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급성 백혈병

검색결과 143건 처리시간 0.032초

항암치료 중 RSV에 감염된 백혈병 영아에서의 리바비린 흡입치료 1례 (A Case of Therapy of Aerosolized Ribavirin in a Leukemia Infant with RSV Infection)

  • 권효진;오명진;이재욱;정낙균;조빈;김학기;강진한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9권3호
    • /
    • pp.162-167
    • /
    • 2012
  • RSV는 2세 미만의 소아에서 급성 하기도 감염으로 인한 입원의 주원인이다. 특히 미숙아, 선천성 심폐질환, 면역결핍이 동반된 경우 주요 위험군으로 알려져 있다. 고위험군의 소아에서 중증 RSV 감염의 경우 리바비린 흡입요법이 허가가 되어 있으나 고비용, 안전성 등의 문제로 국내 임상에서의 사용은 매우 제한적인 실정이다. 저자들은 8개월 여환이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으로 관해유도요법 항암치료 중 발생한 RSV 폐렴으로 기흉, 기종격동, 호흡부전이 동반된 중증 감염을 경험하였다. 정맥용 면역글로불린, 경구 리바비린 투여에 반응이 없어 리바비린 흡입 치료를 시행하였고, 이후 임상적 호전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재발한 급성 혼합형 백혈병에 동반된 골수괴사 1례의 MRI 소견 (MRI Finding of a Case of Relapsed Acute Mixed Type Leukemia with Bone Marrow Necrosis)

  • 박주영;박억;박샛별;전동석;이희정;김흥식;강진무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2호
    • /
    • pp.256-260
    • /
    • 2002
  • 골수괴사는 골수를 침범하는 매우 드문 조직 소견으로 저자들은 급성 혼합형 백혈병 환아가 요통, 발열을 주소로 방문하여 세번째 재발하였을 때 골수 천자 도말 검사에서 골수괴사가 동반되고 혈청 LDH와 ferritin이 증가되었으며 자기공명영상에서 골수괴사의 특징적인 소견을 보인 1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Listeria monocytogenes에 의해 HL-60 cell의 세포고사 유도 효과 규명 (Extract of Listeria monocytogenes Induces the Apoptosis on the Human Promyelocytic Leukemia Cells, HL-60 Cells)

  • 양은주;김동현;장정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339-348
    • /
    • 2012
  • 급성 전골수구성 백혈병(acute promyelocytic leukemia, APL)은 치료제가 한정적이고 그 또한 다양한 부작용을 초래한다. 최근 암세포 형성 억제에 세균 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가 증가하는데 이를 이용하여 기존의 약제보다 효과적이면서 부작용이 적은 치료제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L. monocytogenes에서 분비되는 물질(LmSup)과 세균 자체가 함유하고 있는 물질(LmE)을 추출하여 HL-60 세포에 처리한 다음 세포증식 억제 효과를 보고자 하였다. 세포 생존율 및 세포고사를 확인하여 세포를 죽음으로 유도하는 지 파악한 다음 작용기전을 규명하고자 세포주기의 변화 및 ROS 생성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LmSup와 LmE가 급성 전골수구성 백혈병(APL) 세포인 HL-60의 세포고사를 유도하고, sub G0/G1기 증가로 세포주기를 비정상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세포고사를 유도함을 확인하였다. 이때, ROS가 관여함을 관찰하였다. 이를 통해, LmSup 또는 LmE의 구체적인 항암효과 및 기전 분석을 통해 난치병인 APL의 치료 방법 및 치료제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종양괴사인자와 방사선이 세포자멸사에 미치는 영향 (The Apoptosis according to the Processing Irradiation and The Tumor Necrosis Factor)

  • 이재섭;장성주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195-200
    • /
    • 2016
  • 급성전골수구성 백혈병(Acute promyelocytic leukemia, APL)은 혈액암의 일종으로 치료의 성적이 좋지 않을 뿐 아니라 항암요법과 병행 하였을 경우 큰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방사선 치료를 병행함에도 불구하고 정상세포에도 작용하여 부작용을 초래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부작용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감마선을 $TNF-{\alpha}$와 같이 처리하였을 경우 정상세포와 암세포의 세포 죽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HL-60 세포는 APL 세포주로서 사용하였고 DMSO를 처리하여 분화시킨 HL-60 세포는 정상과립구의 성질을 나타내어 정상대조군으로 이용하였다. 그 결과 $TNF-{\alpha}$와 함께 감마선을 처리한 HL-60 세포에서만 세포독성효과를 나타내었고 세포자멸사를 유도하여 세포가 죽음에 이르게 하였다. 결론적으로 $TNF-{\alpha}$는 항암치료의 부작용을 없애기 위해 저농도 감마선 치료 시 함께 사용하여 암 세포의 제거를 증가시켜 암의 치료효율을 높일 수 있는 유효물질로 사료된다.

