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근육 훈련

검색결과 161건 처리시간 0.032초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에 있어서 호흡근육 훈련의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The Effect of Respiratory Muscle Training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Preliminary Study -)

  • Kim Mae-Ja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5-66
    • /
    • 1986
  • 내과외래를 내방한 만성폐쇄성 호흡기질환환자를 대상으로 호흡근육훈련이 호흡근육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서 자료수집을 하였다. 근력+지구력훈련과 근력훈련을 각각 두군에게 6-주 동안 실시하였다. 근력훈련은 DHD Medical Products사 제품의 흡기근육훈련도구로 매일 30분씩 대상자의 가정에서 실시하였고, 근지구력훈련은 일정한 기온이 유지되는 서울대학교병원복도를 12분 동안 걷게하는 운동을 주 2회 시행하였다. 이 훈련들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매주 최대흡기력(PImax), 참을 수 있는 흡기력(SIP), 최대환기량(MW) 및 기관지염-폐기종 증상 체크목록(BESC)과 환자의 건강상태와 계속 훈련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 폐기능 검사와 vital signs을 매주 검사하였다. 그리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근력+근지구력훈련군은 훈련전에 비해서 훈련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근력훈련군은 SIP가 증가되고 BESC는 감소되었으며 , 두 군간의 비교에서는 BESC에서 훈련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호흡근육훈련은 가정에서 간단하게 시행할 수 있는 근력훈련이 근력+근지구력훈련보다 효과가 좋았다. 그러나 측정도구들의 타당도 신뢰도의 평가, 더 많은 수의 연구대상자, 더 효과적인 근지구력훈련의 개발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겠다.

  • PDF

요통환자의 체간근 활성도 및 통증과 Bodyblade 훈련의 융합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odyblade Training of Convergency Relation of Trunk Muscles Activity and Pain i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 박치복;정은호;이호식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123-131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요통 환자의 근육 활성도 및 몸통 통증 에 대한 bodyblade 훈련의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를 위해 30 명의 피험자 샘플을 모집하여 실시하였다. Bodyblade 훈련 그룹 (n = 10)은 6주 동안 주 3 회 bodyblade 훈련을 실시하였고, 요추 안정화 훈련 그룹 (n = 10)은 6 주 동안 주 3 회 요추 안정화 훈련을 실시하였다. 대조군 그룹 (n = 10)은 다른 어떤 훈련도 실시하지 않았다. 몸통 근육 활성도의 평가를 위해 표면 근전도를 사용하였고 통증 평가를 위해 VAS를 측정 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 몸통 근육의 활성도와 통증변화에 있어 측정 시점과 상호작용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 결과, bodyblade 훈련은 만성요통환자의 효과적인 중재 방법이 될 수 있을 거라 기대된다.

가상 홈 트레이닝 - 가상현실 기반 소근육 재활 시스템 (Virtual Home Training - Virtual Reality Small Scale Rehabilitation System)

  • 유경호;김해지;김한섭;이지은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93-100
    • /
    • 2018
  • 본 논문은 뇌졸중 환자가 가상의 집에서 일상 재활 훈련을 할 수 있는 소근육 재활 시스템을 제안한다. 뇌졸중 환자는 마비증상으로 인해 일상생활 활동이 제한적이며 이들을 위한 재활 훈련에는 전등 켜고 끄기, 문 여닫기, 가스 밸브 잠그기, 자물쇠 열기 등 집안에서 일어나는 활동을 재현하는 작업 치료 훈련이 다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가상현실 기술로 집 내부를 구현하여 앞서 언급한 일상 재활 훈련 요소를 배치하고 손동작 인식 장치인 립모션(Leap Motion)을 활용하여 환자가 손과 손가락을 충분히 사용하여 재활 훈련을 할 수 있는 재활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 시스템을 이용하면 뇌졸중 환자는 불편한 몸으로 치료 기관에 방문하지 않고도 가상현실로 소근육 재활이 가능하며, 기존 작업 치료 도구의 단조로움을 탈피하여 흥미롭게 재활 훈련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성인 편마비환자의 계단 높이에 따른 보행훈련시 균형 및 근활성도 분석 (The Analysis of Balance and muscle Activity according to Stair Height Gait Training in Adult Hemiplegia)

  • 최윤희;김경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2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81-182
    • /
    • 2012
  • 본 연구는 뇌졸중으로 인한 성인 편마비 환자의 계단 높이에 따른 보행 훈련을 통하여 균형과 근활성도 변화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뇌졸중으로 진단받은 편마비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5cm, 10cm, 15cm 높이의 계단 보행 훈련군으로 나누어 계단 보행 훈련을 실시하였으며, 임상적 균형능력 측정도구인 Berg Balance Scale(BBS), Timed up and go(TUG), Functional Reach Test(FRT)와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균형변화에서는 세 군간 계단 보행 훈련 전과 후의 균형 변화량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p>.05), 10cm 높이 계단 보행 훈련군에서 가장 큰 변화량을 보였다. 근활성도변화에서는 계단 오르기시 10cm 높이 계단 보행 훈련군에서 넙다리곧은근, 넙다리두갈래근, 장딴지근, 15cm 높이 계단 보행 훈련군에서 모든 근육들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5), 계단 내리기시 근활성도 변화에서는 5cm 높이계단 보행 훈련군에서 앞정강근와 장딴지근, 10cm 높이 계단 보행 훈련군에서 모든 근육들이, 15cm 높이 계단 보행 훈련군에서 넙다리두갈래근, 앞정강근, 장딴지근이 통계학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5). 따라서, 높이에 따른 계단 보행 훈련은 편마비 환자의 임상적 균형 능력과 근활성도를 변화시키는데 영향을 줄 수 있으며, 특히 10cm 높이 계단 보행 훈련군에서는 다른 높이의 계단 보행 훈련군에서 보다 약간 상대적인 증가를 보였다.

