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본간호학실습

Search Result 112,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Study on Convergent Empathy of Nursing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Fundamental Nursing Skills Course (기본간호학 실습교육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융복합적 공감역량에 관한 연구)

  • Baek, Kyoung-Hwa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9
    • /
    • pp.211-219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interpersonal understanding on empathy of nursing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fundamental nursing skills cours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2 second-year nursing students in a university.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18.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using the SPSS 22.0 program. Factors affecting empathy were active participation in the practice, communication skills, and understanding of interpersonal.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empathy of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step-by-step empathy education program into the curriculum that can contribute to establishing a device that can induce active participation in practice and contribute to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analysis on the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Basic Nursing Skills (간호학생의 기본간호수행능력 영향요인 분석)

  • Song, Mi-Ryeong;Kim, Eun-Man;Yu, Su-Je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2 no.6
    • /
    • pp.390-401
    • /
    • 2012
  • As medical practices and procedures become more specialized and information technology develops in clinical settings, health organizations need medical personnel with special skills, knowledge and competency. But the lack of practical experience in clinical settings may impair competency in basic nursing skills among nursing students. This study used a cross-sectional survey to analyze factors related to nursing competency among nursing students in order to establish effective teaching methods to increase the clinical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 questionnaire distributed in several universities among 106 nursing students who expressed a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study during December 2011 in order to measure self-directedness, professional self-concepts, communication ability, learning satisfact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dow program. There were differences regarding competency in basic nursing skills according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s, grades, existence of an open lab. The level of learning satisfaction,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directedness were deemed influencing factors regarding competency in basic nursing skills. These 3 elements account for 49.9% of competency with regard to basic nursing skills. According to existing research, blended learning methods which consist of problem based learning, cyber education or case centered education should be considered as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developing clinical nursing skills.

Preparation of Students for Future Challenge (미래의 요구에 부응하는 미래를 위한 간호교육)

