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근육주사

검색결과 222건 처리시간 0.034초

다양(多樣)한 황금약침제제(黃芩藥鍼製劑)의 안전성(安定性) 및 효능(效能)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effect and Safety of various Aqua-acupunctures from Scutellariae Radix)

  • 김호경;마진열;전원경;윤수영;강은정;주혜정;고병섭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3권1호
    • /
    • pp.183-197
    • /
    • 1997
  • 황금약침제제(黃芩藥鍼製劑)의 안정성(安定性) 및 효능(效能)에 관한 연구(硏究)하기 위해, 약침제제(藥鍼製劑)들은 황금(黃芩)을 원료(原料)로 하여 전탕(煎蕩) 여과(濾過) 희석(稀釋)의 방법으로 제조(製造)하였다. 황금약침제제(黃芩藥鍼製劑)들은 랫트의 족삼리 근육에 반복투여(反復投與)하여 아급성(亞急性) 독성(毒性) 및 효능(效能)을 조사(調査)하였고, 대조군(對照群) 주사용(注射用) 생리식염수(生理食鹽水)와 연유수(燕溜水)의 매체대조군(媒體對照郡) 침자재군(鍼刺栽郡)을 설정하여 비교(比較)하였다. 1. 랫트에 황금약침제제(黃芩藥鍼製劑)들을 0.2cc 근육투여(筋肉投與)한 결과(結果) 대조군(對照群)과 시험군(試驗群)에서 1마리도 사망하지않았고, 일반증상(一般症狀) 및 부검소견(剖檢所見)에서도 특별한 이상이 발견(發見)되지 않았다. 또한 검액(檢液) 황금약침제제(黃芩藥鍼製劑)들 각각을 랫트에 반복 약침(藥鍼) 시술(施術)하여 체중변화(體重變化) 장기중량(臟器重量) 및 혈액생화학적(血液生化學的) 검사등(檢査等)을 실험(實驗)한 결과(結果), 검액(檢液)에 기인한 독성증상(毒性症狀)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시험군(試驗群)에 사용한 황금약침제제(黃芩藥鍼製劑)은 안전성(安全性)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2. 경시적(輕視的) 체중변화(體重變化)의 결과(結果)에서 침자재군(鍼刺栽郡)(acupuncture)은 시술(施術) 3일후(日後)부터 p-value가 <0.05, 7일(日)부터는 p-value가 <0.001로 유의성(有意性)이 있는 체중감소(體重減少)가 나타났고, 9일후(日後)에는 모든 시험군(試驗群)이 체중(體重) 증가(增加)가 억제되었다. 3. 장기중량(臟器重量)에 대한 결과(結果)에서 D-2군(群)과 생리식염수군군(生理食鹽水群)은 간장중량(肝臟重量)이 통계적(統計的) 유의성(有意性)을 보이고 있는데 침자재(鍼刺栽)의 경우 간장(肝臟)과 비장(脾臟)에서 유의(有意)한 결과(結果)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結果) 효능면(效能面)에서 약침(藥鍼)의 침(鍼)과 약(藥)이 효과(效果)에서 침(鍼)의 효과(效果)가 우선하고 있다고 추측되어진다. 4. 약침(藥鍼) 시술군(施術群)에 대한 혈액생화학적(血液生化學的) 검사(檢査)는 GLU, T.G., CHOL에 대해 조사하였는데, glucose에 대한 영향(影響)은 황금약침제제(黃芩藥鍼製劑) ${\times}$10군(群)에서 대조군(對照群)에 비해 유의성(有意性) 있는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고, 황금약침제제(黃芩藥鍼製劑) ${\times}$100군(群), Distillation-2군(群), 생리식염수군군(生理食鹽水群)에서는 대조군(對照群)에 비해 유의성(有意性) 있는 증가(增加)를 확인할 수 있었고, 모든 시술군(施術群)에서 CHOL의 유의성(有意性)있는 감소(減少)를 보였고, T.G는 황금약침제제(黃芩藥鍼製劑)와 복합주사제군(複合注射劑群)를 제외한 모든 시술군(施術群)에서 통계학적(統計學的) 유의성(有意性)이 있었는데, 황금약침제제(黃芩藥鍼製劑)를 희석(稀釋)한 황금수액희석제제군(黃芩水液稀釋製劑群)에서 유의성(有意性)있는 감소가 일어나는 것을 확인(確認)할 수 있었다. 농도와는 관계없이 황금약침제제(黃芩藥鍼製劑)들이 함유하고 있는 성분상호간(成分相互間)의 작용에 의해서 T.G.가 감소(減少)된다고 생각되어진다. 또한 침자재군(鍼刺栽群)에서도 T.G.를 감소시키는 유의성있는 흥미로운 결과(結果)를 얻을수 있었다. 5. 혈액학적(血液學的) 검사결과(檢査結果)는 과립구(顆粒球)에서 황금수액제제(黃芩水液製劑)만을 제외한 모든 시술군(施術群)에서 유의성(有意性)있는 증가(增加)를 보였으며, 황금수액희석제제군(黃芩水液稀釋製劑群)들에서의 과립구(顆粒球)는 매우 유의적(有意的)인 증가(增加)(p-value가 <0.001)를 보였다. 침자재군(鍼刺栽群)은 과립구(顆粒球)와 평균혈구용적(平均血球容積)에서 통계적(統計的) 유의성(有意性)이 인정되었다.

