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글리신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3초

알칼리금속을 함침시킨 아미노산 염 수용액의 이산화탄소 흡수특성 연구 (CO2 Absorption by Alkali-modified Amino Acid Salts)

  • 임윤희;조영민;박준석
    • 공업화학
    • /
    • 제22권5호
    • /
    • pp.526-531
    • /
    • 2011
  • 본 연구는 이산화탄소 흡수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아미노산에 알칼리금속을 함침시키는 것이다. 사용된 아미노산은 글리신이었으며, 알칼리성분 추가에 따라 pH가 11까지 증가하였다. 시험제조한 아미노산 염은 회분식과 연속식 흡수공정에서 이산화탄소의 포집능을 평가하였다. 치환된 금속종류에 따른 이산화탄소 흡수량은 Sodium Glycinate (Na-Gly) ${\geq}$ Lithium Glycinate (Li-Gly) > Potassium Glycinate (K-Gly) 순으로 나타났다. 흡수반응온도에 따른 $CO_2$ 흡수량 시험결과, $20^{\circ}C$에서는 알칼리금속을 함침시킨 아미노산 염이 1차 아민보다 약간 낮은 흡수능을 보였으나, 연속식 흡수반응기에서는 10% $CO_2$ 흐름에 대하여 반응기 내부온도가 상승하면서($40^{\circ}C$, $60^{\circ}C$) 아미노산 염의 흡수량 증가폭이 아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한우 PPARγ 유전자의 동정과 mRNA의 발현 (Molecular Cloning and mRNA Expression of the Bovine Peroxisome Proliperator Receptor Gamma(PPARγ))

  • 정영희;이상미;박효영;윤두학;최재관;문승주;강만종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1호
    • /
    • pp.23-30
    • /
    • 2004
  • 지방세포분화 과정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고 보고되어지고 있는 PPAR$\gamma$ 유전자를 cloning 하기 위하여 한우 12개월 지방조직을 이용하여 Total RNA를 추출하고 RT-PCR을 수행하여 1515bp, 505 아미노산 서열을 가진 PPAR$\gamma$ 유전자를 cloning 하였다. bovine을 제외한 4종의 다른 동물과의 아미노산 서열을 비교한 결과 모두 90% 이상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NCBl에 보고된 Norwegian cattle PPAR$\gamma$ (NCBI Accession No. O18971)의 아미노산 서열과 비교한 결과 99.2%의 상동성을 나타내었으며 아미노산 서열중 81번째 이소루신, 140번째 아르기닌, 157번째 글루탐산, 486번째 리신이 각각 트레오닌, 트립토판, 글리신, 이소루신으로 치환된 상태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내었다. 특히 nuclear hormone receptor의 DNA binding domain 영역에 포함 되는 140번째, 157번째 아미노산의 치환은 앞으로 한우PPAR$\gamma$ 유전자가 조절하는 다른 유전자와의 관계를 밝히는데 매우 중요한 점이 될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한우 PPAR$\gamma$ 의 발현은 지방조직에서 매우 높은 발현을 보였으며, 한우 12개월령과 30개월령 지방조직에서의 PPAR$\gamma$ 발현을 비교 분석하였을 때 12개월령에서보다 30개월령 지방조직에서 PPAR$\gamma$ 발현이 약 6배정도 높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한우 PPAR$\gamma$ 유전자도 사람과 생쥐에서와 같이 지방분화에 관여하고 있다는 보고와 일치하는 결과라고 사료된다.

천잠 누에고치의 일반 성상 (General characteristics of Antheraea yamamai silkworm cocoon cultured in Korea)

  • 이광길;정다은;김기영;조유영;김현복;김성국;권해용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6-11
    • /
    • 2015
  • 국내에서 생산한 천잠 누에고치의 일반 특성을 고찰한 결과 국내산 천잠 누에고치는 연두색 고치를 지으며, 층상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천잠 누에고치는 외피는 연두색이었고 내피는 흰색을 나타내어 천잠 누에고치의 색상을 나타내는 색소 성분은 외피에 존재하였다. 천잠 누에고치는 고치층의 무게는 0.528 g, 견층두께는 0.424 mm로 측정되었다. 천잠 누에고치를 구성하는 주요 아미노산은 알라닌, 글리신, 세린, 아스파르트산, 티로산, 아르기닌 순으로 나타났으며, X-선 회절분석 결과 $2{\theta}=16.8^{\circ}$, $20.4^{\circ}$ 부근에서 강한 회절 피크와 $2{\theta}=15.0^{\circ}$, $24.3^{\circ}$, $30.0^{\circ}$ 부근에서 날카로운 회절 피크를 나타내었다. 천잠 누에고치는 폭이 $20{\mu}m$ 정도인 섬유가 적층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고치의 안쪽과 바깥쪽에 흰색 결정을 가지고 있었다. 천잠 누에고치의 최대 열분해 온도는 $370^{\circ}C$ 부근이었다. 이러한 천잠 누에고치에 대한 연구 결과는 향후 천잠 누에고치를 이용한 소재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rmoplasma acidophilum 유래 ${\alpha}$-glucosidase로 부터 생산된 glycosynthase 돌연변이 단백질의 개선된 당전이 효율 (Improvement of Transglycosylation Efficiency using a Glycosynthase Mutant derived from Thermoplasma acidophilum ${\alpha}$-Glucosidase)

