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금연 자료

검색결과 143건 처리시간 0.03초

캠퍼스 금연정책이 대학생들의 캠퍼스 내·외 금연정책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 Smoke-free Campus Policy on Receptivity of Campus and Government Smoke-free Policy among College Students)

  • 신성례;김윤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363-374
    • /
    • 2017
  • 본 연구는 금연 캠퍼스와 흡연허용 캠퍼스에서 재학하고 있는 대학생들의 캠퍼스 내 외 금연정책에 대한 수용성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대학 캠퍼스 금연정책 도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된 조사연구이다. 금연 캠퍼스와 흡연 허용 캠퍼스에서 재학하고 있는 대학교 1학년 학생들의 캠퍼스 내 외 금연정책 수용성 변화를 탐색하기 위하여 입학 시인 2016년 3월에 사전조사를 실시하였고, 9개월 후인 12월에 사후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금연 캠퍼스와 흡연허용 캠퍼스 신입생들의 캠퍼스 내 금연정책에 대한 수용성은 입학 시와 9개월 후 조사된 자료를 비교한 결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금연 캠퍼스에 재학하는 신입생들에서는 정부의 공공시설 금연정책에 대한 수용성이 변화되지 않았으나 흡연허용 캠퍼스에 재학하는 신입생에서는 정부의 공공시설 금연정책에 대한 수용성 정도가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대학 행정자들이 대학 내 보다 강력하고 일관된 금연정책을 채택하는데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금연 캠퍼스 정책을 시행할 경우 대학의 캠퍼스 내 금연정책과 정부의 금연정책 수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담배연기없는 사업장 정책 가이드 1 - 흡연에 따른 건강상 위해와 비용

  • 박정래
    • 월간산업보건
    • /
    • 통권249호
    • /
    • pp.46-54
    • /
    • 2009
  • 이 자료는 사업장 금연사업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한 일종의 지침서로서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에서 2002년에 발행한 "Making Your Workplace Smoke-free:A Decision Maker's GUIDE"를 번역한 것입니다. 국내 상황과 맞지 않는 일부분은 현실에 맞게 수정, 보완해 국내 사업장의 금연사업 담당자들이나 보건관리자들이 자사의 형편과 실정에 맞는 사업장 금연정책을 실행하는데 있어 유용한 자료가 될 것입니다.

  • PDF

담배연기 없는 사업장 정책 가이드2 - 담배연기 없는 사업장의 이득

  • 박정래
    • 월간산업보건
    • /
    • 통권250호
    • /
    • pp.33-38
    • /
    • 2009
  • 이 자료는 사업장 금연사업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한 일종의 지침서로서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에서 2002년에 발행한 "Making Your Workplace Smoke-free:A Decision Maker's GUIDE"를 번역한 것입니다. 국내 상황과 맞지 않는 일부분은 현실에 맞게 수정, 보완해 국내 사업장의 금연사업 담당자들이나 보건관리자들이 자사의 형편과 실정에 맞는 사업장 금연정책을 실행하는데 있어 유용한 자료가 될 것입니다.

  • PDF

간호대학생의 금연중재 의도와 관련된 요인 (Factors Affecting Intention of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among Nursing Students)

  • 최숙희;김윤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431-440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금연중재 의도와 관련이 있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B시와 Y시 소재 2개 대학의 간호대학생 214명으로, 자료는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7년 9월 12일부터 20일까지 수집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SPSS 23.0을 이용하여 t-test,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금연중재 의도는 현재흡연 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금연의 건강적 이득에 대한 믿음, 금연중재에 대한 태도 및 자기효능감과 유의한 순상관 관계를 보였다. 금연중재 의도와 관련 있는 요인으로는 금연중재에 대한 자기효능감(${\beta}=.634$ p<.001), 금연중재에 대한 태도(${\beta}=.191$, p=.002), 금연의 건강적 이득에 대한 믿음(${\beta}=.132$, p=.032) 순으로 상대적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인의 금연중재의도에 대한 설명력은 64.2%로 나타났다. 즉, 금연중재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금연중재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금연의 건강적 이득에 대한 믿음이 긍정적일수록 금연중재 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금연중재 의도와 관련된 이러한 요인을 고려한 금연중재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요구된다고 본다.