  • PDF

개 안면신경마비에 대한 봉독과 덱사메타손의 치료효과 (Therapeutic Effect of Bee-Venom and Dexamethasone in Dogs with Facial Nerve Paralysis)

  • 전형규;오현욱;한지원;이현화;정성목;최석화;김문호;김덕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503-508
    • /
    • 2007
  • 사람에서와 같이 개에서도 안면신경마비가 발생되지만, 특발성 원인에 의한 안면신경마비에 대한 유용한 서양의학적 치료 방법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개 안면신경마비에 대한 약침의 치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인공 유발된 개 안면신경마비에 대하여 약침의 효과를 실험하였다. 안면신경마비가 인공적으로 유발된 12두의 개는 대조군(4두), 덱사메타손 투여군(4두) 및 봉독 투여군(4두)로 나누어 공시하였다. 안면신경마비 유발 후 대조군은 식염수 1ml을 머리 근육에 일주일에 두 번 근육주사 하였다. 반면에 덱사메타손 투여군과 봉독 투여군은 합곡, 영향, 사백, 하관, 예풍, 권료, 상관 및 양릉천 혈위에 각각 덱사메타손과 봉독을 일주일에 두 번 약침하였다. 실험 기간 동안 안면신경마비에 대한 임상증상과 혈중 creatine kinase(CK) 활성의 변화를 각각 검토하였다. 임상증상은 치료 14일에 봉독 투여군과 덱사메타손 투여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는 저치를 보였으나 봉독 투여군과 덱사메타손 투여군 간에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혈중 CK 활성의 변화는 치료 7일 및 14일에 봉독 투여군과 덱사메타손 투여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는 저치를 보였으나, 봉독 투여군과 덱사메타손 투여군 간에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따라서 개 안면신경마비의 치료에 봉독과 덱사메타손 약침이 효과적이었으며, 그 효과는 유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운동 후 발생한 횡문근 융해증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Study of Rhabdomyolysis After Exercise)