  • 황성민;서성화;박인명;최경화;김도만;차재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04-110
    • /
    • 2012
  • Glycosynthase는 친핵성 아미노산을 비친핵성 아미노산으로 치환하여 당전이 산물의 가수분해를 막아서 당전이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전 연구에서 본 실험실은 열에 안정하고 산에 강한 Thermoplasma acidophilum 유래의 ${alpha}$-glucosidase (AglA)가 당전이 활성이 있음을 입증하였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당전이 산물이 가수분해 되었다. 이러한 AglA의 당전이 효율을 개선하기 위하여 친핵성 아미노산인 아스파라긴산을 글리신으로 치환하였다. 이 치환된 glycosynthase는 니켈 친화력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하여 정제되었으며, 정제된 돌연변이 단백질의 배당체를 합성하는 능력이 말토오스를 공여체로 그리고 p-nitrophenyl-${alpha}$-D-glucopyranoside($pNP{\alpha}G$)를 수용체로, 그리고 $pNP{\alpha}G$가 당공여체 및 수용체로 이용될 수 있는지 검사하였다. Glycosynthase를 이용한 당전이 산물의 수율은 약 42.5%를 보였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가수분해되지 않았다. 박막 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한 반응산물의 분석은 수용체의 높은 농도에서 기존의 효소보다 많은 양의 배당체를 합성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고, 특히 중성보다 낮은 pH 영역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여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glycosynthase가 산업적으로 배당체를 합성하는데 유용성이 크다는 것을 나타낸다.

말쥐치육의 사후경과에 따른 단백질조성의 변화 (Change in Protein Composition of Filefish Muscle during Post-Mortem Lapse)

  • 변재흥;남택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5-23
    • /
    • 1981
  • 말쥐치 등육 골낙근을 $0^{\circ}C$로 유지하면서 사후경과중 선도의 변화에 따라 단백질의 조성과 단백질의 아미노산 조성 및 유리아미노산의 조성 등을 분석 검토하였다. 말쥐치의 육은 약 $20\%$의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이 단백질은 근원질단백질 $31\%$, 근원섬유단백질 $55\%$, 세포내잔사단백질 $10\%$, 그리고 기질단백질 $4\%$로 구성되어 있었다. 근원질단백질과 근원섬유단백질은 사후선도의 변화와 더불어 감소하여 갔고, 세포내잔사단백질은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관계를 보였다. 근원섬유단백질과 세포내잔사단백질은 전기영동과 densitometry에 의하여 분석한 결과, 근원섬유단백질의 약 $70\%$가 액틴과 미요신, 약 $20\%$가 조절단백질, 그리고 $10\%$전후의 미지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었다. 세포내잔사단백질은 그 대부분이 근원섬유단백질을 구성하는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었다. 한편, 사후경과와 더불어 근원섬유단백질을 구성하는 단백질중 트로포닌-T, 트로포닌-C 및 미요신의 light chain 2는 각각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죽인 직후의 말쥐치 육단백질의 아미노산 조성은 다른 어육의 그것과 비슷하였으나, 트?토판과 함황아미노산은 보다 부족하였다. 휘발성 염기질소양에비추어 부패초기에 해당하는 사후 18일이 경과했을 때는 프롤린과 시스테인이 두드러지게 줄었으며, 로이신과 이소로이신 및 페닐알라닌은 조금 증가하였다. 말쥐치육의 유리아미노산중에는 타우린이 특히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알라닌과 글리신 및 리신도 비교적 많았다. 사후 18일이 경과했을 때는 타우린, 히스티딘, 발린 및 메치오닌은 증가하였으나 리신,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 스레오닌, 세린, 로이신 및 이소로이신은 반대로 감소하였다.

