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근전도검사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26초

미각 이상 환자에서의 후기 눈깜박 반사 검사 이상소견: 증례보고 (Late Blink Reflex Abnormality in a Patient with Dysgeusia: A Case Report)

  • 박홍범;한아름;김기훈;박병규;김동휘
    • 대한근전도전기진단의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44-147
    • /
    • 2018
  • Although dysgeusia can occur as a consequence of stroke attacks, many physicians and patients tend to overlook it. A 50-year old woman complained of a 2-week history of abnormal sense of taste on the anterior two-thirds of right tongue. Blink reflex test demonstrated prolonged ipsilateral and contralateral R2 responses with the right supraorbital nerve stimulations, which suggest the lesion on the descending pathway. Brainstem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demonstrated abnormal findings in the right lower dorsal pons, anterior to 4th ventricle, lateral to inferior colliculus, and at the level of the pontomedullary junction, which was compatible with solitary tract nucleus and spinal trigeminal nucleus. Brainstem infarction should be considered in patients who have abnormal sense of taste. Additionally, blink reflex test may be helpful for the detection of central origin dysgeusia.

휴대용 요역동학 검사 시 근전도 신호를 이용한 복압측정 방법 (A Non-invasive Measurement of Abdominal Pressure on Ambulatory Urodynamics Study Using Surface Electromyography)

  • 김거식;송철규;서정환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5권6호
    • /
    • pp.132-140
    • /
    • 2008
  • 복압 측정을 위한 기존의 카데터 방법은 배뇨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많은 오차를 유발할 수 있으며 환자에게 불편함을 야기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표면 근전도를 이용하여 비침습적으로 복압을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기존 직장 카테터를 이용하여 측정된 복압과 복압측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추정된 복압 간의 상관계수는 $0.79{\pm}0.06$이었으며, 두 신호간의 오차는 $0.10{\pm}0.07$이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복압추정 알고리즘을 이용하면 휴대용 요역동학 검사 시 편리하게 간접적으로 복압을 측정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고양이에서 상후두신경자극에 의한 후두뇌간유발반응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F LARYNGEAL BRAIN STEM EVOKED RESPONSE IN CAT)

  • 김광문;김기령;윤주헌;김창규;박용재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1년도 제25차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4-14
    • /
    • 1991
  • 후두의 생리적 기능은 하기도를 보호하는 방어기능과 호흡기능 그리고 발성기능으로 대별할 수 있는데 이 가운데 계통발생적으로 가장 원시적이지만 중요한 기능은 하기도 방어기능으로 이는 다른 기능과 달리 전적으로 불수의적이고 반사적으로 이루어진다. 이 기능은 후두내 점막에 존재하는 촉각 수용체(tactile receptor)가 자극되면서 후두근육이 수축 반사를 일으켜 성문이 닫히는 성문폐쇄반사(glottic closure reflex)로서 다접합뇌간반사(polysynaptic brain stem response)이다. 현재까지 후두의 신경장애에서 그 부위나 정도 또는 신경재생 상태 등을 검사하는 방법으로 근전도검사가 주로 쓰여져 왔으나 그것이 주는 정보가 극히 제한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 청각뇌간유발반응과 같이 후두뇌간유발반응 이라 명명된 wave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밝혀져 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어 이것이 임상에 쓰여질 수 있다면 현재 성문폐쇄반사의 소실이나 이상이 원인으로 사료되는 idiopathic laryngospasm, gastroesophageal reflux, spastic dysphonia, stuttering, sudden infant death syndrome과 같은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커다란 진전이 있을 것이다. 이에 저자들은 고양이 6마리를 이용하여 상후두신경을 전기적으로 자극하여 유발되는 반응을 far field recording을 이용 평균 가산법으로 그 wave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상후두신경자극(2㎃, stimuli frequency 3/s, Band filter 320-1000, 0.2 ㎳ duration)에 의한 반회신경에의 유발 반응을 기록하였고 그 잠복시간은 평균 8.2 ㎳ 였다. 2. 상후두신경을 자극하여 후두뇌간유발반응을 기록하였고 후두뇌간유발반응은 4개의 양 wave와 4개의 음 wave로 구성되었다. 3. 각 wave의 평균 잠복시간은 P1은 0.8㎳, P2는 2.3㎳, P3는 3.6㎳, P4는 4.3㎳였고 N1은 1.5㎳, N2 은 2.7㎳, N3는 3.9㎳, N4는 5.5㎳ 였다.