  • 안영준;이승림;유재호;주민홍;김성완;박지만;양보규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10-114
    • /
    • 2007
  • 목적: 전투 경찰에게서 과도한 신체 활동 후 발생한 횡문근 융해증의 임상 양상 및 치료에 대해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6월 1 일부터 2005년 5월 23일까지 운동이나 훈련 후 발생한 근육통 및 근육종창을 주소로 본원을 방문한 전투 경찰 중에서 횡문근 융해증이 의심되어 입원한 1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혈액검사(CPK, CK-MB, AST BUN/Cr, Electrolyte) 및 임상 경과를 관찰하였다. 이 들은 모두 남자였고, 평균 연령은 20세 ($19\sim21$세) 였다. 발병 원인으로는 팔굽혀펴기 후 발생한 것이 7례, 축구 경기 후 발생한 것이 5례, 시위 진압 후 발생한 것이 1례였다. 이 학적 소견상 다양한 신체 부위에 종창 및 압통을 호소하였는데 전완부에 발생한 경우가 4례, 상완부가 3례, 견갑부가 1례, 하지가 5례였다. 횡문근 융해증의 진단기준은 내원 당시 임상증상과 함께 혈중 CPK가 1,000 IU/L이상인 경우로 하였고 약물 복용력이나 내과적 질환이 있는 경우는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99mTc-MDP 20mCi를 정맥주사 후 4시간에 bone scan을 시행하였다. 치료는 침상 안정가료 및 수액요법을 시행하였고 동통을 심하게 호소하는 환자에게는 부목고정을 실시 하였다. 결과: 전체 입원환자 13명의 평균 재원 기간은 20일 (14일$\sim$42일)이었고 내원 당시 급성신부전을 보인 1례를 제외하고는 수액 요법 및 휴식을 시행한지 평균 8일 (2일$\sim$11일) 후 혈액학적으로 CPK가 1000이 하로 감소되었으며 임상적으로도 뚜렷한 회복을 보였다. 급성신부전을 보인 1례에서는 혈액투석 및 수액요법을 시행 한 후 회복되었다. 결론: 심한 운동이나 훈련 후 부종 및 근육통을 호소하는 환자에서 운동 유발 횡문근 융해증을 의심하여 조기에 혈액검사 및 수액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 PDF

선모충(Trichinella spiralis) 유충의 조직 내 배설, 분리 및 감염항원 단백의 분포 (The Localization of the Excretory, Purified and Infected Antigenic Protein in the Tissue of Trichinella spiralis Larval Worm)

  • 김수진;주경환;정명숙;노영복
    • Applied Microscopy
    • /
    • 제37권1호
    • /
    • pp.43-52
    • /
    • 2007
  • 선모충(Trichinella spiralis) 유충의 조직세포에 존재하는 분비배설, 감염 및 45 kDa 단백 항원의 분포를 확인하기 위하여 면역항체와 황금표지 단백A 복합체를 이용한 면역전자현미경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비배설항원은 선모충에 감염된 실험쥐의 근육으로부터 분리된 선모충을 인공배양 용액에 1일, 3일 동안 배양한 배양액을 수집하여 배설항원으로 사용하였다. 45 kDa 단백 항원은 실험용 흰쥐 근육에서 분리된 선모충유충을 분쇄하여 45 kDa 단백 항원을 분리하였다. 수집된 분비배설항원과 45 kDa 단백 항원은 실험토끼에 주사한 다음 6주 후에 실험토끼의 혈청으로부터 면역항체를 수집하였다. 감염항체는 선모충유충을 실험용 흰쥐에 감염시키고 4주 후에 실험용 흰쥐에서 수집된 혈청으로부터 분리하였다. 실험용 흰쥐 근육에서 분리된 선모충 유충은 고정과 탈수과정을 거처 Lowicryl HM20에 포매하고 초박절편을 제작하여 면역항체와 황금표지 단백A 복합체 (입자크기 15nm)를 반응시켜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1일 분비배설항원에 대한 실험용토끼 면역항체를 선모충유충 조직항원에 반응시켰을 때 충체의 표피와 기저층 그리고 식도세포간질 (esophagus interstitial matrix, EIM) 및 stichocyte의 ${\alpha}_0,\;{\alpha}_1$ 과립에 황금입자가 표지되었다. 3일 분비배설항원에 대한 실험용토끼 면역항체를 선모충유충 조직항원에 반응시켰을 때 충체의 표피와 기저층 그리고 EIM 및 stichocyte의 ${\alpha}_0$ 과립에 황금입자가 표지 되었다. 감염항체를 선모충 유충 조직항원에 반응시켰을 때 충체의 표피와 EIM에 황금입자가 표지되었다. 그리고 분리된 45 kDa 단백 항원에 대한 실험용토끼 면역항체를 선모충유충 조직항원에 반응시켰을 때 충체의 표피와 기저층 그리고 EIM 및 stichocyte의 ${\alpha}_0\;{\alpha}_1$ 과립에 황금입자가 표지되었다. 따라서 1일 동안 배설되는 분비배설항원은 선모충 유충의 표피와 stichocyte의 ${\alpha}_0\;{\alpha}_1$ 과립에서 유도되는 반면에 3일 동안 배설되는 분비배설항원은 표피와 stichocyte의 ${\alpha}_0$ 과립에서 유도되고, 선모충유충 감염후 1주, 4주에 실험쥐에서 형성되는 감염항체는 선모충의 표피와 기저층 그리고 EIM에서 분비되는 항원에 의하여 생성된다. 이상의 결과로 선모충의 분비배설항원과 감염항원은 선모충 유충의 표피와 EIM및 stichocyte의 ${\alpha}_0\;{\alpha}_1$ 과립에서 유도되며 이들은 45 kDa 단백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신생아에서 비약물적 통증조절을 위한 25% 경구 포도당과 인공 젖꼭지 사용의 효과 (Nonpharmacologic Pain Relief with Oral 25% Dextrose or/and Pacifier for Newborn Infants)