  • PDF

양자화학적 계산에 의한 올리고펩티드 수화물의 구조분석 (Conformational Analyses for Hydrated Oligopeptides by Quantum Chemical Calculation)

  • 심재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95-104
    • /
    • 2018
  • 이성질체의 형태는 수용액 상태에서 종종 안정성과 반응성 등의 기본상태 뿐만 아니라 사슬성장 및 접힘 과정으로 인하여 형태형성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올리고펩티드의 형태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L-알라닌(LA), 글리신(G) 5량체 모델의 무수 및 수화물(수화율; h/1) 상태의 구조와 에너지를 4가지 형태이성질체 (베타-확장형;= t-/t+, $PP_{II}$형; g-/t+, $PP_{II}$-유사형; g-/g+ 및 알파-나선형; g-/g-)에 대하여 B3LYP/6-31G(d,p)를 이용하여 양자화학계산(QCC)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구조최적화는 밀도함수 이론(DFT)으로써 B3LYP를 사용하였으며, 기본설정(Basic set)으로는 6-31G(d,p)를 이용하였다. 이미노 양성자(NH)를 갖는 LA와 G에서 베타-확장형, $PP_{II}$-유사형, 알파-나선형의 3가지 형태가 얻어졌으며, 대부분 물 분자가 $PP_{II}$-유사형과 알파-나선형에서는 CO-HN 분자 내 수소결합 사이에 주로 삽입되었고, 베타-확장형은 CO기에 부착되었다. 또한, LA와 G에서 $PP_{II}$-유사형 형태이성질체가 무수 및 수화물 상태에서 가장 안정적이었으며, $PP_{II}$ 형태이성질체는 얻어지지 않았다. LA에 대한 결과는 알라닌 올리고펩티드의 안정적인 형태가 주로 $PP_{II}$라고 보고한 다른 연구의 실험적 및 이론적인 결과와는 상이했다. 올리고펩티드 형태이성질체의 생성패턴과 안정성이 CO-HN의 분자 내 수소결합의 존재 여부 또는 출발 아미노산 내 $NH_2$기의 존재 여부에 강한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토양현탁액(土壤懸濁液)에 영양원(營養源)의 첨가(添加)가 Pentachlorophenol 분해세균(分解細菌)의 밀도변화(密度變化)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Some Nutrients on the Population of Pentachlorphenol-degrading Bacteria in Soil Suspension)

  • 이상복;최윤희;사토 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09-314
    • /
    • 1994
  • 토양현탁액중(土壤懸濁液中)에 유기염소계(有機鹽素系)인 펜타클로로페놀과 서로 다른 영양원(營養源)을 첨가(添加)하였을 때 이로 인한 총세균(總細菌)과 약제분해균(藥劑分解菌) 및 첨가(添加)된 물질(物質)의 화학적변화(化學的變化)를 검토(檢討)하였다. 총세균수(總細菌數) 및 그람음성균수(陰性菌數)는 배양후(培養後) 1주째에 모든 처리구(處理區)에서 가장 높았고, 그 이후 서서히 감소(減少)하였으며 무처리(無處理)에 비하여 양분처리구(養分處理區)에서 높았다. 특히 배양(培養) 5일째까지 글루코스 첨가구(添加區)에서 가장 높았다. PCP분해균수(分解菌數)는 양분무처리(養分無處理)인 대조구(對照區)에서 배양후(培養後) 4주째까지 증가(增加)한 후 약간 감소(減少)하였으나 모든 양분처리구(養分處理區)에서는 초기부터 감소(減少)하기 시작하여 2주째 이후에는 3 log $cells/m{\ell}$이하 이었다. 그 결과 PCP의 소실(消失)도 PCP만 첨가(添加)했을 경우가 PCP와 영양원(營養源)을 첨가(添加)했을 경우보다 빨랐다. 현탁토양내(懸濁土壤內)의 잔류양분(殘留養分)의 함량(含量)은 배양(培養) 1주(週)까지 영양원첨가구(營養源添加區) 모두에서 빠르게 분해(分解)되었으며 글루코스의 분해(分解)가 글루탐산이나 글리신보다 약간 빨랐으나 5주째에는 처리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pH의 변화(變化)는 모든처리에서 약간의 증가가 있으나 처리간의 증감(增減)에 다소 차이가 있었다.

  • PDF

아미노산 엽면 시비가 멜론 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Foliar Application of Amino Acid Mixture on the Growth of Melon Seedlings)