조혈모세포이식 후 생착 실패나 재발한 소아환자에서 2차 이식의 의의 (Second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in children to overcome graft failure or relapse after initial transplant)

  • 김동연;김도균;김수영;김석주;한동균;백희조;국훈;황태주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12호
    • /
    • pp.1329-1339
    • /
    • 2006
  • 목 적 : 조혈모세포이식은 혈액암뿐만 아니라, 유전 질환, 면역질환에서 완치의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생착 실패나 재발로 인해 조혈모세포이식이 실패하는 경우가 종종 있고, 이때는 장기 생존이 거의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치료방법도 정립되지 않았다. 이에 본 저자들은 1차 이식이 실패한 경우 치료법으로써 2차 이식의 의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1년 5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 소아과에서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한 115례 중에서 생착 실패나 재발로 2차 이식을 시행한 비혈액암 8례(재생불량성빈혈 7례, 부신백질이영양증 1례)와 혈액암 7례(급성골수성백혈병 3례, 급성림프구성백혈병 2례, 만성골수성백혈병 1례, 골수이형성증후군 1례), 총 15례의 의무기록지를 바탕으로 치료 방법, 합병증, 치료성과 등에 대해 분석 하였다. 결 과 : 비혈액암의 경우 2례는 일차성 생착 실패, 5례는 후기 이식편 거부, 1례는 Fanconi 빈혈로 1차 이식 후 급성골수성백혈병으로 전환되어 2차 이식을 시행하였다. 1차 이식 후 이식편기능 부전까지 기간은 중앙값 130.5일(범위, 59-279일)이었고, 1차와 2차 이식 사이의 간격은 중앙값 348일(범위, 86-1,875일)이었다. 전처치는 7례에서 cyclophosphamide를 기본으로 하였고, fludarabine을 3례에서, 방사선 조사를 2례에서 사용하였다. 이식원은 6례에서 조직형 일치 형제간 말초조혈모세포를, 1례에서 조직형 일치 형제간 골수를, 1례에서 제대혈을 사용하였고, 제대혈을 사용한 1례를 제외한 7례는 2차 이식의 공여자가 1차 이식 시와 동일하였다. 급성 이식대숙주병은 1례에서 Grade IV로 발생하였다. 총 8례 중 2례가 사망하였고, 1례는 생착 실패하였으나 생존하여, 5년 Kaplan-Meier(K-M)전체생존율은 75.0%, 무병생존율은 62.5%이었다. 혈액암의 경우 모두 재발로 인해 2차 이식을 시행하였다. 1차 이식 후 재발까지 기간은 중앙값 174일(범위, 90-1,474일)이었고, 1차 이식과 2차 이식 사이의 간격은 중앙값 319일(범위, 178-1,715일)이었다. 전처치는 5례에서 fludarabine, busulfan, antithymocyte globulin 병합요법을, 1례는 busulfan, ara-C, idarubicine 병합요법을, 나머지 1례는 melphalan, busulfan 병합요법을 사용하였다. 이식원은 5례는 1차 이식과 동일한 공여자의 말초조혈모세포였고, 나머지 2례는 제대혈을 사용하였다. grade II 이상의 급성 이식대숙주병은 2례에서 발생하였다. 사망한 5례 중 4례는 재발로, 나머지 1례는 이식관련 합병증으로 사망하였다. 2년 K-M 전체생존율과 무병생존율은 각각 28.6%이었다. 결 론 :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하고 이식편 거부나 재발이 된 경우 2차 이식은 일부 환자에서 장기 생존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비혈액암 질환, 특히 재생불량성빈혈에서 생착 실패를 보이는 경우 2차 이식을 시행하는 것을 추천할 수 있지만, 적절한 전처치와 이식원에 관한 연구가 더 필요하겠고, 혈액암 질환에서 재발한 경우에는 소수에서만 장기 생존이 가능하므로 더욱 효과적인 항백혈병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급성 백혈병 아동의 동종 조혈모세포이식 후 신체적 및 사회적 적응 (Physical Conditions and Social Adaptation of Children Who Have Undergone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 구현영;최선희;박호란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2권4호
    • /
    • pp.441-450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hysical conditions and social adaptation of children who have undergone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descriptive survey were 37 children who had undergone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at least one year ago.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bservation and questionnaires and processed with the SAS program. Results: Compared to the time of diagnosis, WBC, RBC and platelet counts had increased significantly. The children were taller than at the transplantation stage, but there was no change in weight and 73% of the children had physical symptoms. Boys who were between 6 to 11 years of age had lower rates of socialization and academic progress than normal Korean boys. Boys between 12 to 17 years of age had higher rates of socialization, but lower rates of academic progress. Girls between 6 to 17 years of age scored lower than normal Korean girls in both categories. Conclusion: The above findings indicate that children who have undergone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try hard to participate in everyday activities. Therefore nursing interventions to improving normal growth and development and facilitate social adaptation should be provided for them.

