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근육강화

검색결과 132건 처리시간 0.024초

Lewis 폐암 마우스 모델에서 톡소포자충에 의한 항암 및 항전이 효과 (Antitumor and Antimetastatic Effects of Toxoplasma Gondii in Mice with Lewis Lung Carcinoma)

  • 김주옥;정성수;박희선;김명훈;김선영;이영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2권4호
    • /
    • pp.317-329
    • /
    • 2002
  • 배 경: 종양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선전 국가에서도 주요 사망 원인의 하나로, 새로운 치료법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최근 면역종양학의 발전으로 면역강화요법에 의한 종양의 면역치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Lewis 폐암 마우스 모델을 대상으로 원충의 일종인 톡소포자충 (Toxoplasma gondii)에 의한 비특이적 면역증강요법에 의한 폐암의 성장 및 전이 억제 효과를 평가하고자 시행하였다. 방 법: C57BL/6 마우스 톡소포자충 충체 (마우스당 5개의 씨스트를 복강내로 주사) 혹은 Lewis폐암세포 (마우스당 $1{\times}10^6$씩 대퇴근육에 주사)를 여러 조합으로 처치하여 각 군별 생존기간, 주사부위 근육의 종양크기, 근육 및 폐장의 조직병리 소견을 조사하였다. 또한 각 군별 마우스를 톡소포자충 항원(마우스당 $50{\mu}g$)혹은 lymphokine(마우스당 0.5ml)으로 추가 면역한 다음 항암 및 항전이 효과를 비교하였다. 결 과: 톡소포자충 충제만을 감염시킨 마우스는 실험기간중 한 마리도 죽지 않았으나, 폐암세포만을 주입한 마우스(폐암대조군)의 평균 생존기간은 $29.1{\pm}4.4$일이었다. 톡소포자충 감염 후 2주에 폐암세포를 주입한 마우스 (전감염대조군), 충체와 폐암세포를 동시에 주입한 마우스 (동시감염대조군) 및 폐암세포 주입 후 충체를 감염시킨 마우스(후감염대조군)의 생존기간은 각각 $32.4{\pm}3.3$$30.9{\pm}5.0$일 및 $34.9{\pm}2.9$일로 폐암대조군에 비하여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0.0001

노인여성의 복압성요실금에 대한 골반저근육강화 운동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 of Pelvic Floor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Treatment Program For Stress Incontinence of The Older Women)

  • 구희서;박정미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49-66
    • /
    • 2002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 of pelvic floor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treatment program for the older women with stress incontinence. The researcher developed 8 weeks training program which was implemented at a social welfare center in Seoul. The exercise method followed the Kegel criteria. Verbal instructions were given to the subjects. Subjects were confirmed of the exercises and evaluated by description of the exercise method. Fourteen elderly women(mean age 75.7) with stress incontinence participated and completed this program. The training sessions were held twice a week and each session took 45 minutes ; 15 minutes for pelvic floor muscle strengthening program and 30 minutes for other physical therapy. Pelvic floor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was applied using verbal instruction and practice at social welfare center, twice a week and daily home exercise program were given to each individua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re was significant decrease of lower urinary symptoms in the subjects (p = 0.00) 2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sexual matters (p = 0.44) and the life style (p = 0.41) In conclusion, further study with larger sample group is suggested in order to confirm the study result. Because of limited sample size, the study results were not conclusive. But the pelvic floor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treatment program could be a safe and effective program and is suggestive for the community residing older women with stress incontinence as a geriatric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

  • PDF

교통사고로 유발된 급성 경항통 환자에 대한 앙와위 경추 JS 신연 교정기법과 근육 이완/강화기법의 효과 비교: 후향적 연구 (A Clinical Study Comparing the Effects of Supine JS Cervical Therapy and Muscle Release/Strengthening Technique on the Patients with Acute Neck Pain Caused by Traffic Accidents: A Retrospective Study)

