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능성식품

Search Result 3,593,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1999년도 건강기능성 식품첨가물의 활용 전망

  • Lee, Bu-Yong
    • Bulletin of Food Technology
    • /
    • v.12 no.2
    • /
    • pp.39-44
    • /
    • 1999
  • 영국의 Leatherhead에서 매년 열리는 세계 신제품 박람회(International New Products Forum)는 세계적으로 신제품들의 경향을 파악할 수 있는 아주 좋은 전시회다. 여기서는 건강기능성 식품첨가물(healthy ingredients)들을 중심으로 살펴 보고자 한다.

  • PDF

효모가수분해물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 정은영;정경희;김미자;김영옥;장은재
    •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 /
    • 2004.05a
    • /
    • pp.438-438
    • /
    • 2004
  • 최근 들어,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일상생활에서 식품을 통해 단순하게 영양섭취나 기호성을 만족하기보다는 식품섭취를 통해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성 식품을 선호하게 되었다. 현재까지의 우리나라의 기능성 식품시장은 영세할 뿐 아니라 개발된 기능성 식품의 과학적인 연구들도 또한 미비한 실정이다. Saccharomyces cerevisiea 가수 분해물은 여러 가지 영양성분이 풍부하여 자율신경 조절기능 향상으로 인한 항스트레스와 항피로 및 면역기능 강화 효과가 있으며 불안증 환자와 월경전증후군을 경험한 여성의 증상을 경감시킨다고 알려져 있다.(중략)

  • PDF

식물 엑기스 발효식품의 현황과 전망:조류 및 균류를 이용한 건강식품 개발현황과 전망

  • 윤석권;손헌수
    • The Microorganisms and Industry
    • /
    • v.19 no.3
    • /
    • pp.53-56
    • /
    • 1993
  • 식물 발효식품은 발효대상이 되는 식물의 기능성에 발효미생물의 기능성, 또는 기타 발효산물의 기능성이 가미된 것으로 그 범위는 대단히 넓다. 그러나, 국내에 소개된 것은 복합야채를 착즙하여 mixed culture한 제품, 알로에즙을 이용한 발효제품, 각종 과육 및 야채의 혼합발효제품 등 10여가지 품목이 유통될 뿐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식물발효식품의 역사, 식물엑기스 발효식품의 영양학적 중요성, 각종 식물엑기스의 유용성분 및 앞으로의 가능성을 예측해 보고자 한다.

  • PDF

Consumer Characteristics Related with Choice of Eco-Friendly Functional Food (생태 친화적 기능성식품 선택과 관련된 소비자 특성 분석)

  • Park, Myeong-Eun;Nam, Jung-Mi;You, So-Ye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0 no.8
    • /
    • pp.456-471
    • /
    • 2019
  • Consumers' growing interest in the environment has recently led them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ir dietary life and sustainable consumption. Thus, there is an increasing necessity to identify consumers' respons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umption of functional food and their interest in helping environmen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analyze consumers' behaviors as related to Spirulina, an eco-friendly functional food brand, by subdividing markets according to consumers' food lifestyle. The results showed that consumers were categorized into 3 types (high involvement in diet, pursuit of safety in diet, and pursuit of convenience in diet),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sumption behaviors of the functional food according to the 3 types. Their positive attitude towards functional food and interest in the environment led to changes of their actual purchasing behavior by increased purchase of Spirulina. Also, consumers who displayed high environmental involvement showed a more favorable attitude towards functional food. Therefore, to expand the market of eco-friendly functional food, it is necessary to subdivide the market and target the consumers who are highly involved with protecting the environment, and to execute marketing strategies for eco-friendly products, in order to increase the consumers' awareness about eco-friendly functional food.

하버드 Joslin Diabetes Center 방문연구

  • Kim, Myeong-Seon
    • Bulletin of Food Technology
    • /
    • v.19 no.1
    • /
    • pp.104-109
    • /
    • 2006
  • 본문은 미국 하버드 의대 부속 Joslin Diabetes Center의 분자생리학 실험실을 방문하여 발효대사체 및 기능성 바이오식품소재의 기능성연구에 필요한 연구기관에 관한 정보와 당뇨연구에 관한 연구내용을 조사한 것입니다.