  • PDF

발성 검사 및 치료를 위한 통합 장치 (Integrated Analysis System for Monitoring and Therapy of Phonation)

  • 남기창;김수찬;김한수;남지인;남도현;김덕원;최홍식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3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
    • /
    • pp.2883-2886
    • /
    • 2003
  • 좋은 발성을 위하여 음성이 만들어지려면, 뇌의 언어중추의 명령에 의하여 신경망을 통하여 ‘호흡기관(폐와 흉곽. 호흡관련 근육들)’과 ‘발성기관(주로 후두 즉 성대)’ 그리고 ‘조음, 공명기관(인두, 구강 및 비강)’의 근육들이 유기적으로 작용하여야 한다. 이런 협력 체제에 문제가 생기면, 다양한 종류의 질환이 유발될 수 있다[1,2]. 현재 임상에서 음성 분석을 위해 사용되는 시스템은 대부분 성대의 진동을 측정하기 위해 stroboscopy, 전기성문파형검법 (EGG, electroglottography), 후두근전도 중의 한 방법과 음성 분석을 위한 분석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발성은 호흡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어 음성, 성대의 진동, 호흡 관계를 종합적으로 관찰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발성 시 성대 점막의 접촉 양상은 ECG 로 측정하며, 발성의 주 에너지원이 되는 호흡의 변화를 2 channel 인덕턴스 호흡감시 장치(RIP: repiratory inductive plethymography)를 이용하여 흉곽의 움직임과 상 복강의 움직임에 대하여 측정하며, 발성되는 음성은 마이크로폰을 통하여 측정하는 ‘EGG, 음성, 호흡 통합검사 장치’를 개발하였다.

  • PDF

신경질환의 진단을 위한 탈신경 전위와 종판 전위의 구별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the Distinction between Denervation Potentials and Endplate Spikes for the Diagnosis of Neuropathy)

  • 임재중;김남균;황윤성;박인선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51-459
    • /
    • 1999
  • 신경질환의 진단에 있어서 근육군에서의 세동전위나 양성예각파와 같은 탈신경전위를 관찰함으로써 신경의 이상유무와 손상부위를 예측할수 있는데 이는 임상의의 주관적인 경험에만 의존하여 구별되고 있으며 검사과정 중 정상인에게서도 나타날 수 있는 종판전위가 탈신경전위로 오인되어 진단에 혼선을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탈신경전위와 종판전위를 정량적으로 구별할 수 있는 알고리듬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매개변수들을 추출함으로써 신경손상의 진단과 병변의 국소화에 정확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종류의 신경손상을 보이는 10명의 환자들에 대한 근전도 검사를 실시하여 탈신경전위인 양성예각파나 세동전위, 그리고 종판전위를 검출하였다. 이들 신호로부터 지속시간, 면적, 기울기, 첨두시간 진폭, 양첨두지 진폭, 음첨두치 진폭 및 첨두치 비율 그리고 상(phase)의 여덟가지 매개변수를 구하고 각 파형에서의 값들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두 종류의 탈신경전위와 종판전위의 구분에 공통적으로 좋은 결과를 제공하는 매개변수는 기울기, 첨두치간 진폭, 양첨두치 진폭 그리고 첨두치간의 비율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구해진 매개변수들의 특성은 근전도 분석의 자동화를 위한 알고리듬의 수립에 응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며 보다 정량화된 근전도 분석을 통해 진단의 정확성을 향상시켜 줄 것이다.

