유출모형을 개발하였다. CUDA 포트란은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 Processing Unit: GPU)에서 수행하는 병렬 연산 알고리즘을 포트란 언어를 사용하여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GPU상의 범용계산(General-Purpose Computing on Graphics Processing Units: GPGPU) 기술이다. GPU는 그래픽 처리 작업에 특화된 다수의 산술 논리 장치(Arithmetic Logic Unit: ALU)로 구성되어 있어서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보다 한 번에 더 많은 연산 수행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CUDA 포트란기반 확산파모형은 분포형 강우유출모형의 수치모의 연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분포형모형의 지배방정식은 확산파모형과 Green-Ampt모형으로 구성되었고, 확산파모형은 유한체적법을 이용하여 이산화 하였다. CUDA 포트란기반 확산파모형의 정확성은 기존 연구된 수리실험 결과 및 CPU기반 강우유출모형과 비교하였으며, 연산소요시간에 대한 효율성은 CPU기반 확산파모형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CUDA 포트란기반 확산파모형의 결과는 수리실험 결과 및 CPU기반 강우유출모형의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또한, 연산소요시간은 CPU 기반 확산파모형의 연산소요시간보다 단축되었으며, 본 연구에 사용된 장비를 기준으로 최대 100배 정도 단축되었다.

  • PDF

Exploring the leading indicator and time series analysis on the diffusion of big data in Korea (빅데이터 확산에 대한 선행 데이터 탐색 및 국내 확산 과정의 시계열 분석)

  • Choi, Jin;Kim, YoungJun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26 no.4
    • /
    • pp.57-97
    • /
    • 2018
  • Big Data has spread rapidly in various industries since 2010. We analyz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big data through time series analysis on the initial process of spreading big data and investigated the difference of diffusion characteristics in each industry. By analyzing papers, patents, news data, and Google Trend using Big Data as a keyword, we searched for data corresponding to the leading indicator, and confirmed that trends in news and Google Trend preceded the papers and patents by two years. We used Google Trend to compare the introduction period of domestic, US, Japan, and China and quantify the process of spreading the eight main industries in Korea through news data. Through this study, we present an empirical research method on how the general technology spreads in several industry sectors and we have figured out where the spreading speed difference of big data originated in each industry in Korea. The method presented here can be used to analyze the technology introduced from foreign countries in developing countries because it can be analyzed in diffusion process of other technologies besides big data and corresponds to the diffusion of technology keywords in a specific country. And, on the corporate side, this approach shows what path is effective when it comes to launching and spreading new technologies.

Impacts of IT Innovation Factors of the Hotel upon E-commerce Diffusion, Management Performance (호텔정보기술 혁신요소가 전자상거래 확산,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Jang, Hyun-Jong;Jeong, Ung-Young;Shin, Chul-Ho;Choi, Bok-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10
    • /
    • pp.389-397
    • /
    • 2010
  • This study is to find out influences of IT innovations factors on e-commerce diffusion, management performance. To research and analyze, from August 15th to September 15th in 2009, the questionary distributed 150 working employees at Purchasing Team & Finance Team in five star hotel in Seoul Metropolitan Area, then used for data analysis 135. The results come up with; Firstly, the factors of Information Techonology impacted on e-commerce diffusion & management performance. Secondly, e-commerce diffusion within company only had effect on management performance.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f IT innovation factors were improved, hotels would have competitive achievement.

A study on the adoption-diffusion and use-diffusion of the digital convergence product : Focusing on the camera phone (디지털융합제품의 수용-확산 및 사용-확산에 관한 연구 : 카메라폰을 대상으로)

  • Yoo, Sang-Jin;Shon, Jung-Im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4 no.4
    • /
    • pp.101-115
    • /
    • 2009
  • This study analyzed the diffusion process of digital convergence products focused on camera phon to compare the traditional adoption-diffusion model with use-diffusion model proposed by Shih and Venkatesh(2004). The results suggested that observability, perceived usefulness, innovativeness, relative advantage have effects on the intention of repurchase in the adoption-diffusion model. On the other hand, the intention of repurchase has been affected by technological sophistication, satisfaction, innovativeness, relative advantage in the use-diffusion model.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traditional adoption-diffusion model could be applied to the cases of the digital convergence products. In addition,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use-diffusion model is superior to the traditional model in analyzing the diffusion of digital convergence products.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술확산의 필요성 - 원자력 연구개발 활동을 중심으로 -

  • 정환삼;김현준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7.10a
    • /
    • pp.24-31
    • /
    • 1997
  • 최근 우리나라가 직면하고 있는 국가 경쟁력 상실이 기술개발의 부족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그간 대기업의 소품종 대량생산을 위주로 하는 산업체제를 기술중심의 고부가가치를 갖는 다품종소량생산 체제로 전환하는 구조조정을 유도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원자력 연구개발은 표준경수로 설계기술의 자립이라는 1단계 기술개발 목표를 달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다 높은 수준의 기술을 달성하기 위해 2010년을 계획기간으로 하는 원자력진흥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술개발 활동을 통해 습득된 원자력기술을 내부적으로는 개발된 기술의 유용성을 증대하고, 외부적으로는 국가 경쟁력 강화 노력에 따라 발생하는 기술수요 노력을 능동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원자력 기술확산의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원자력기술과 다른 기술 분야와의 기술연관성을 조사하여 원자력기술의 확산가능성을 분석하고, 기술이 응용되고 있는 구체적인 사례를 조사하였다. 또한 기술파급이 실제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에 이루어지는 기술확산의 경로와 유형들의 체제를 분석하였다.

  • PDF

Intraorganizational diffusion and innovation resistance of high technology products (기술 제품의 조직내 확산과 혁신저항)

  • Dae-Ryun Chang;Seong-Do Cho
    • Asia Marketing Journal
    • /
    • v.1 no.2
    • /
    • pp.100-115
    • /
    • 1999
  • 본 연구는 기업이 기술제품을 도입한 후에 내부에 확산시키려고 하는 실행단계에서 직면하는 혁신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혁신저항을 줄이고 확산을 증진시키는 확산촉진활동을 설명하여 2B 마케팅 상황에서 기술제품의 조직내 혁신저항-확산모델을 도출하였다. 기업에서 기술제품을 조직내에 확산시킬 때는 구성원들의 혁신저항을 접하게 된다. 소비자 행동에서는 혁신저항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 개인변수와 제품변수를 제시하고 있지만 2B 마케팅에서는 조직구조변수와 구매센터변수가 추가적으로 영향을 주게 된다. 중앙집권화, 공식화정도가 높은 기업에서는 구성원들이 혁신저항을 가지면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판매기업과 구매기업의 관계가 단기적인 관계로만 그칠 수 있다. 또한 구매센터 참여정도가 적고 구매센터가 집중화되어 있으면 혁신저항이 커지고 단기적인 관계만 형성될 가능성이 커진다. 그리고 제품의 지각된 위험, 적합성에 따라 혁신저항의 정도가 달라질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 개인의 지각된 자기능력, 현 제품의 만족도 등이 의미있는 조절 변수 역할을 할 것이다. 그러므로 장기적인 관계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혁신저항을 줄이는 교육훈련, 제품개선, 부서간 조정, 개인적 동기 부여와 같은 확산촉진활동이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판매기업과 경영자들은 기술제품에 대한 혁신저항을 극복하고 제품을 확산시킬 수 있는 학문적, 관리적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