  • Kim Euisook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50-59
    • /
    • 1981
  • 간호학생들이 당연하고 있는 문제점 미래의 간호학생들이 교육문제를 논하기 위하여는 간호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또 이해하는 것이 우선순위가 될 것이다. 간호학생들이 문제점에 대한 연구는 한국에서 뿐아니라 미국에서도 꽤 많이 시행되어져 왔으며 특히 간호학과정에서 중간 탈락되는 중퇴자들에 대한 연구들 중에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서 언급한 것이 많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곧 대학과정에 진학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 보고될 Munro의 자료에 의하면 전문대학과정에서 27$\%$, 대학과정에서는 41$\%$의 간호학생들이 간호학과정에서 중간 탈락하고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이들이 중간탈락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으나 그 중 ''간호학에 흥미를 잃어서''가 가장 큰 이유로 보고되고 있다. 이곳 한국사회에서도 역시 비슷한 현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대학입시경쟁과 대학내에서의 전과가 거의 허용되지 않는 특수여건이기 때문에 학교를 중간 탈락하는 율은 미국이 보고만큼 높지는 않으나 역시 ''간호학에 흥미를 잃는다''는 것이 간호학생들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 한국에서 시행된 간호학생들에 관한 연구(표 1 참조)에 의하면 간호학생들의 학문에 대한 만족도는 조사자의 35$\~$50$\%$정도에 불과하였고 더우기 이 비율은 고학년에 올라갈수록 더욱 감소되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한국에서 시행된 어느 연구보고에 의하면 간호학에 실망했다고 생각하는 학생이 전체의 67$\%$였으며, 다른 학교로 전과를 희망한 경험이 있다는 학생이 71$\%$나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왜 흥미를 잃게 되는지 그 이유에 대하여 설명해 주는 연구는 많지 않았다. 미국의 한 저자는 간호학생들이 간호학에 흥미를 잃게 되는 원인을 간호원의 역할에 대한 이해가 정확하지 못한 것과 졸업 후 진로기회에 대한 인식부족 때문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간호학에 흥미를 잃게 되는 이유는 크게 다음의 세 가지로 분류 요약될 수 있다. 첫째, 간호학을 전공으로 택한 동기이다. 간호학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학생들이 간호학을 전공으로 택한 동기도 다른 전공분야보다는 훨씬 다른 여러 종류를 보이고 있다. 즉, 종교적 이유, 다른 사람들에게 봉사할 수 있는 직업이기 때문에, 쉽게 취업을 할 수 있어서, 결혼 후에도 직업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외국으로 쉽게 취업할 수 있어서 등이 간호학을 선택한 이유로 보고되고 있다. 흥미나 적성에 맞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간호학을 택한 학생의 수는 다른 과에 비하여 훨씬 적다. 이러한 흥미나 적성 때문이 아닌 여러 가지 다른 이유들로 인하여 간호학을 택한 경우에 특히 간호학에 쉽게 흥미를 잃어버리는 것을 볼 수 있다. 간호학에 현실적인 개념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일수록 추상적이고 현실적인 개념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보다 더 간호학에 지속적인 흥미를 가지며 중간에 탈락하는 율이 훨씬 적다는 것이 많은 연구에서 보고되었다. 또한 흥미나 적성 때문에 간호학을 택하였다는 학생들이 다른 과로 전과를 희망하는 율이 낮다는 것도 보고되었다. 둘째, 교과내용자체나 실습에 대한 불만족이다. 간호학에 대한 체계적인 교과내용의 결여, 과중한 과제물, 임상실습에서의 욕구불만, 실습으로 인한 부담, 지식과 실습의 차이점에 대한 갈등 등이 주요 이유로 보고되고 있다. 대부분의 연구들이 이 교과목이나 실습에 대한 불만족, 특히 실습경험에서의 갈등을 학생들이 흥미를 잃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어느 한 연구에서는 응답자의 90$\%$가 임상실습에 만족하지 못한다고 응답하였으며 그들 중의 88$\%$가 실습감독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보고하였다. 셋째, 교수들에 대한 불만족이다. 대부분의 연구들이 학년이 올라가면 갈수록 교수에 대한 신뢰도가 낮아지며 또한 그에 비례하여 간호학에 대한 만족도가 낮아진다고 보고하고 있다. 교육내용에 대한 전문지식의 결여, 학생들과의 인간적인 관계의 결여, 교수법에 대한 불만족 등이 교수에 대한 불만의 주요내용으로 보고되었다. 미래의 간호에 부응할 학생교육 계속적인 사회적 변동과 더불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일반인들의 건강에 대한 요구도와 앞에서 기술한 문제점 등을 감안할 때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간호학에 확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준비시키므로써 간호환경에서 실망하기보다는 오히려 그것을 받아들여 변화하는 사회요구에 책임감을 느낄 수 있도록 교육시키는 것이 미래의 간호학생을 준비시키는데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교육을 위하여 다음의 두가지 안을 제시한다. 1. 교수와 학생간의 관계-서로의 좋은 동반자 : 교수들이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특히 학생들의 성취도에 대한 영향에 대하여는 이미 많은 연구가 시행되었다. Tetreault(1976)가 간호학생들의 전문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연구한 바에 의하면 다른 어느 것보다도 교수의 전문의식여부가 학생들의 전문의식 조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교수에게 신뢰감을 가지고 있을때, 교수들이 전문가로서의 행동을 하는 것을 보았을때 비로서 배움이 증가된다고 하였다. Banduras는 엄격하고 무서운 교수보다는 따뜻하고 인간적인 교수에게 학생들이 더 Role Model로서 모방하려는 경향을 나타낸다고 보고 하였다. 그러면 어떻게 학생에게 신뢰받는 교수가 될 수 있겠는가? apos;학생들의 요구에 부응할 때apos;라고 한마디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Lussier(1972)가 언급한 것처럼 학생들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는 교육은 Piaget이 언급한 교육의 기본 목표, 즉 개인에게 선배들이 한 것을 그대로 반복하여 시행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것을 시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게 하는 목표에는 도달할 수 없으며 이러한 목표는 간호학에도 가장 기본이 되어야 할 기본목표이기 때문이다. 학생들이 현재 어떤 요구를 가지고 있으며 또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계속 파악하고 있는 것이 학생요구에 부응하는 교육을 할 수 있는 기본조건이 될 것이다. 의외로 많은 교수들이 학생들을 이해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표 2는 현 간호학생들이 생각하고 있는 가치관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또 교수가 그 가치관과 문제점을 어느 정도 파악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일개 4년제 대학 200여명의 학생과 그 대학에 근무하는 18명의 교수진을 대상으로 질문한 결과를 간략하게 보고한 것이다. 또한 여기에서 학생이 보고하는 가치관, 문제점, 교수에게 바라는 점이 교수가 이해하고 있는 것과 차이가 있다는 것도 보여주고 있다. 우리가 학생들의 요구를 파악할 수 있도록 귀를 기울이고 이해하며, 그 요구에 부응하려고 노력할때 진정한 교수와 학생간의 관계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며 이때 비로서 우리는 apos;partnershipapos;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이때 간호학에 대한 실망은 줄어들 수 있을 것이며 우리도 학생들에게 전문가적인 태도를 함양시켜줄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될때 앞으로 기다리고 있는 미지의 의무에 효과적으로 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자질을 형성한 학생들을 준비해 낼 수 있을 것이다. 2. 간호모델에 의한 교과과정의 확립과 임상실습에의 적용 : 교과과정이 학생들의 모양을 만들어주는 하나의 기본틀이라고 말할 수 있다면 미래의 요구에 부응하는 학생들을 준비시키기 위하여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방향의 교과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은 재론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이미 진취적인 간호대학에서는 guided design systems approach 또는 integrated curriculum 등의 새로운 교과과정을 시도하고 있음은 알려진 사실이다. 물론 간호모델에 준한 교과과정을 발전시키는데 대한 장점과 이에 수반되는 여러가지 새로운 문제점에 대하여 많은 논란이 있으나 모든 교과과정이 처음 시도될 때부터 완전한 것이 있을 수 없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숙되는 것임을 감안해 볼 때 이러한 새로운 교과과정에의 시도는 미래의 새로운 간호방향에 필수적인 사업이라고 하겠다. 이러한 교과과정을 개발하는데 몇가지 게안점을 첨부하려 한다. (1) 새로운 교과과정의 개발은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교수진의 협력과 참여로 이루어져야 한다. (2) 비록 처음에는 어렵고 혼란이 있더라도 교과과정은 의학모델이 아닌 간호모델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3) 간호모델에서 다루어지는 개념들은 모두 직접 간호업무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선택되어야 한다. (4) 교과과정의 결과로 배출되는 학생들의 준비정도는 그 지역사회에 적합하여야 한다. (5) 그 지역사회의 고유한 문화적 요소가 포함되어야 한다. 아직 우리는 간호분야 내부의 갈등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시기에 있다. 우리 내부의 문제점을 잘 해결할 수 있을때 외부와의 갈등에 잘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내부의 갈등을 잘 해결하기 위한 힘을 모으기 위하여는 동반자, 즉 교수와 학생, 간호교육자와 임상간호원 등이 서로 진정한 의미의 동반자 될때 가장 중요한 해결의 실마리가 될 것이다.