  • 박정욱;구지향;하현주;오민석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29-139
    • /
    • 2020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 of supine JS cervical therapy and muscle release/strengthening technique in patients with acute neck pain caused by traffic accidents. Methods We studied 42 patients with acute neck pain caused by traffic accidents from July 1, 2019 to November 30, 2019. The study was conducted as a retrospective study which analyzes the patient's medical records. 21 patients (group A) had received supine JS cervical therapy and 21 patients (group B) had received muscle release/strengthening technique. We used the neck disability index (NDI) and visual analog scale (VAS) to evaluate improvements in symptoms and pain, and used the five point Likert scale to evaluate patient's satisfaction with chuna manual therapy. In each group, we compared the NDI and VAS of hospitalization day to those of 5 days later. Then we compared the NDI, VAS variation and five point Likert scale between the groups.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IBM SPSS for windows 25.0. Result Both group A and group B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the NDI and VAS on the 5th day of hospitalization. In group A,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the NDI compared to group B. The VAS and Five Point Likert Scale decrease was greater in group A than in group B,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We found that using supine JS cervical therapy may be more effective than muscle release/strengthening technique in acute stage after traffic accidents.

식물추출물(YGF)의 lGF-1 분비촉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lant Extract(YGF) on Inducing IGF-1 Secretion)

  • 최철석;김재수;이찬우;박점석;홍억기
    • KSBB Journal
    • /
    • 제17권2호
    • /
    • pp.203-206
    • /
    • 2002
  • 신체성장은 세포수가 증가하고 세포의 크기가 커지면서 신체의 크기가 증가하는 것으로서 몸을 구성하는 성분인 단백질이 증가를 수반하고 골격과 근육이 커지며 이득의 기능도 강화된다. 사람의 키가 커진다는 것은 팔과 다리의 긴 뼈가 늘어나야 하는 것인데 이와같은 성장은 호르몬의 작용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같은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성장호르몬 및 IGF-1의 분비촉진 여부를 확인하였다. 체외 래트 성장호르몬의 분비량은 88 - 99 ng/mL으로 대조군에 비해 약 6배 이상의 성장호르몬이 분비되었다. 또한 생체내 IGF-1 분비촉진 효과실헐에서는 YGF 투여 후 8시간에서 1140 ng/mL 정도로 대조군에 비해 현저하게 높은 혈중 IGF-1의 농도가 유지되었다. YGF를 장기 복용시킨 경우 실제로 대퇴부 배의 길이성장이 약 6% 정도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실험을 통해 확인된 성장호르몬 및 IGF-1 분비촉진을 유발하는 식물 추출물 YGF에 대해 좀더 연구개발하여 키 성장이 저조한 어린이 및 청소년에게 신체성장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되었으면 한다.

식도천공 후 만기 일차 봉합술의 성적 (Delayed Primary Repair of Esophageal Rupture)

  • 김길동;정경영;김창수;박한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호
    • /
    • pp.46-51
    • /
    • 1998
  • 식도 천공후 수술시까지 24시간이상이 경과된 환자의 치료법은 아직도 논란이 많다. 1990년이후 연세 대학교 흉부외과학 교실에서는 식도 천공후 24시간이상 경과된 환자 10예중 전예를 일차 봉합술로 치료 하였다. 그중 4명은 인위적인 천공 이었고, 3명은 자연성 천공, 2명은 이물의 연하, 나머지 한명은 외상이 원인 이었다. 식도 천공후 수술시까지 소요된 시간은 평균 116시간 이었고 중앙값은 48시간 이었다. 봉합방법은 천공된 점막부위의 위 아래로 정상 점막이 나올때까지 식도근 절개술을 시행한 후 염증이 있는 점막부위를 변연 절제한다. 식도의 원위부 폐쇄가 있을 경우 수술대에서 식도 확장술을 시행하고 점막과 근육층을 단층 혹은 층층 봉합한다. 봉합부위 위에 늑막이나 심낭 지방을 이용하여 봉합을 강화하였다. 수술 사망은 1예에서 수술후 33일째 발생 하였는데 사망원인은 위괘양의 합병증으로 위출혈이었다. 술후 5명의 환자에서 봉합부위의 유출이 있었지만 사망한 1예를 제외하고 모두 고식적 치료로 완치할 수 있었다. 식도 천공 환자에서 치료법은 여러 가지 방법이 있겠으나 비록 수술시까지 시간이 많이 지났다하더라도 천공의 원인이 양성이고 원위부 폐쇄가 교정될 수 있다면 일차 봉합과 적절한 배농이 우선 되어야 할 것이다.