  • PDF

전기 치수 검사 시 인체 반응을 이용한 자극 제어기의 개발 (Development of an Auto Stimulus Breaker During the Electric Pulp Testing using Human Responses)

  • 남기창;안선희;이승종;김덕원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1권6호
    • /
    • pp.43-49
    • /
    • 2004
  • 치수 검사(pulp test)는 치아에 물리적 및 화학적 자극을 가하여 치수의 생활력(vitality) 여부를 판별하는 검사이다. 치과 임상에서 수행되는 검사 과정에서 피검자는 치아에 가해지는 역치 이상의 자극으로 인하여 큰 고통과 스트레스에 노출된다. 본 논문에서는 생활치수의 전기 치수 검사 시, 자극의 강도를 서서히 증가시켜 역치에 이르게 되면 나타나는 피검자의 동통반응으로 개구반사에 의한 악이복근의 근전도, 발성에 의한 음성 반응,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한 반응을 각각 측정하였다. 또한 동통 반응이 발생하는 시점으로부터 자극이 차단될 때까지 피검자에게 필요이상으로 인가되는 과용 자극 시간을 측정하였으며, 과용자극 시간 측정 시 치수 검사기의 자극 차단 주체자에 따른 과용 자극 시간을 측정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동통 반응에 의한 인체 반응 신호를 이용하여 치수검사기의 출력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제어 스위치를 구성하였다. 피검자가 역치 자극을 느낀 후 나타나는 최초의 인체 반응의 10 ms 이내에 신속하게 검사기의 출력을 차단함으로써 과용자극 시간을 줄이고자 하였다.

교합상을 이용한 치료가 두개하악장애 환자에 미치는 부작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ide Effect of the Splint Therapy for the Patient with Craniomandlbular Disorders)

  • 김영구;이승우;정성창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15권1호
    • /
    • pp.45-53
    • /
    • 1991
  • 저자는 두개하악 장애로 교합상치료를 받고있는 4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전, 치료후 1개월, 3개월, 6개월째에 주관적 평가, 임상적 검사, 근전도 검사, 컴퓨터 교합 분석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주관적 평가인 visual analogue scale과 Helkimo's anamnestic dysfunction index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임상적 검사시 MM(mandibular movement), TM(TMJ capsule palpation), EM(extraoral muscle palpation), Di(Helkimo's clinical dysfuction index)는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무통성 개구량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2. 42명의 환자중 10명에서 교합변화가 관찰되었으며, 5명에서 치주질환, 2명에서 치아 과민감, 1명에서 구토경향이 관찰되었다. 3. 치주칠환을 보이는 10명의 환자중 3명은 교합상치료 이전부터 치주질환에 이환된 상태였으며 3명에서는 교합변화가 함께 관찰되었다. 4. 교합변화를 보인 10명의 환자중 교합상의 장착시간을 줄였을 때, 3명이 원래의 교합상태로 회복되었고 4명은 부분적으로 회복되었으며 3명에서는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다. 5. 악관절 내장 제 5기 환자에서 교합변화가 더 빈번히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6. Habitual clenching 시와 Maximal clenching 시 사이의 치아접촉점 수, maximal clenching 시의 치아 접촉점의 수와 접촉 치아수 사이에 매우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habitual clenching 시의 치아접촉점의 수와 접촉 치아수, Habitual clenching 시와 maximal clenching시 사이의 치아 접촉시간에서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 PDF

늑골 골절 후 발생한 늑간 신경병증의 임상적 연구 (A Clinical Study of Intercostal Neuropathy after Rib Fracture)