  • PDF

An Ethnography on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Class (기본간호학실습 수업의 문화기술지 연구)

  • An, Hyo-Ja;Park, Hyun-Ju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 /
    • v.25 no.1
    • /
    • pp.33-45
    • /
    • 2018
  • Purpos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and describe cultural meaning for nursing students in the class in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2016 to May 2017 included focus group interviews and participants observation. The key informants in this study included 23 nursing students divided into 3 focus groups who had taken the course in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in university U and university S in Kyungpook, and university D in Jeonnam. Interviews continued until no new information could be identified from transcripts.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taxonomic analysis method developed by Spradley. Results: Based on the data acquired from the interviews, cultural domains in the class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were classified as 'community oriented activities', 'learning and playing space', 'relationship of difference and discrimination', 'time for present and future'. Conclusion: The culture in the class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could be summarized as 'non-standardized learning with team dynamics'. Also nursing students learned about a small society whose members are becoming nurses. Results indicate that it is critical for professors to understand students' values, beliefs and their attitude in order to aid in adjustment to class.

The Effects of Practice Education Evaluation using Peer Evaluation on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Competency, Learning Attitude, Critical thinking and Self-Leadership (동료평가를 활용한 실습교육평가방법이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 학습태도, 비판적사고 및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효과)

  • Kim, Yeong-Hee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0 no.9
    • /
    • pp.351-361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peer evaluation method on the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competency, learning attitude, critical thinking and self-leadership of graduating nursing students. A survey using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326 nursing student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AS(ver. 9.8) and AMOS(ver.20.0) The results of peer evaluation showed that the fundamental nursing skills competency was 3.77(${\pm}.62$), the learning attitude was 3.17(${\pm}.47$), critical thinking was 3.44(${\pm}.41$) and self-leadership was 3.60(${\pm}.49$).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competency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s based on gender, major satisfaction, practice satisfaction, pre-learning and satisfaction with the peer evaluation.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competenc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learning attitude(r=.295, p<.001), critical thinking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competency(r=.384, p<.001) and learning attitude(r=.623, p<.001), and finally, self-leadership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competency(r=.353, p<.001), learning attitude(r=.529, p<.001) and critical thinking(r=.690, p<.001). The factors affecting fundamental nursing skills competency were critical thinking and self-leadership. Core fundamental practical education programs to improve learning attitude, critical thinking and self-leadership need to be developed to increase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Development of Standard of Educational Equipment for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in BSN Programs (4년제 간호교육기관의 기본간호학 실습 기자재 표준안 개발)

  • Kim Jong-Im;Lim Nan-Young;Kim Keum-Sun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 /
    • v.10 no.3
    • /
    • pp.415-426
    • /
    • 2003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standards for educational equipment in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courses in BSN programs. Method: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0 professors who taught fundamental nursing in colleges or departments of nursing. The data were gathered between December 2002 and May 2003 using a questionnaire on the present state of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and the educational equipment list for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Result: There was variety in the content of the courses of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in BSN programs, and the environment for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was in diverse setting. A standard for educational equipment was developed consisting of 93 pieces of equipment for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Conclusion: The standard for educational equipment for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in BSN programs provides the basics for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Of these 72 were selected and the authors suggests establishing an educational committee of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and holding a workshop on educational equipment for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in BSN programs every 5 years.