금연 시도경험이 없는 서울시 남성 흡연자의 금연의도 영향요인: 계획된 행동론에 근거하여 (Factors Associated with Intention to Quit Smoking in Male Smokers Who Have Not Tried to Quit Smoking in Seoul :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 신은영;김형수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210-218
    • /
    • 2021
  • 이 논문은 최근 1년간 금연시도경험이 없는 서울시에 거주하는 남성흡연자들의 금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향후 금연의도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개발의 기초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영향요인 파악을 위해 계획된 행동론의 구성요소들을 활용하였으며, 연구 자료는 2020년 질병관리본부에서 수행된 과제에서 사용된 설문자료를 이차자료 분석 하였다. 단변량 분석결과 금연의도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하루평균 흡연량과 계획된 행동론의 구성요소들이었다. 최종적으로,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 계획된 행동론의 구성요소 중 주관적 규범과 인지된 행동통제 요인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금연의도율을 높이기 위해 향후 금연사업 수행시 흡연자의 가족이나 친구, 직장동료 혹은 의사들의 강력한 금연권고를 강화하는 전략과 흡연자 자신의 행동통제 능력을 강화시키는 전략들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일개 공공병원 금연클리닉 이용 흡연 환자의 금연 성공 및 유지 요인 : 일반적 특성과 금연관련 특성 중심으로 (Related Factors of Smoking Cessation Success and Maintenance of Patients using Smoking Cessation Clinic at a Public Hospital : focused on patient demographics and smoking related factors)

  • 황은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535-54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일개 공공병원의 금연클리닉 프로그램에 참여한 흡연 환자(입원 및 외래 포함)를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과 흡연관련 특성 측면에서 프로그램 시작 6주 후, 12주 후 금연성공 및 유지 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활용된 자료는 2014년 공공보건의료프로그램 중 금연프로그램을 통해 수집된 2차 자료를 활용하였다. 금연 프로그램은 6주 동안 중재가 진행되며, 12주째 금연 유지 상태를 점검한다. 자료분석방법은 카이제곱 검정, t-test, 로지스틱 회귀분석법을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총 90명이며, 남자는 85명(94.45%), 여자는 5명(5.55%)으로 대부분 남자였다. 금연프로그램 종료시점인 참여 6주째 금연성공군과 금연실패군간에 가족유형(${\chi}^2=4.496$, p=0.037), 최종 교육정도(${\chi}^2=12.253$, p=0.002), 프로그램 참여 전 하루 흡연량 (t=-2.906, p=0.005), 프로그램 참여 전 니코틴의존도(t=-3.081, p=0.003)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금연 프로그램 참여 6주 후 금연성공 요인으로는 종교유무(OR=3.719, 95% CI=1.076-12.859)와 프로그램 참여 전 니코틴의존도(OR=0.713, 95% CI=0.520-0.976)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연프로그램 참여 12주 후 금연 유지 요인으로는 가족유형(OR=0.017, 95% CI=0.001-0.507)과 금연의지(OR=2.062, 95% CI=1.059-4.015)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연이 성공하고 지속적으로 유지되기 위해서는 대상자의 특성별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되며 이와 관련한 지속적인 연구 및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성별에 따른 흡연자의 금연의도 관련 요인 (Factors Affecting Intention to Quit Smoking of Current Smokers by Gender)

  • 노영민;이예진;김지연;노진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321-328
    • /
    • 2019
  • 본 연구는 흡연자의 금연의도의 관련 요인을 파악하고 성별 간의 차이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지역사회건강조사 2017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39,435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3.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이분형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성별, 연령, 결혼상태, 교육수준, 가구소득, 주관적 건강수준, 금연시도 경험, 금연캠페인 노출경험, 금연교육 경험, 하루 흡연량이 흡연자의 금연의도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성 흡연자와 다르게 남성 흡연자는 교육수준과 가구소득이 금연의도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흡연자 중 낮은 교육수준과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한 금연캠페인과 교육이 필요하며, 특히 성별 차이를 고려한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흡연 정도에 따른 청소년의 금연시도 영향요인 비교 (Comparison of the Factors Affecting Smoking Quit Attempts in Adolescent Smokers according to Amount of Smoking)