  • 김민경;김인아;정민희;한명기;박기영;김봉성;진현승
    • Neonatal Medicine
    • /
    • 제18권2호
    • /
    • pp.353-358
    • /
    • 2011
  • 목적: 건강한 신생아를 대상으로 B형 간염 예방접종 시 25% 경구 포도당과 인공젖꼭지의 진통효과를 알아보고자 전향적 부분적 무작위 임상실험을 시행하였다. 방법: 132명의 신생아를 대상으로, 출생 6시간 이후 B형 간염 예방접종을 근육 내 주사하여 비약물적 통증조절 방법을 비교하였다. 4가지 번호가 담긴 성별에 따라 구분된 상자를 통해 무작위 추첨으로 각 실험군을 정하였고, 주사 투여 2분 전에 증류수를 먹인 군을 대조군으로 25% 경구 포도당을 먹인 군(포도당 처치군), 주사 투여 전 2분 동안 인공젖꼭지만 물린 군(인공젖꼭지 처치군) 및 25% 경구 포도당을 인공젖꼭지에 묻혀 물린 군(포도당+인공젖꼭지 처치군)으로 총 4개의 군으로 구분하여 진행되었다. 모든 군에서 접종 전, 접종 시, 회복 시의 Neonatal Infant Pain Scale (NIPS), Neonatal Facial Coding System (NFCS), Premature Infant Pain Profile (PIPP) 점수를 구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산모와 대상아의 임상적 특징은 4개의 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고, 대조군과 비교하여 포도당 처치군에서 NIPS 점수상 접종 시(6.4${\pm}$0.9 vs. 5.5${\pm}$1.7, P=0.01)와 회복 시(1.6${\pm}$2.0 vs. 0.6${\pm}$0.9, P=0.01), NFCS 점수상 회복 시(1.5${\pm}$2.3 vs. 0.7${\pm}$0.8, P=0.04)에 통증점수가 유의하게 낮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통증평가 점수상 통증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대상(NIPS점수${\geq}$ 4점, NFCS점수${\geq}$3점)의 숫자가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9명 (23.1%) vs. 0명(0%), P=0.04 via NIPS, 7명(17.9%) vs. 0명(0%), P=0.02 via NFCS). 반면 모든 군 사이 PIPP 점수 혹은 중등도 혹은 심한 통증 PIPP 점수 대상수(PIPP점수${\geq}$7점)의 비교에서는 통계상 의미가 없었다. 그러나 대조군과 비교하여 인공젖꼭지 처치군에서 오히려 NIPS와 NFCS 점수가 각각 회복 시 통계상 유의하게 증가하였고(1.6${\pm}$2.0 vs. 2.7${\pm}$2.6, P=0.003 via NIPS, 1.5${\pm}$2.3 vs. 2.9${\pm}$2.6, P=0.023 via NFCS), 포도당+인공젖꼭지 처치군에서는 통계상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25% 경구 포도당을 이용한 통증조절은 효과가 있어 보이나 인공젖꼭지 혹은 25% 포도당을 묻힌 인공젖꼭지의 경우에는 효과가 없었다. 저자들은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신생아의 비약물적 통증조절에 대한 추가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유우의 과배란 처리에 있어서 산유량, 분만 후 처리시기 및 계절이 체내수정란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lk Production, Postparient Days or Seasons on In Vivo Embryo Production by Superovulation in Holstein Cows)