  • PDF

Strategies for Development of Anti- diabetic Functional Foods (항당뇨 기능성 식품의 개발 전략)

  • Park, Sun-Min
    • Food Science and Industry
    • /
    • v.40 no.2
    • /
    • pp.46-58
    • /
    • 2007
  • 제2형 당뇨병은 대사성 질환으로 간, 근육 그리고 지방 조직 세포에서 인슐린 작용의 장애로 나타나는 인슐린 저항성으로 혈당의 이용이 감소하여 혈당이 높아짐에도 불구하고 췌장의 베타세포에서 인슐린 분비가 충분하지 못할 때 유발된다. 서구에서는 비만 등으로 인해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하면 인슐린 분비가 높은 고인슐린혈증을 나타내어 당뇨병으로의 진전은 늦다. 하지만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의 사람들은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할 때 인슐린 분비가 충분치 못해 혈청 인슐린 농도가 정상인과 비슷하거나 더 낮은 상태에서 당뇨병으로 진전된다. 이러한 차이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 사람들에게서 제2형 당뇨병의 발생이 급격하게 증가할 것이라는 보고되었다. 결국 당뇨병은 간, 근육 및 지방조직에서의 인슐린 작용의 장애와 췌장의 베타세포에서 인슐린 분비의 부족의 복합적인 장애에 의해서 나타나고 이것은 공통적으로 각 조직에서의 인슐린/insulin growth factor (IGF)-1 신호전달의 장애와 관련이 있다. 베타세포에서의 인슐린분비 자체는 인슐린/IGF-1 신호전달과 관계가 없지만 간접적으로 관련이 있다. 인슐린 분비능은 베타세포의 증식과 생존에 의한 베타세포의 양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인슐린/IGF-1 신호전달은 베타세포의 증식과 생존을 조절한다. 그러므로 혈당 조절에 관여하는 기능성 식품은 인슐린 작용을 향상시키는 인슐린 민감성 특성을 가지거나, 혈당이 높아질 때 인슐린 분비를 촉진시키는 insulinotropic 작용을 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야 하겠다. 전자의 대표적인 약은 1999년에 미국 FDA에서 승인 받은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PPAR)-{\gamma}$ agonist 인 thiazolidinedione 계통의 약물인 troglitazone, pioglitazone, rosiglitazone 등이 있고, 후자는 2007년에 승인 받은 Exenatide는 glucagon like peptide (GLP)-1 agonist이다. 이 두 가지 약은 모두 자연계에 존재하는 동식물에서 유래된 것으로 식품에도 많이 다양한 종류의 인슐린 민감성 물질이나 insulinotropic 작용을 하는 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기능 이외에 혈당조절 약이나 식품으로 사용되는 것은 탄수화물의 소화를 방해하는 것으로 탄수화물 소화효소인 a-amylase 또는 maltase의 활성을 억제하여 식후 혈당의 급격한 상승을 방지하는 것이 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탄수화물의 섭취가 너무 많아서 실제로 이러한 식품이나 약의 효능이 높지 않을 것이다. 혈당을 조절하는 기능성 식품은 이 세 가지 효능 중 일부를 가지고 있는 것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스크리닝하기 위해서 3가지 단계를 거쳐야 한다. 먼저 시험관에서 또는 세포 실험을 통해서 앞서 언급한 3가지 기능을 가지고 있는 지 여부를 각각 조사한다. 이중에서 효과가 있는 것은 당뇨 동물 모델을 사용하여 in vivo에서 혈당 강하기능과 혈당 강하기전을 조사하는 실험을 한다. 효과가 있는 식품이 우리가 전통적으로 식품으로 섭취해 왔다면 독성 검사를 거쳐야 할 필요가 없지만 한약재이거나 특수 식품의 경우에는 in vivo 실험 전에 GLP 기관에서 반드시 독성 실험을 거쳐 독성 유무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동물 실험에서 효과적인 것은 인체 실험을 거쳐 혈당 조절 기능성 식품으로 식약청에서 허가를 받을 수 있겠다. 결론적으로 식품에는 항당뇨 특성을 가진 물질들이 함유되어 있는 것들이 상당히 많다. 혈당 조절기능이 있는 기능성 식품으로 개발할 때 고려해야 할 것은 1) 그 양이 혈당 강하 기능성 식품으로 지정받을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함유되어 있느냐, 2) 혈당을 강하시키는 기전이 단순히 당의 배설을 촉진시켜서 혈당을 저하시키는 것이 아니라, 인슐린 작용을 촉진시키거나, 포도당 자극에 의한 인슐린 분비를 촉진시키거나 탄수화물의 소화 흡수를 억제시킴으로 혈당을 강하시키는 지 등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식품은 지속적으로 섭취할 때 당뇨병을 예방하거나 진전을 지연시킬 수 있는 혈당조절기능이 있는 기능성 식품으로 개발 가능성이 있겠다.