  • PDF

견관절 재활훈련을 위한 기능적 전기자극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or Rehabilitation of a Shoulder Joint)

  • 전재현;김진오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7권12호
    • /
    • pp.1121-1127
    • /
    • 2013
  • 본 논문은 인체 견관절의 재활훈련을 위하여 견관절 근육에서 근전도를 측정하고 기능적 전기자극을 인가하는 실험적 연구를 다룬다. 견관절 근골격계의 구성 및 운동형상과 주요 기능을 토대로, 시상면 운동에서 주요 역할을 하는 견관절 근육을 실험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첫 번째 실험으로 관절 각도에 따른 주요 근육의 표면근전도를 측정하였다. 관절 각도 변화와 표면면근전도 변화가 선형 비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두 번째 실험으로 견관절 근육에 기능적 전기자극을 인가하면서 관절 각도를 측정하였다. 전기자극의 일정 범위에서 자극 전류 증가에 따라 관절 각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능동형 재활훈련의 방안으로, 근전도 측정에 의해 근육의 운동의지를 감지하고 기능적 전기자극으로 근육의 장력 발생을 보조하는 게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발목관절의 근력 강화 훈련과 정적 근육 신장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족저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nkle Joint Muscle Strengthening Training and Static Muscle Stretching Training on Stroke Patients' Plantar Pressure and Gait)

  • 이진환;이재홍;권원안;김진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153-1160
    • /
    • 2012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보행수행을 저하시키는 발목 등쪽 굽힘근의 약화에 대해 발목 근력 강화 훈련과 정적 근육 신장 훈련을 이용하여 등쪽 굽힘을 시행한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족저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는 편마비 뇌졸중 환자 36명을 대상으로 뇌졸중 환자의 보행변수인 10m 걷기를 측정하고, 발바닥의 각 영역별 최대 족저압의 측정은 F-scan system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각 훈련 전과 훈련 후의 보행의 변화 연구에서 발목 근력 강화 훈련군과 정적 근육 신장 훈련군은 10m 보행속도검사에서 보행속도가 감소하여 뇌졸중 환자의 보행에 좋은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겠다. 뇌졸중 환자 발의 압력측정에서 발목 근력 강화 훈련군 에서는 다른 그룹에 비해서 무지부, 족지부, 제1중족골두에서 최대 족저압이 증가 하였다.

흡기근육 훈련과 유산소운동의 동시적용이 심폐반응과 폐기능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concurrent inspiratory muscle and aerobic exercise training on pulmonary function and cardiopulmonary responses)

  • 정현진;이대택
    • 운동과학
    • /
    • 제21권3호
    • /
    • pp.373-384
    • /
    • 2012
  • 흡기근 훈련을 동반한 유산소운동이 흡기근력, 폐기능, 최대산소섭취량(maximal oxygen uptake; VO2max)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였다. 24명의 건강한 대학생이 3 그룹으로 나뉘어 6주간의 실험에 참여하였다. 대상자들은 호흡근육훈련(RTG; n=8), 유산소성달리기훈련(REG; n=8), 호흡근육 및 달리기훈련(BTG; n=8) 그룹으로 나뉘었다. 실험전과 후 폐기능, 최대흡기압력(maximal inspiratory pressure; PImax), VO2max가 평가되었다. RTG는 실험기간 동안 흡기근육훈련(inspiratory muscle training; IMT) 프로그램에 참여하였으며, PImax 의 50 % 강도로, 하루 2회, 주당 4일, 회당 30회 훈련하였다. REG는 개인별 VO2max의 70-75 % 강도로, 하루 1회, 주당 4회, 회당 30분 달리기 훈련을 하였다. BTG는 같은 기간 동안 IMT와 달리기훈련 모두에 참여하였다. 실험기간 중 대상자들의 체격변인과 폐기능 변인은 변하지 않았다. VO2max는 RTG, REG, BTG에서 각각 6.1±3.3 %, 5.9±6.6 %, 10.0±8.3 % 증가하였고(p< .05), PImax 또한 RTG, REG, BTG에서 각각 21.7±14.3 %, 19.7±12.0 %, 27.0±12.1 % 증가하였으나(p< .05), 그룹 간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모든 그룹에서 향상이 관찰되었으며, 흡기근 훈련과 유산소운동을 동반한 그룹에서 VO2max와 PImax의 가장 큰 향상을 보였다.