  • PDF

들숨군 강화 훈련이 허리통증환자의 배근육 초음파 영상 구조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Changes in the Ultrasound Imaging of Abdominal Muscles based on the Inspiratory Muscle Strengthening Training of Low Back Pain Patients)

  • 고정아;박웅식;문세영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9-37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patients with chronic back pain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ir back pain, and to compare the pain dysfunction index with the qualitative changes in abdominal muscles. Therefore, we aimed to provide a basis for the treatment intervention method for patients with back pain. Methods: Twenty patients with chronic back pain were purposive sample to a group of 10 patients with a back pain index of 60 % or more and a group with less than 60 % of back pain, and the subjects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study After receiving the letter, I conducted the research the dysfunction of back pain was measured by the Korean version of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KODI), and the ultrasonic wave (Ultrasound MyLabOne, ESAOTE, Italy) And the white area index, and the abdominal muscle movement was used as the exercise instrument POWER breathe K5 (Hab direct, UK), which strengthens the respiratory muscles through threshold-muscle traction. Result: In this study, patients with chronic back pain were subjected to breathing exercises, which led to the decrease in back pain dysfunction. The ultrasonographic analysis of abdominal muscles revealed that both the white area index and muscle image density in the skeletal muscle and in the outer muscle of the abdomen gradually decreased over time. Conclusion: It is thought that introducing back pain patients to abdominal muscle reinforcement training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functions of the patients' muscles, thus increasing their quality of life.

경추 추간판탈출증에 의한 브라운-시쿼드 증후군 : 수술 후 도수치료와 운동치료 효과-사례연구 (Brown-Sequard Syndrome Produced by Cervical Disc Herniation : Manual and Exercise Therapy after Operation-Case Studies)

  • 김명준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79-85
    • /
    • 2009
  • 목적 : 브라운시쿼드는 대부분 척추손상과 수질외 척추 종양에서 주로 나타난다. 드물게 경추 디스크가 브라운시쿼드의 원인이 된다. 경추디스크에 의한 브라운시쿼드 증세의 수술후 물리치료 및 도수치료 결과를 보고하기 위함이다. 방법 : 50세 남자로써 브라운시쿼드 증세로 진단을 받고 수술후 좌측 팔과 다리에 운동신경에 의한 마비증세가 있었으며(팔>다리), 우측으로 감각과 온도감각이 저하된 경우이다(팔>다리). 측정방법은 통증지수(VAS), 근력(Distal PowerTracII$^{TM}$ test), 지구력(Ergometer) 측정과 심리상태(설문)를 치료전과 후를 비교하였다. 물리치료에서는 기능적 전기자극 치료와 도수치료 및 운동치료 방법을 실시하였다. 도수치료는 통증완화와 근력강화를 위한 MET, MFR, Mobilization 등을 실시하였으며, 운동은 슬링시스템 등을 이용한 운동과 견관절의 불안정을 위해 안정화운동을 실시하였다. 결과 : 이 케이스는 수술후 이상 징후가 척수압박으로 인하여 보다 넓게 통증이 나타났으며, 운동 및 감각신경이 둔해지고 온도에 대한 감각이 반대편 결손으로 나타났으며, 좌측 어깨, 팔 견갑부의 근육 마비와 우측의 감각이 떨어진 현상이 나타났다. 물리치료 후 단기목표와 장기목표에 있어서 통증과 운동 및 감각 기능이 회복되어 각각 팔 통증에서는 VAS 8 ${\rightarrow}$ 1, 상지 하지의 운동기능은 Trace ${\rightarrow}$ Good 로 평가 회복되었으며, 근력측정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모든 치료과정 결과에서 심리적 상태의 설문에서도 높은 점수를 얻어 긍정적 신뢰가 높아 진 것으로 나타났다. 검사결과 다리의 근력이 증가는 걷기 운동 및 에르고메터의 지구력 및 균형이 레벨1의 10분 수행능력이 레벨 20에서 30분 수행능력으로 향상되어 일상적인 활동이 가능해졌다. 결론 : 예상하지 못했던 수술 후유증(side effects)에 대한 치료과정이 환자의 심리에 심각한 부정적인 생각이 신체의 기능과 감정의 손상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치료 과정에서 기능적 향상과 더불어 정신적인 심리의 정서 안정이 매우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요부신전강화 운동프로그램이 단순추간판탈출증 수술환자의 요부근육 및 통증 그리고 사회복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umbar extensors strengthening program on low back muscle power and mass, pain, return to work of patients who took laser operation for herniated lumbar disc)