  • PDF

심상요법이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급성 백혈병 환자의 스트레스, 불안 및 면역세포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Imagery on Stress, Anxiety, and Immune Cells in Patients with Acute Leukemia Receiving Chemotherapy)

  • 심수경;김남초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115-126
    • /
    • 2007
  • Purpose: The present study is a quasi-experimental research for examining the effects of imagery on stress, anxiety and immune cells in acute leukemia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and utilizing the therapy for their self control and stress management. Methods: The subjects were 60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acute leukemia and scheduled to receive chemotherapy at A hospital in Seoul during the period from November 2006 to March 2007. After the start of chemotherapy,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imagery for 4 weeks, three sessions a week, so a total of 12 sessions and 156 minutes. Results: The decrease of stress was larg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Systolic blood pressure decreased significantly more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In the experimental group, state anxiety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2nd week of the experiment and after the final stage of the experiment. The total number of white blood cells, and the absolute number of neutrophils and lymphocytes were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ime points. Conclusion: Imagery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reducing stress and state anxiety and stabilizing blood pressure in acute leukemia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 PDF

화학요법을 받는 급성백혈병 환자 자가보고형 구강점막염 사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 (Reliability and Validity of Patient Self-reported Daily Questionnaire on Oral Mucositis in Acute Leukemic Patients under Chemotherapy)

  • 최소은;김희승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2권3호
    • /
    • pp.148-156
    • /
    • 2010
  • Purpose: Oral mucositis (OM) is a serious consequence of chemotherapy that cancer patients must undergo.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out reliability and validity of patients self-reported daily questionnaires on OM, and the impact OM makes on daily functions. Method: To test the reliability of oral mucositis daily questionnaire (OMDQ), internal consistency of the instrument (Cronbach's ${\alpha}$ and correlation between items) and test-retest reliability were analyzed. Criterion validity and discriminative validity were evaluated using WHO, oral assessment guide, and Nicolatou assessment tool. Forty-eight acute leukemic patients under chemotherapy were enrolled in this study. Result: Th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indicated sufficient internal consistency. Correlations of Mouth and throat soreness (MTS) and MTSActivity Limitations (MTS-A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MTS and MTS-AL scores on consecutive days were highly correlated (days13,14=.84-.96; test-retest reliability). OMDQ scale had high criterion validity and discriminative validity. Patients with more severe WHO OM grades had higher MTS mean scores. Conclusion: Oral mucositis in acute leukemic patients under going chemotherapy can be easily quantified by patient self-administered OMDQ with reliability and validity.

Knockout 마우스 생산에 의한 PEBP2aC 유전자의 생물학적 활성의 규명 (Functional analysis of PEBP2$\alpha$C activity by knockout mouse model)