  • 김영식;김혜진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74-80
    • /
    • 2002
  • 아미노산 엽면 시비가 멜론 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처리 시기는 본엽 1매 전개시(Ll)와 2매 전개시(L2)로 나누었고, 아미노산 농도는 무처리구, 10, 20, 30 mg . L$^{-1}$로 설정하였다. Ll에서 생체중과 건물중은 아미노산 처리구에서 높았다. 초장은 3차 조사시에 Ll-30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L2에서 3차 조사시 생체중은 L2-30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초장은 2차와 3차 조사시 L2-30에서 높게 나타났다. 제1본엽의 염장과 엽폭의 경우, Ll의 3차 조사시 처리 효과가 나타났다. L2에서 염장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엽폭은 3차 조사시에 아미노산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제2본엽의 염장과 엽폭은 Ll의 2차와 3차 조사시에 아미노산 처리구들에서 높게 나타났다. L2에서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제7본엽의 염장과 엽폭은 시비 및 조사 시기에 관계없이 처리간에 유의성을 보이지는 않았다. 이상의 결과, 제1본엽이 전개된 후 아미노산의 농도를 20mg. L$^{-1}$ 이상, 회수를 3회 이상 엽면살포 하거나, 제2본엽이 전개된 후 아미노산을 시비할 경우에는 아미노산 농도를 30 mg . L$^{-1}$으로 설정하고 회수를 2회 이상 시비한다면 생육이 향상된 묘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1,3-Dipolar cycloaddition 반응을 통해 기능화된 carbon nanotube 표면 위에 균일계 촉매 담지 및 에틸렌 중합 (Immobilization of Homogeneous Catalyst on Functionalized Carbon Nanotube via 1,3-Dipolar Cycloaddition Reaction and its Ethylene Polymerization)

  • 이정숙;이세영;이진우;고영수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4권4호
    • /
    • pp.574-58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탄소나노튜브에 다양한 아미노산과 알데히드의 1,3-dipolar cycloaddition 반응을 통해 pyrrolidine 고리를 도입하여 기능화된 탄소나노튜브를 합성하였다. 기능화된 탄소나노튜브에 메탈로센 촉매를 담지하였고 in-situ 에틸렌 중합을 통해 탄소나노튜브/폴리에틸렌 복합체를 합성하였다. 글리신과 벤즈알데히드로 기능화된 탄소나노튜브(Gly+BA-CNT)에 담지된 메탈로센 촉매는 낮은 지르코늄 함량에도 불구하고 높은 지르코늄 함량을 나타내는 N-benzyloxycarbonylglycine과 파라포름알데히드로 기능화된 탄소나노튜브(Z-Gly+PFA-CNT)에 담지된 촉매와 유사한 중합 활성을 보였다. N-Benzyloxycarbonylglycine과 파라포름알데히드로 기능화된 탄소나노튜브(Z-Gly+PFA-CNT)에 담지된 메탈로센 촉매의 경우 촉매 활성점의 분포가 조밀하여 에틸렌 중합 시 활성점으로 에틸렌 모노머와 공촉매 MAO가 확산하는데 입체적 방해를 주기 때문이다. 균일계 메탈로센 촉매로 생성된 폴리에틸렌과 비교하여 표면 기능화된 탄소나노튜브에 메탈로센을 담지한 촉매로 생성된 CNT/PE 복합체는 높은 분해 개시 온도($T_{onset}$)와 최대 중량 감소 온도($T_{max}$)를 가진다. 이는 pyrrolidine 고리가 기능화된 CNT는 PE 매트릭스 내에 균일하게 분산되고 CNT와 고분자 간의 강한 상호작용으로 인해 열적 안정성이 향상된 것으로 판단된다.

약초중의 아미노산 함량 조사 (Survey for Amino Acid of Medicinal Herbs)

  • 황진봉;양미옥;신현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5-41
    • /
    • 1998
  • 국내에서 재배 유통되고 있는 약초의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건물기준으로 콩과의 황기는 감초에 비해 필수 아미노산이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국화과의 주요 아미노산은 글루탐산과 아스파르트산으로 이 중에서 특히 창이는 글루탐산, 아스파르트산, 페닐알라닌이 각각 7.2, 2.8, 1.5%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인 반면 백출, 인진, 대계근은 매우 저조하였다. 오가과는 주요 아미노산이 인삼, 독활에서는 아르기닌이었으나, 오가피는 로이신으로 분석되었고, 미나리과는 천궁이 비교적 필수 아미노산이 풍부하였으며 소회향은 글루탐산과 아스파르트산이 주요 아미노산으로 밝혀졌다. 장미과와 난초과에서는 시스틴이 불검출되거나 낮은 함량이었으며, 벼과의 율무는 필수 아미노산인 로이신이 2.2%, 삼백초과의 어성초는 천궁과 필수 아미노산 함량이 유사하였다. 택사과, 수련과, 갈매나무과의 택사, 연자육, 산조인 등의 주요 아미노산은 산조인은 글주탐산, 글리신, 발린, 시스틴으로 각각 10.6, 1.7, 1.9, 0.3%이었고, 택사는 리신,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으로 각각 2.0, 4.5, 4.2%, 연자육은 세린, 메티오닌으로 각각 1.4, 0.5%이었으며 , 이들은 전반적으로 필수 아미노산이 매우 풍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