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an Auto Stimulus Breaker During the Electric Pulp Testing using Human Responses

전기 치수 검사 시 인체 반응을 이용한 자극 제어기의 개발

  • 남기창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공학교실) ;
  • 안선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공학교실) ;
  • 이승종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보존과학교실) ;
  • 김덕원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공학교실)
  • Published : 2004.11.01

Abstract

Electric pulp test is a method to examine the vitality of dental pulp using physical and chemical stimulation. During the pulp test, the current stimulates intradental nerve, and it makes patients painful. In this paper, we measured each activating response EMG in anterior belly of digastric muscle, voice, and finger movement during the pulp test by increasing stimulus intensity gradually. We also measured excessive stimulus time from the activating responses (EMG, voice, and finger movement) to the end of the stimulation. We measured and analyzed excessive stimulus time for each stimulus detecting method. As a result, we developed automatic stimulus breaker using the human responses to stimulus during electric pulp test. We reduced the excessive stimulus time by disconnecting the pulp tester stimulus output rapidly in 10 ms after activating human response.

치수 검사(pulp test)는 치아에 물리적 및 화학적 자극을 가하여 치수의 생활력(vitality) 여부를 판별하는 검사이다. 치과 임상에서 수행되는 검사 과정에서 피검자는 치아에 가해지는 역치 이상의 자극으로 인하여 큰 고통과 스트레스에 노출된다. 본 논문에서는 생활치수의 전기 치수 검사 시, 자극의 강도를 서서히 증가시켜 역치에 이르게 되면 나타나는 피검자의 동통반응으로 개구반사에 의한 악이복근의 근전도, 발성에 의한 음성 반응,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한 반응을 각각 측정하였다. 또한 동통 반응이 발생하는 시점으로부터 자극이 차단될 때까지 피검자에게 필요이상으로 인가되는 과용 자극 시간을 측정하였으며, 과용자극 시간 측정 시 치수 검사기의 자극 차단 주체자에 따른 과용 자극 시간을 측정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동통 반응에 의한 인체 반응 신호를 이용하여 치수검사기의 출력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제어 스위치를 구성하였다. 피검자가 역치 자극을 느낀 후 나타나는 최초의 인체 반응의 10 ms 이내에 신속하게 검사기의 출력을 차단함으로써 과용자극 시간을 줄이고자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S. H. Han, S. H. Yoon, Y. W. Cho, C. J. Kim, B. I. Min, Inhibitory effects of electroacupuncture on stress responses evoked by tooth-pulp stimulation in rats, Physiol Behav., Vol. 66, no. 2, pp. 217-222, 1999 https://doi.org/10.1016/S0031-9384(98)00276-5
  2. G. V. Allen, S. P. Pronych, Trigeminal autonomic pathways involved in nociception induced refles cardiovascular responses, Brain Res., Vol. 18, no. 754(1-2), pp. 269-78, 1997
  3. P. E. Mahan, Jaw depression elicited by tooth pulp stimulation, Exp Neurol., Vol. 29, no. 3, pp. 439-448, 1970 https://doi.org/10.1016/0014-4886(70)90070-1
  4. P. Mason, A. Strassman, R. Maciewicz, Is the Jaw-Opening Refelx a valid model of pain?, Brain Res Rev, Vol. 10, pp. 137-146, 1985 https://doi.org/10.1016/0165-0173(85)90003-7
  5. P. Mason, A. Strassman and R. Maciewicz. Intracellular respaonses of raphe magnus neurons during the jaw-opening reflex evoked by tooth pulp stimulation. Brain Research, Vol. 379, pp. 232-241, 1986 https://doi.org/10.1016/0006-8993(86)90776-6
  6. M. L. Ahlquist, L. G. A. Edwall, O. G. Franzen, and G. A. T. Haegerstam, Perception of pulpal pain as a fuction of intradental nerve activity, Pain, Vol. 19, no. 4, pp. 353-366, 1984 https://doi.org/10.1016/0304-3959(84)90081-2
  7. P. Koole, H. J. D. Jongh, G. Boering, A comparative study of electromyograms of the masseter, temporalis, and anterior digastric muscles obtained by surface and intramuscular electrodes:raw-EMG, Cranio. Vol. 9, no. 3, pp. 228-240, 1991
  8. B. Matthews, J. Baxter, S. Watts, Sensory and reflex responses to tooth pulp stimulation in man, Brain Res., Vol. 113. no. 1, pp. 83-94, 1976 https://doi.org/10.1016/0006-8993(76)90008-1
  9. 한영철, 이정식, 이종흔. 치수자극으로 유도되는 삼차신경 척수 미측핵의 전압기록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구강생물학회지, Vol. 9, no. 1, pp. 21-29, 1985
  10. J. E. Belforte, A. C. Barcelo, J. H. Pazo., Striatal modulation of the jaw opening reflex, Brain research, Vol. 891, no. 1-2, pp.138-147, 2001 https://doi.org/10.1016/S0006-8993(00)03184-X
  11. M. L. Ahlquist, L. G. Edwall, O. G. Franzen, G. A. Haegerstam., Perception of pulpal pain as a function of intradental nerve activity, Pain, Vol. 19, no.4 pp.353-366, 1984 https://doi.org/10.1016/0304-3959(84)90081-2
  12. M. L. Ahlquist, O. G. Franzen. Encoding of the subjective intensity of sharp dental pain, Endod Dent Traumatol, Vol. 10, no.4 pp.153-166, 1984 https://doi.org/10.1111/j.1600-9657.1994.tb00680.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