  • 강정훈;이석기;서민범;나정엽;장재혁;김권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1호
    • /
    • pp.53-57
    • /
    • 2010
  • 배경: 이 연구는 늑골 수상 후 발생하는 늑간 신경병증에 대한 평가를 위하여 숫자통증등급, 통증 기간 및 체질량 지수에 따른 늑간 신경병증에 대한 심한 정도를 알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늑골 골절 수상 후 3개월 이상 동안 보존적인 치료에도 불구하고 심한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 47명을 대상으로 근전도 검사를 시행하여 흉부의 늑간 및 척추 주위 근육에 대한 평가를 하였다. 결과: 47명 중에서 11명에 대하여 늑간 신경병증의 진단을 얻을 수 있었으며, 남자 8명과 여자 3명이었으며, 그 연령은 직업적으로 활동적인 연령대였다. 늑간 신경병증이 호발하는 부위는 7번부터 12번 부위 늑골 골절의 늑간이었다. 그 빈도는 단일 골절보다는 다발성 골절과 밀접한 상관 관계를 알 수 있었다. 그 증상으로는 흉통(90.9%), 감각이상(81.8%), 무감각(63.6%), 후부 흉통(27.2%), 그리고 근위축(18.2%) 순이었다. 근전도에 의한 숫자통증등급, 통증 기간 및 체질량 지수와 관계는 없었다. 결론: 늑골 골절수상 후 3개월 이상 지속적인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에서 지속적인 늑간 신경통에 대한 진단을 위한 평가로 근전도가 도움이 될 수 있다.

견관절의 결절종 제거수술후 발생한 SLAP병변 -증례보고 1예-

  • 김원유;지종훈;김진영;양영준;오세철;김지창
    • 대한견주관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견주관절학회 2005년도 제13차 춘계학술대회
    • /
    • pp.107-111
    • /
    • 2005
  • 29세의 남자 환자는 내원 2년전부터 견관절 심부의 간헐적인 동통과 근력약화 증상을 보이다가 내원 2개월전부터 지속적이고 심한 견관절 통증 및 야간통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이학적 검사, MRI검사 및 근전도 검사로 결절종에 의한 상견갑 신경 포착증후군으로 확진되었으며 관절경하에서 후상방 관절낭부위를 탐침하여 관절낭 절개술을 시행하여 결절종 제거수술을 시행하였다. 이때 관절경 소견상 후상방 관절와순은 정상소견을 보였으며 SLAP병변은 관찰되지 않았다. 그후 환자는 큰 불편함은 없었으나 술후 2년 경과후에 외전 및 외회전시 나타나는 통증 및 경도의 견관절 후방부 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여 MRI검사를 시행하였다. 이때 결정종의 재발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SLAP 병변이 의심되어, 관절경검사를 시행한후 SLAP 병변 봉합술을 시행하였다. 현재 환자는 술후 6개월째로 만족스러운 상태로 직업에 복귀한 상태이다.

  • PDF

축구 경기 중 발생한 장골근 파열과 부분 대퇴 신경 마비 - 증례보고 - (Iliacus Muscle Rupture with Associated Partial Femoral Nerve Palsy during Soccer Game - Case Report -)

  • 정성훈;이상호;송경섭;박병문;기철현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92-95
    • /
    • 2012
  • 장골근 파열은 매우 드물게 발생하는 손상으로 고에너지 외상이나 혈액 응고 기능 장애, 항혈액응고제 사용자, 혈우병 환자 등 출혈경향이 있는 환자에서 저에너지 손상을 받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장골근의 파열로 인한 혈종의 압박에 의해 발생한 대퇴 신경 마비가 국내에도 드물게 보고된 바가 있다. 자기공명영상 검사로 병변 부위를 확진하고 신경전도 검사 및 근전도 검사로 대퇴신경 마비의 범위를 평가할 수 있고 혈액응고 기능에 문제가 있거나 출혈경향이 있는 환자를 선별하기 위해 반드시 혈액학적인 검사가 선행되어야 한다. 저자들은 정상적인 32세 남자가 축구 경기 도중 공을 차는 동작에서 발생한 장골근 파열 및 혈종의 압박으로 인한 부분적인 대퇴신경 마비의 증례를 경험하고 6개월간 추시 관찰하였으며,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