  • 배석철;이청림;김응국
    • 한국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독성학회 1998년도 국제심포지움 및 추계학술대회
    • /
    • pp.8-13
    • /
    • 1998
  • Polyoma Virus Enhancer core Binding Protein (PEBP2)는 유전자의 전사를 조절하는 hetero-dimeric transcription factor로서 $\alpha$$\beta$ subunit으로 구성되어 있다. $\alpha$ subunit을 coding 하는 유전자중 하나인 PEBP2aB는 급성백혈병과 관련되어있는 t(8;21) 또는 t(12;21)에 의하여 변형됨으로서 백혈병 발병의 원인이 되고 있다 (Miyoshi et al., 1993; .Romana et al., 1995). $\beta$ subunit을 coding 하는 PEBP2$\beta$도 inv(16)에 의하여 변형됨으로서 백혈병을 유도하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Liu et al., 1993). 이 유전자들의 생물학적 활성을 밝히기 위한 연구가 gene targeting에 의한 knockout mouse 생산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그 결과 PEBP2$\alpha$B와 PEBP2$\beta$ 유전자가 definitive hematopoiesis에 있어서 결정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이 관찰되었다 (Okuda et al., 1996, Wang et al., 1996a, 1996b), 이는 이들 유전자가 bematopoietic master switch 유전자임을 밝힌 중요한 결과로서 이로부터 혈액학 연구 분야의 새로운 장이 열리게 되었다. 또한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PEBP2 family에 속하는 다른 유전자의 생물학적 활성의 연구를 촉진하는 계기가 되었다. 최근 PEBP2$\alpha$A 유전자가 결손된 마우스가 생산되었는데 이 유전자의 경우에는 모든 종류의 뼈의 생성이 완전히 결손됨이 관찰되었다 (Komori et al., 1997). 이는 PEBP2$\alpha$A 유전자가 뼈의 생성을 지배하는 master switch 유전자임을 보여주는 중요한 관찰로서 bone biologist 들의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본 연구팀은 PEBP2 family 유전자 중 유일하게 아직 생물학적 활성이 규명되지 않은 PEBP2$\alpha$C 유전자의 활성을 knockout 마우스를 생산하는 방법에 의하여 분석하였으며 소화기관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혈액 종양 질환에서 항과립구항체 골수 스캔을 이용한 중심 골수와 말초 골수 분포의 분석 (Central and Peripheral Distribution of Bone Marrow on Bone Marrow Scintigraphy with Antigranulocytic Antibody in Hematologic Malignancy)

  • 강도영;이재태;손상균;이규보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298-305
    • /
    • 2002
  • 목적: 혈액 종양 질환을 가진 한자들에서 과립구에 대한 단일클론항체를 이용한 골수 스캔을 시행하여 혈액 종양 질환의 종류에 따라서 말초 골수의 분포를 등급화하고 중심성 골수의 정량적 섭취율을 구하였으며 또한 이들 상호간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혈액 종양 환자 중에서 골수 조직검사를 시행하여 진단이 확진되고 Tc-99m antigranulocyte monoclonal mouse antibody BW 250/183를 이용한 골수 스캔을 시행한 환자 50명을 대상으로하였다. 환자는 4군으로서 급성 골수성 백혈병 환자 11명, 급성 임파구성 백혈병 환자 12명, 임파선종 환자 15명, 골수이형성증후군 환자 12명이었다. 골수 스캔의 분석은 말초 골수 분포는 골수 확장 소견에 따라 4개의 등급으로 분류하였고, 중심성 골수 기능은 장골과 천골에 관심영역을 그려 섭취율을 계산하였다. 결과: 말초 골수 확장의 정도는 전체 환자 50명 중에서 1등급에 4명, 2등급에 27명, 3등급에 15명, 4등급에 4명 이었다. 말초 골수 확장의 정도는 골수이형성증후군과 임파구성 백혈병에서 3, 4등급이 58% (7/12)로 심하였고 임파종에서는 1, 2등급이 93% (14/15)로 가장 경하였으며 질환별로 특이적인 분포는 보이지 않았다. 중심성 골수의 섭취율은 4가지 질환 중 골수이형성증후군에서 $8.5{\pm}4.0$으로 가장 높았고, 급성 임파구성 백혈병에서 $5.9{\pm}3.6$으로 가장 낮았으나 4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말초 골수 화장 정도에 따른 중심 골수의 정량화는 4가지 등급간에는 섭취율에 있어서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003), 개개의 환자에서 말초 골수 확장 정도와 중심 골수의 정량값의 상관관계는 거의 없었다(r=0.05). 결론: 혈액 종양 질환에서 골수 스캔은 말초 골수의 분포와 중심 골수의 기능에 있어서 질병 특이적인 소견은 보이지 않았으며, 골수의 변화는 말초 골수와 중심 골수에 서로 상관 관계없이 변화를 초래하므로 한 가지 방법으로 보다는 두 가지 방법으로 평가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