  • 임광택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3-37
    • /
    • 2009
  • 본 연구는 고능력 유우 공란우의 이용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체내 수정란 생산을 위한 다배란 처리의 결과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다배란 처리 방법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공란우의 다배란 처리는 발정 주기 $10{\sim}13$일째 POLLTROPIN-V(Vetrepharm, Canada) 400mg NIH-FSH-P를 4일간 12시간 간격으로 감량법에 따라서 주사를 하였다. 호르몬 주사 6, 7회 째 황체 융해 및 발정 유도를 위하여 $PGF_2{\alpha}$(Estron, Czech Republic)를 근육 주사하였으며, 승가 허용 발정을 보인 공란우는 발정으로부터 12h, 24h에 2회 인공수정을 실시하였다. 수정란 회수는 발정으로부터 7.5일에 실시하여 전체 회수 수정란 중에서 이식가능 수정란을 구별하였다. 실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생 산량에 따른 회수 수정란 수와 이식 가능 수정란 수는 각 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2. 분만 후 경과 일수에 따른 회수 수정란 수와 이식 가능 수정란 수는 분만 후 $61{\sim}90$일이나 $121{\sim}150$일 사이에 채란을 실시한 경우가 분만 후 $91{\sim}120$일 혹은 151일 이상에서 채란한 경우보다 낮았으나 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3. 계절에 따른 회수 수정란 수와 이식 가능 수정란 수는 다른 계절과 비교하여 여름철에 가장 낮았으나 계절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이상의 결과로 보아 고능력 유우 공란우를 다배란 처리 할 때는 유생산량이나 분만 후 경과 일수 혹은 계절에 관계없이 채란을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위암으로 위 전절제술 후 비타민 Bl2 결핍과 치료 (Vitamin B12 Deficiency after a Total Gastrectomy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 채현동;박기호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6권1호
    • /
    • pp.6-10
    • /
    • 2006
  • 목적: 위절제술 후 가장 많이 발생하는 대사 장애는 빈혈이며 2가지 종류가 있다. 그 하나는 철 부족 빈혈이고 나머지 하나는 비타민 B12 대사 장애로 발생하는 빈혈이다. 비타민 B12부족을 빨리 발견하면 늦게 발견하여 발생하는 여러 가지 신경, 정신적 장애를 예방할 수 있다. 위 전절제술 후 비타민 B12 부족에 대한 발생률과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부터 2004년까지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외과에서 위암으로 진단받고 위 전절제술을 시행한 128명을 대상으로 비타민 B12 혈중 농도를 측정하였다. 비타민 B12의 혈중 농도를 측정하여 200 pg/ml 이하를 치료 대상으로 하였다. 혈중 농도의 부족한 정도에 따라서 $4{\sim}6$개월 간격으로 추적 검사하였다. 결과: 위 전절제술 128명 중 비타민 B12 혈중 농도가 200pg/ml 이하는 47.6% (61명)였다. 위 전절제술 후 시기별 누적 빈도수는 혈중 농도 200 pg/ml 이하는 1년 23.4%, 2년 33.6%, 3년 39.1%, 4년 41.4%, 5년 이상 47.7%였다. 혈중 농도 200 pg/ml 이하로 치료 대상자는 36명이었으며, 이중 혈중농도 $100{\sim}150\;pg/ml$는 16명이고, 1개월 간격으로 5.21회 주사 후 평균치 652.89 pg/ml까지 증가하였다. 혈중 농도 $150{\sim}200\;pg/ml$로 치료 대상자 20명 중 4.75회 주사 후 평균치 782.67 pg/ml까지 증가하였다. 결론: 위 전절제술 약 1년 후부터 비타민 B12 투여가 필요하며, 비타민 B12의 혈중 농도가 200 pg/ml 이하이면 비타민 B12 (Actinamide) $1,000{\mu}g$을 1개월 간격으로 $5{\sim}6$회 근육 주사하면 정상 혈중 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 PDF