  • 황성수;김명준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45-56
    • /
    • 2004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know the effects of the postoperative lumbar extensor 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on back muscles strength and volume, pain, and the time of return to work. METHODS: A prospective controlled trial of lumbar extensor exercise program in patients who underwent microdiscectomy or percutaneous endoscopic discectomy for prolapsed lumbar intervertebral disc. Seventy-five patients were randomized into exercise group (20 male, 15 female) and non-exercise group (18 male, 22 female). Six weeks after surgery, patients in exercise group undertook a 12-week lumbar extension exercise (MedX) program. Assessment of spinal function was performed in all patients on postoperative 6 weeks, 18 weeks. The assessment included measures of lumbar extensor power, muscle mass of erector spinalis. All patients completed the visual analog scale (VAS) for evaluation of pain, and return to work. RESULTS: In muscle power,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between pre and post test on muscle power in exercise group. But ther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muscle power in non-exercise group. In muscle mas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test on muscle mass in exercise group. But ther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muscle mass in non-exercise group. In the pai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between pre and post test on both group. But ther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fatty tissue and obesity in non-exercise group. The percentages of return to work in postoperative 4 months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exercise group than in the non -exercise group. CONCLUSIONS: Postoperative lumbar extensor 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appears to be more beneficial to the patients who underwent operation for prolapsed lumbar intervertbral disc.

  • PDF

하타요가수련이 컴퓨터 사용후 만성요통에 시달리는 노인의 통증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Hatha Yoga Practice on the Elderly Having Chronic Back Pain because of Computer Usage)

  • 유시영;홍순안;문경래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7호
    • /
    • pp.1121-1128
    • /
    • 2013
  • 본 논문은 노인의 하타 요가 수련의 효과에 대한 연구이다. 특히 만성요통에 시달리는 65세 이상의 노인의 통증과 일상생활에 있어 기능적 장애의 변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 연구는 65세 이상의 남녀로 현재 노동활동에 종사하지 않고 6개월 이상 허리 통증을 경험하고 있는 노인이다. 연구는 하타 요가나 다른 체계적인 운동을 경험하지 않는 대상으로 한정하였다. 실험은 8주 동안 일주일에 세 번 하타 요가를 수련하는 그룹과 다른 조건은 동일하지만 하타 요가를 수련하지 않은 그룹으로 나누었다. 연구 결과는 하타 요가를 수련한 그룹이 그렇지 않은 그룹에 비해 유의미한 변화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하타 요가가 근육을 강화시키고 유연성을 기르게 하여 만성요통을 가진 65세 이상의 노인에게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어깨뼈 안정화 근육 강화가 둥근 어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trengthening on Scapular Stabilizer Muscles for the Rounded Shoulders)

  • 김창숙;김신균
    • PNF and Movement
    • /
    • 제11권2호
    • /
    • pp.49-56
    • /
    • 2013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mpared for rounded scapular between strechting on pectoralis minoor and strengthening on scapular stabilizer muscles. Methods : The main laboratory had an experiment of the exercise for rounded shoulder posture with 30 patients on a pectoralis minor stretching and scapula to stabilize the elastic band to divide into two groups in this study which were conducted. Results : Acromial height measured from changes of the rounded shoulder posture changes before and after workouts; stretching before exercise in the exercise group is from $94.19{\pm}3.47$ to after result of $94.84{\pm}3.19$, and the after exercise of an elastic band pre-exercise in the exercise group is from $93.60{\pm}3.42$ to $88.68{\pm}3.49$, dividing into two groups, which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an acromial height variation results before and after workouts; stretching exercise group made $3.07{\pm}1.43$, $4.91{\pm}2.24$ and elastic band exercise group, $4.91{\pm}2.24$, which show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nd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 Against a pectoralis minor that cause the findings of this study, RSP proximately shows serratus anterior and the strengthening of trapezius by exercises of the shoulder peaks which decrease in height arbitration scheme of a pectoralis minor stretching effect as shown. Therefore, it is expected RSP patients in clinical intervention methods combined with stretching exercises strengthens muscles against an elastic band exercise effec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