누에나방(Bombyx mori L.) 번데기 분말 섭취가 마우스의 저항성운동 훈련 후 근육량 증가에 미치는 영향 (Increased Muscle Mass after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and Ingestion of Silkworm Pupae Powder (Bombyx mori L.) in ICR Mice)

  • 김이슬;김희빈;전병덕;이동운;류승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1-9
    • /
    • 2016
  • 식용곤충은 대체 식량자원으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누에나방 번데기 분말 섭취 유무에 따른 저항성운동 훈련(등장성 수축)이 ICR 마우스의 근육량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ICR 마우스 28마리를 대조군(CON), 저항성운동 훈련군(EX), 누에나방 번데기 분말 섭취군(SP), 누에나방 번데기분말 섭취 저항성운동 훈련군(SPEX)으로 그룹 당 각각 7마리씩 분류하였다. 체중증가율은 EX와 SPEX가 CON과 SP에 비해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혈중 총 단백질 농도는 SPEX가 다른 그룹에 비하여 가장 높았다. 알부민 농도 변화는 운동훈련 병행 시에만 증가하였다. 혈액 GOT와 GPT 수준은 유의차가 없었다. Akt와 Gsk-$3{\beta}$의 단백질 발현의 유의차는 없었다. 그러나 번데기 분말 섭취 시 Akt 증가 및 Gsk-$3{\beta}$의 감소 경향이 나타났다. 비복근 근육 양은 저항성 운동 훈련을 하였을 때만 증가하였다. 그리고 또한, 번데기 분말 섭취 시 근육량은 유의차가 없었으나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저항성 운동훈련과 누에나방 번데기 분말 섭취는 간독성을 유발하지 않고 근육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그러나 보다 상세한 결과를 제시하기 위해 부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전신진동(Whole body vibration)운동훈련을 통한 육상 투척선수의 하지관절 근육 기능변화에 관한 분석 (Analysis on the Changes in Muscle Function of the Leg Joint in Athletics Athletes Through by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Training)

  • 이영선;윤창선;한기훈;김진현;하종규;박준성;김종빈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250-260
    • /
    • 2021
  • 본 연구는 투척 선수의 하지 훈련 자세를 이용한 전신진동 운동 훈련 시 근육 변화와 대칭 지수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20 대 10 명(남성 6명 여성 4명, 나이:24.60±0.92세, 신장:177.90±7.40cm, 체중:92.90±22.97kg)의 투척 선수를 대상으로 스쿼트, 카프 레이즈, 런지 동작으로 하지 훈련 자세를 이용한 전신진동 운동 훈련을 실시하였다. 하지 관절 근육(대퇴이두근, 비복근 외측, 비복근 내측, 대퇴직근, 전경골근, 외측광근, 내측광근) 부위를 Tensiomyography(TMG) 변인 Time Delay(Td), Time Contraction(Tc), Time Sustain(Ts), Time Relaxation(Tr), Displacement Maximumal(Dm)을 통해 측정하여 근 활성도, 근 피로도, 좌우 대칭을 Wilconxon의 순위 검사로 비교하였고, 이때 유의수준은 α= .05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Td에서 왼쪽 RF, VL, 오른쪽 VM(p<.05), Tc에서는 VM(p<.05), Ts 에서는 GM(p<.05), Tr 에서는 왼쪽 RF, 오른쪽 TA(p<.05)에서 변화를 보였다. 따라서 스쿼트, 카프 레이즈, 런지 동작의 전신진동 운동 훈련이 근 수축 변화가 있는 효과적인 운동임을 입증되었고, 좌·우 근육 대칭으로 코어의 안정성이 확보되었다. 이로 인해 전신진동운동은 재활훈련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고, 경기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만성 뇌졸중 환자의 하지 근육의 활성도에 트레드밀 경사도 훈련이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eadmill Gradient Training on Lower Limb Muscle Activity in Chronic Stroke Patient)

  • 김신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220-226
    • /
    • 2012
  • 본 논문은 만성 뇌졸중 환자의 트레드밀 경사도 훈련이 하지 근육의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것으로 32명의 대상자를 무작위로 대조군인 $0^{\circ}$훈련군 10명과 실험군인 $5^{\circ}$훈련군 10명과 $10^{\circ}$훈련군 12명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6주간의 훈련 후 하지 근육 중 넙다리곧은근, 넙다리두갈래근, 앞정강근, 장딴지근의 활성도 정도를 근전도를 통해 검사하였다. 연구의 결과 넙다리곧은근과 장딴지근은 각 그룹에서 각각 의미있는 변화를 보였지만 넙다리두갈래근과 앞정강근은 실험군에서만 의미있는 변화를 보였다. 또한 각 그룹간 비교에서는 넙다리곧은근이 대조군과 $5^{\circ}$훈련군 사이에서 앞정강근이 대조군과 $10^{\circ}$훈련군 사이에서 의미있는 변화를 보였다. 따라서 트레드밀 경사도 보행 훈련이 하지 근육의 활성화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