백서에서 수 종의 근관 내 약제에 대한 조직 반응에 관한 연구 (Tissue reactions to Implanted Intracanal Medicaments in Rats)

  • 김미리;김병현;김원경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9권1호
    • /
    • pp.23-29
    • /
    • 2004
  • 최근 근관 치료 영역에서는 적절한 기계적 근관 성형과 근관 세척으로만 효과적으로 근관 내 미생될의 숫자를 감소시킬 수 있어 다른 약제의 사용은 권장되고 있지 않다. 그럼 에도 불구하고 수종의 근관내 약제는 감염된 근관에서 미생물의 숫자를 줄이고 근관 내용물의 불활성화와 삼출액을 줄이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포름 알데하이드를 함유하고 있는 Depulpin$^{(R)}$과 근관 치료학에서 오랫동안 널리 사용되어온 수산화 칼슘을 포함하고 있는 Tempcanal$^{(R)}$과 Vitapex$^{(R)}$ 등에 대한 세포 독성은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들 약제가 백서에서의 세포 독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고찰하고자 하였다. Sprague-Dawley계 백서 숫놈 20마리를 사용하여, 각각의 쥐는 케타민과 럼푼을 근육내 주사하여 마취하였고, 복부의 피하 부위를 절개한 뒤 3개씩의 Teflon-coating된 매식체를 삽입하였다 매식체 안에는 각각 Tempcanal$^{(R)}$, Vitapex$^{(R)}$, Depulpin$^{(R)}$을 넣고, 백서 20마리를 6개군으로 나누어 매식체 삽입 후 1주 뒤, 4주 뒤에 희생시켜 매식체 주위 조직을 잘라내고 10%포르말린에 고정 후 파라핀에 포매 하였다 미세 절단기로 4$\mu$m로 연속 절단 후, hematoxy-line-eosin염색 후 3명의 관찰자가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염증의 정도를 4단계로 평가한 뒤 Kruskall-Wallis test(P<0.05)로 통계 처리하였다. 그 결과 제 1군Tempcanal$^{(R)}$ 7일후 군), 제 2군(Vitapex$^{(R)}$ 7일후 군), 제 3군(Depulpin$^{(R)}$ 7일후 군) 모두 중등도의 염증도를 보였으나, 세 군간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그러나, 제 4군(Tempcanal$^{(R)}$ 30일후 군)과, 제 5군(Vitapex$^{(R)}$ 30일후 군)의 경우에서는 약한 염증도를 보여주었으나, 제 6군(Depulpin$^{(R)}$ 30일후 군)은 가장 심한 염증 반응과 함께 조직 괴사의 양상을 보여주었으며, 4, 5군과 6군간에 통계학적 유의성을 보였다. 본 실험 결과, Depulpin$^{(R)}$은 Tempcanal$^{(R)}$와 Vitapex$^{(R)}$에 비해 높은 세포 독성을 보여주공 있으나, 좀 더 많은 임상적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신규 항암성 화합물 아크리플라빈과 구아노신 복합체를 흰쥐에 근육주사시 아크리플라빈의 체내분포 (Distribution of Acriflavine in Rats Following Intramuscular Administration of a Mixture of Acriflavine and Guanosine, a Potential Antitumor Agent)