Management Plan for the Assessment, Standardization, and Authentication of Functional Animal Products (국내 기능성 축산식품의 기능성 물질(성분) 분석기준 확립 및 인증·표시 등 세부관리기준에 관한 연구)

  • Lee, Jamin;Lee, Jin;Park, Jung-Min;Kim, Jin Man;Kim, Sae Hun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v.32 no.1
    • /
    • pp.55-62
    • /
    • 2014
  •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management system consisting of functional ingredients by establishing guidelines for the analysis of functional animal products in Korea. Further, the guidelines can be used for validity tests of functional animal products. In addition, we can standardize the management system for details, and frame new laws for functional animal products. We researched the current studies on the analysis and assessment of functional foods, and established standard methods of analysis. We devised new analysis and assessment techniques to determine the efficacy and safety of functional ingredients for the legislation and management of functional animal products.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not only the safety and quality of functional animal products but also to enhancing the nation's health and the national image as being health-oriented, through improvements in the productivity and quality of functional animal products.

  • PDF

식품에 직접 첨가되는 식품첨가물들의 기능성 예측법

  • Lee, Bu-Yong
    • Bulletin of Food Technology
    • /
    • v.12 no.4
    • /
    • pp.36-44
    • /
    • 1999
  • 기존의 미국 식품의약국(FD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규정에 따르면 어떤 식품첨가물의 기능과 안정성을 평가하는 방법은 그때 그때 각각의 경우에 맞게 설정하여 실시하게 되어 있다. 이런 평가 방법은 포괄적이기는 하지만 과잉의 기능과 안정성 시험을 실시하는 결과를 초래해 왔다. 여기서는 새로운 식품 첨가물에 대한 안정성 시험 시 그 첨가물이 사용되는 실제 조건 하에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접근 방법에 따라 시험이 되도록 할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체계적인 방법으로 시험하기 위해서는 새로 개발된 식품첨가물들이 사용하게 될 적용 대상 식품의 여러가지조건(pH, 수분, 가공 및 저장 온도)에서 그 첨가물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화학적, 물리적 주요 요인들이 먼저 결정되어야 한다. 그 다음 기능성과 안전성에 관련된 요소들이 하나의 모델 시스템으로 조직화되어 주요요인들의 측정 범위가 정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설정된 모델 시스템은 첨가물이 실제 적용받게 되는 가공,운송, 저장 조건 하에서의 사용 조건을 고려한 상태에서 첨가물을 시험하여 기능과 안정성이 입증되어야 한다. 일단 증명이 되면 그 모델 시스템은 사용 가능성이 있는 적용 범위에까지도 그 첨가물의 기능성과 안정성을 평가할 수 있게 해준다. 이 논문에서는 식품첨가물 시험방법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 방법을 설명하고 아스파탐의 예를 들어서 그 방법을 조명해 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