  • PDF

Comparisons of Nursing Skill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Problem Solving Competency, and Satisfaction by Learner-led vs. Faculty-led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학습자 주도와 교수자 주도 기본간호학실습에 따른 술기수행능력과 자기주도 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 실습만족도 비교)

  • Kim, Young-Ju;Song, Hyo-Bin;Na, Yoon-Hee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1 no.8
    • /
    • pp.391-400
    • /
    • 2020
  • This study was done to compare the effects of learner-led and faculty-led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on skill performance, self-directed learning, problem-solving competency, and satisfaction. The learner-led practice was consisted of pre-class open lab and peer supervision. The faculty-led practice was consisted of faculty supervision for a student individually without pre-class open lab. The study was a pre-posttest, non-synchronized, quasi-experimental design between two groups. Data from 134 nursing students in either faculty-led (n=54) or learner-led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group (n=80) was collected using a checklist and self-reported questionnaire. Nursing skill performance score and class satisfaction of the learner-led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faculty-led group. This study showed that learner-led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consisting of pre-class open lab and peer supervision was an efficient practice method to improve students' skill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maintaining thei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problem-solving competency.

Changes in Nursing Values and Nursing Professional Attitudes after Practical Education Based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Education (일 대학 간호학생의 기본간호학 실습교육 인식에 따른 실습교육 전 후 간호가치관과 간호전문직 태도에 관한 연구)

  • Kim, Yeong-Hee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 /
    • v.14 no.4
    • /
    • pp.420-428
    • /
    • 2007
  •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nursing values and attitudes toward nursing professions after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education.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166 first-year students. Values and professional attitude were measured. Results: Nursing values increased to 4.49(${\pm}.42$) after 1st semester and 4.64(${\pm}.35$) after 2nd semester from 4.32(${\pm}.47$) before the education(t=7.71, p= .000). Nursing professional attitude also increased to 3.95(${\pm}.49$) after 1st semester and 4.20(${\pm}.45$) after 2nd semester(t=9.1, p= .000). While voluntary applicants hav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nursing values since they started college education(t=3.34, p=.001), partially voluntarily applicants showed after finishing the 1st semester(t=-3.02, p=.002). Regarding nursing professional attitude of voluntary applican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tarting college education(t=2.35, p=.020) and finishing the 1st semester(t=-2.66, p= .008). Interest in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atisfaction(r=.301, p=.000) and nursing values(r=.163, p=.035). Nursing values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nursing professional attitude(r=.590, p=.000). Conclusion: The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is effective in changing nursing values and nursing professional attitude in students taking the course.

  • PDF

Relationship of Learning Motivat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Problem Solving Process of Nursing Students after Practice Evaluation of Fundamentals of Nursing Course using Role Play (역할극 활용 기본간호학 실습 교육평가방법에 대한 간호학생의 학습동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문제해결과정과의 관계)

  • Kim, Young-Hee;Lee, Young-Mee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3 no.1
    • /
    • pp.147-155
    • /
    • 2012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 learning motivat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problem solving process of fundamentals of nursing course using role play in evaluating the course. The subjects were 289 nursing students in year 1 in J college taking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course from Nov. 22 to Dec. 10. 2010. After setting hospital context and preparing scenario with patient and nurse roles, the evaluation of fundamentals of nursing practice was performed. For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y application motivation, a group intending further study and a group positive in role play evaluation. For problem solving proces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le group and a group positive in role play evaluation. Learning motivation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problem solving process. This evaluation had correlation between learning motivat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problem solving process.

Confidence and Major Satisfaction in Performing Core Basic Nursing Skills of Nursing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수행 자신감과 전공 만족도)

  • Kwon Yu jin;Jang Jae yeon;Gu Do gyeong;Lee Sang eun;Lee Hyun ji;Lim Eun jeong;Cha Nam Hyun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9 no.6
    • /
    • pp.647-655
    • /
    • 2023
  •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conducte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students' confidence in performing core basic nursing skills and major satisfaction. The study participants and data collection were selected from March 26 to April 9, 2023, for 63 nursing students, and t-test,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7.0 version for statistical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nursing students were mainly observed(56.85%), rather than performing core basic nursing skills(38.03%), and 50% of the core basic nursing items were higher than the average score of confidence in performing core basic nursing. The participants who responded that they were satisfied with nursing showed high confidence and major satisfaction in performing core basic nursing, and the two variables showed a high positive correlation (r=0.55, p<0.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