  • 송석길;정연복
    • 약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8-14
    • /
    • 2006
  • A 1 : 1 mixture of acriflavine (ACF; CAS 8063-24-9) and guanosine is currently being evaluated as a possible antitumor agent in preclinical studies. Guanosine is known to potentiate the anticancer activity of some compounds. However, the distributions of trypaflavine (TRF) or proflavine (PRF) have not been investigated in mammals. We, therefore,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of TRF and PRF after i.m. administration of the combination mixture (ACF and guanosine) at a dose of 30 mg/kg ACF in rats. to analyze TRF and PRF levels in biological samples, we used an HPLC-based method. The calibration curves for TRF and PRF in the samples were linear over the concenration range of $0.05{\sim}200\;{\mu}g/ml$. The intra- and inter-day assay accuracies of this method were within ${\pm}15\%$ of norminal values and the precision did not exceed $15\%$ of relative standard diviation. The lower limits of quantitation were 50 ng/ml for both TRF and PRF. The distribution of TRF or PRF was determined by 48 h after i.m. administration of the combination mixture at a dose of 30 mg/kg ACF. TRF and PRF were distributed as the following order; kidney>lung>liver>small intestine>muscle. Of the various tissues, TRF and PRF were mainly distributed to the kidney and lung. The concentrations of TRF or PRF in the tissues 24 h after i.m. administration decreased to undetectable levels. The concentrations of TRF or PRF in the blood cells were comparable to those for the plasma. However, the concentrations of TRF or PRF in the both plasma and blood cells 12 h after i.m. administration were not detected. The number of the platelets in the 1 ml of the blood was calculated to be $0.183{\times}10^8/ml$ of blood. The PRF concentration in platelets was higher than that of TRF at initial times after i.m. administration of the combination mixture. However, both the TRF and PRF concentrations in the plateles 24 h after i.m. administration of the combination mixture were below the quantifiable limit. In conclusion, the concentrations of TRF or PRF in the various tissues, plasma, blood cells, and plateles decreased to undetectable levels 24 h after i.m. administration of the combination mixture at a dose of 30 mg/kg ACF.

Medetomidine과 Tiletamine/Zolazepam을 병용마취한 개에서 통증자극이 뇌파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ain Stimulation on EEG in Dogs Anesthetized withMedetomidine and Tiletamine/Zolazepam)

  • 최우식;장환수;권영삼;장광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36-141
    • /
    • 2010
  • 개에서 Medetomidine (MED)과 tiletamine/zolazepam (ZT) 병용마취시에 통증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판단되는 외과적 마취기에 적절한 진통효과가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뇌파를 이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임상적으로 건강한 비글견 7두를 이용하여 동일견을 대조군과 통증자극군에 이용하였다, 대조군은 MED $30\;{\mu}g/kg$ 투여 후 15분에 ZT 10 mg/kg을 각각 근육주사하였으며, 통증자극군은 대조군과 동일한 방법으로 약물을 투여한 다음 ZT 투여 후 10분부터 45분까지 5분 간격으로 pedal withdrawal reflex test를 실시하였다. 각각의 기록시간대에서 뇌파의 band power,평균동맥혈압과 심박수를 측정하여 실험군간 비교하였다. 뇌파 기록전극은 International 10-20 system을 이용하여 Cz에, 기준전극과 접지전극은 양쪽 귀에 장착하였다. 뇌파 분석상 저주파 band가 높은 power를 보이고 고주파 band가 낮은 power를 나타냈으나 군간 유의성 있는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평균 동맥혈압과 심박수는 TZ 투여 10분 후 두 군 모두 상승하였으나 군간 유의성은 없었다. 본 실험 결과, 개에서 MED와 ZT 병용마취는 외과적 마취기에 우수한 진통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