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근대 주거

Search Result 91,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The Issue of Modern Dwelling in Sinhaksinseol(新學新說: New Knowledge New Theory) by Ji, Syok-young (지석영의 "신학신설" (1891)에서 근대적 주거 문제)

  • Kim, Myung-S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9 no.3
    • /
    • pp.765-770
    • /
    • 2008
  • Ji, Syok-young wrote a book named Sinhaksinseol(新學新說) in 1891, one of the first hygiene books in Korea. There were the conditions of modern housing like lighting, ventilation and dry and fresh air of a housing site in the contents of the book. Because the book was written when the modern hygiene theory had just been accepted, traditional concept of 'Yangseng(養生),' but it dealt the main environmental conditions of hygienic housing at first, which makes it the leader of modern housing discourses through the newspapers, magazines, academic journals or textbooks from 1890s mid to 1910.

A Study on the Modern Architecture Space Represented in Melodrama Films of the Late 1950s (1950년대 말 멜로드라마에 묘사된 근대건축공간에 대한 연구)

  • Moon, Guen-Jong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0 no.4
    • /
    • pp.115-121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odern Architecture Space' represented in Korean melodrama films of the late 1950s. It is assumed that popular films reflect the residential culture, architectural spaces and human activities of those days. For the analysis, a pool of 5 Korean melodramas of the late 1950s was constructed. In these melodramas, the modern architectural spaces were represented as the following: 1) The modern-style residential spaces were emphasized to reflect the interest and longing of the public for western lifestyle. 2) The western non-residential spaces such as work spaces and commercial spaces were emphasized, especially its interior design of western image.

Knowledge of Modern housing of the Textbooks for Physiology and Hygiene in Korea 1894-1910 (생리 및 위생분야 교과용도서의 근대적 주거지식(1894-1910))

  • Kim, Myung-S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9 no.5
    • /
    • pp.1328-1333
    • /
    • 2008
  • The new knowledge in the textbooks for Physiology and Hygiene in Korea 1905-1910 was focused on the problems of hygiene. Lighting, ventilation, dryness were proposed as main conditions fer hygienic housing, for which management and planning methods were explained. This knowledge was taught as 'scientific' or 'modern' knowledge based on the physiological theory and air property, thereafter the conditions were placed as important conditions of modern housing.

한국 주택의 공간구조 변천에 대하여 -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평면분석

  • No, Hyeong-Rae
    • Korean Architects
    • /
    • no.2 s.382
    • /
    • pp.60-66
    • /
    • 2001
  • 우리나라 주거양식의 근대화는 단순히 전통한옥에서 현대의 주택, 아파트로의 교체가 아니라 일련의 연속적인 변화과정 속에서 시대를 살아온 사람들의 생활양식과 문화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주택이란 삶을 담는 그릇'이라는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주택이란 거주자의 가치관을 포함한 주생활양식과의 대응 속에서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주거양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또한 이러한 삶과 문화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의 배경 하에 과거 전통주택에서부터 근대화 이후의 여러 주택유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형을 포함한 우리 나라 주택이 가지는 공간구조의 변천을 시대적으로 조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통사회의 양반주택, 도시형한옥, 표준주택, 일반단독주택, 작가주택, 아파트에 이르는 다양한 주택유형을 포함하여 총 104개의 주택평면을 대상으로 공간구조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다양한 주택유형들이 보여주는 공간구조와 그 통시적 변화를 객관적이고 계량적인 방법론을 이용하여 관찰하고자 공간구문론의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주택형식에 따른 기능적 형상학을 뛰어넘는 사회학적 형태학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주거의 변천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개개의 주택형식에 대한 고려보다는 시대적 상황과 배경을 설명해주는데 용이한 대상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변화의 양상과 그러한 변화에 내재한 사회적 동인과 배경을 파악하고 이해하고자 하였다.

  • PDF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설계원리와 미학(6)

  • Han, Dong-Su
    • Korean Architects
    • /
    • no.2 s.382
    • /
    • pp.67-73
    • /
    • 2001
  • 우리나라 주거양식의 근대화는 단순히 전통한옥에서 현대의 주택, 아파트로의 교체가 아니라 일련의 연속적인 변화과정 속에서 시대를 살아온 사람들의 생활양식과 문화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주택이란 삶을 담는 그릇'이라는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주택이란 거주자의 가치관을 포함한 주생활양식과의 대응 속에서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주거양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또한 이러한 삶과 문화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의 배경 하에 과거 전통주택에서부터 근대화 이후의 여러 주택유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형을 포함한 우리 나라 주택이 가지는 공간구조의 변천을 시대적으로 조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통사회의 양반주택, 도시형한옥, 표준주택, 일반단독주택, 작가주택, 아파트에 이르는 다양한 주택유형을 포함하여 총 104개의 주택평면을 대상으로 공간구조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다양한 주택유형들이 보여주는 공간구조와 그 통시적 변화를 객관적이고 계량적인 방법론을 이용하여 관찰하고자 공간구문론의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주택형식에 따른 기능적 형상학을 뛰어넘는 사회학적 형태학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주거의 변천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개개의 주택형식에 대한 고려보다는 시대적 상황과 배경을 설명해주는데 용이한 대상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변화의 양상과 그러한 변화에 내재한 사회적 동인과 배경을 파악하고 이해하고자 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Residential Spaces and Social Structure in Latter term of Chosun Period - Focused on main houses of higher middle class in Gyeonggi province - (조선 후기 사회구조의 변화가 주거공간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경기지역 중상류 주거의 안채를 중심으로 -)

  • 박형진;류호창
    •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 /
    • no.41
    • /
    • pp.19-28
    • /
    • 2003
  • Residential space can be stated as a decisive body compositely affected by environmental, physical, social, and cultural influences. Resulting from this idea, residential space can be defined as a mirror reflecting peoples' life at that perio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social and cultural aspects of a certain era through analyzing the residential space built and used at that period. Viewing from this point, latter term of Chosun Period, as a transitional period, was a tie of collapse for the structure of middle-class society forcing its identity system to be reorganized, and of improving upon commerce, agriculture, and manual industry to enable modernization. Following this idea,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higher middle class residences built at the close of 19th century in Gyeonggi province in order to bring into light the change of social structure of the period.

Discourse of Modernization of Korean Housing: The Transition of Housing Facilities and the Technicalization of Housing Life - Content Analysis of Advertising Materials - (부거설비의 진보와 주거생활의 기술화 측면에서 본 한국 주거의 근대화 논의 - 70년대부터 90년대까지의 아파트 광고를 중심으로 -)

  • Jun, Nam-Il;Eun, Nan-Soon;Park, Jin-Hee;Lee, Jang-Seob;Kim, So-Yeon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 /
    • v.18 no.3
    • /
    • pp.115-123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housing facilities have been progressed, how housing life has been technicalized and which factors contributed to the modernization of Korean housing in the economic development era. Review of advertising material for apartment sales in the newspaper from 1970s' to the 1990s' are mainly utilized to follow up the changes of kitchen equipment and furnitures, bathroom equipments, heating and cooking facilities and their fuel system,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system as well as security and intelligent system. However, high technology in apartment was a symbol of modem housing in each time. The improvement of housing facilities brought about the improvement of efficiency in household works. In other words, housing space plays as "Living Machine". And appearance of new technology systems leaded to a pluralistic activities in the home. As well as improvement on the material environments accelerated the individualization phenomena in housing 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