  • 임소연;박민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622-633
    • /
    • 2017
  • 본 연구는 청소년의 흡연 정도에 따른 금연시도 영향요인을 비교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질병관리본부가 실시한 2016년 제12차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의 원시자료를 이용한 2차 분석 연구로 SPSS 21.0으로 복합표본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의 대상자는 청소년 흡연자 4,012명으로 하루 10개비 미만의 일반흡연 청소년은 3,171명(78.4%), 하루 10개비 이상의 중증흡연 청소년은 841명(21.6%)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금연시도 비율은 일반흡연 청소년은 71.6%, 중증흡연 청소년은 64.8%로 일반흡연 청소년에서 더 높았다. 일반흡연 청소년의 금연시도 영향요인은 격렬한 신체활동, 우울 경험, 흡연 시작시기, 친구흡연, 금연교육 경험, 금연홍보 경험으로 나타났으며, 중증흡연 청소년의 금연시도 영향요인은 격렬한 신체활동, 친구흡연, 금연교육 경험, 금연홍보 경험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 흡연자의 금연시도 성공을 위해 효과적인 밀착형 금연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함을 기대한다.

대학생을 위한 캠퍼스 금연교육 프로그램의 장기 효과에 관한 연구 (Long-term Effect of Campus Smoking Cessation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 이은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442-451
    • /
    • 2019
  • 본 연구는 캠퍼스 금연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금연에 성공한 대학생들의 장기금연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자들은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서울시 소재 일개 대학에서 36주에 걸쳐 진행되는 캠퍼스 금연 교육 프로그램의 2차 자료와 참여 후 금연에 성공한 전체 금연성공자중,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30명이었다. 캠퍼스내에서의 흡연이 전면 금지되어 있는 서울시내 일개 대학교의 금연 교육 프로그램은 금연관련 교육과 상담, 주1회 소변 내 Cotinine 검사, 금연장학금 지급으로 구성되었다. 참여자의 평균 금연 성공률은 1차시 50.17%, 2차시 44.16%, 3차시 77.30%로 나타났으며, 2차 성공이후에 금연이 고착화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에서 금연에 성공한 이후, 12개월 이상 금연을 유지하고 있는 참여자는 51.22%, 흡연 재발한 참여자는 무응답 흡연자를 포함하여 48.78%이었다. 금연유지의 가장 큰 성공요인은 금연의지(28.57%)였으며, 금연유지의 가장 큰 실패요인은 스트레스(66.67%)로 나타났다 대학생을 위한 캠퍼스 주도적 금연 교육 프로그램은 대학생 흡연자의 금연유도 뿐 아니라 금연을 습관화하여 장기금연 유지자로 전환시키는데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원주시 치과의원 종사자의 금연지도활동에 대한 실태조사 (Tobacco Cessation Activities of Dental Staffs in Wonju City)

  • 장선옥;신보미;조미행;이민선;김소라;김경진;양민주;김다혜;정원균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97-404
    • /
    • 2009
  • 치과종사자의 금연에 대한 태도, 금연지도활동의 실태, 금연지도활동의 장애요인에 대한 자료를 조사 분석하여 금연지도활동을 확대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얻기 위하여 강원도 원주시 구강보건지료기관에 근무하는 치과의사, 치과위생사, 간호조무사, 치과코디네이터를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법을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치과종사자의 금연에 대한 태도점수의 평균 6점 만점에서 5.18점(${\pm}1.21$)으로 비교적 금연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치과종사자의 금연지도활동 점수의 평균은 12점 만점에서 6.67점(${\pm}1.85$)으로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3. 금연지도활동의 장애요인으로는 금연문제를 거론하기가 힘들다는 응답이 42.3%로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나타났다. 4. 치과종사자의 금연지도활동 점수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변수는 금연에 대한 태도, 연령, 금여권유 시, 금연 가능성에 대한 인식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구강건강관리인력의 금연지도활동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해 정규교과과정이나 보수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행 지속적으로 금연지도활동에 대한 이론 및 기술교육을 통해 제공해야 하며, 금연중재 프로그램의 적용과 관련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