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균형 훈련

검색결과 373건 처리시간 0.027초

라이프케어 증진을 위한 협응적 이동훈련 프로그램이 비만 여성노인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ordinative Locomotor Training Program for Life-Care Promotion on Balance of Obese Elderly Women)

  • 이동률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7-25
    • /
    • 2020
  • 본 연구는 라이프케어 증진을 위한 협응적 이동훈련 프로그램이 비만 여성노인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비만 여성노인 10명으로, 최근 1년 이내 허리나 엉덩관절 및 무릎관절 수술경험이 없고 독립보행이 가능한 자로 선정하였다. 협응적 이동훈련을 일일30분씩 2회, 주5회, 4주간 총 20회 실시하였다. 협응적 이동훈련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인바디 BMI검사, myoVIDEO를 이용한 관절가동범위검사, 표면근전도 검사(척추세움근, 배바깥빗근, 넙다리네갈래근, 넙다리뒤근육), 힘판 트레드밀을 통한 동적 균형검사, 버그 균형 척도(BBS)와 일어서서 걷기 검사(TUG)를 중재전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 보행 시 디딤기 및 흔듦기 시기에 몸통과 엉덩관절의 관절가동범위 전-후 비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표면근전도를 통한 근 활성도검사에서는 척추세움근과 배바깥빗근의 중재 전-후 비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보행 시 동적균형검사에서는 보행선길이와 한발지지선의 중재 전-후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버그 균형 척도(BBS)와 일어서서 걷기검사(TUG)에서도 중재 전-후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본 연구결과를 통해 라이프케어 증진을 위한 협응적 이동훈련 프로그램이 비만 여성노인의 자세불안정과 근 약화, 균형능력감소 및 낙상위험도를 개선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비만 여성노인의 균형능력 개선 및 낙상방지를 통한 라이프케어증진을 위해 이동적 협응훈련 프로그램 적용을 권장한다.

트레드밀 운동학습 훈련이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기능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alance and Function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using Motor Learning training with Treadmill)

  • 최현진;이동엽;김윤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804-810
    • /
    • 2013
  • 본 연구는 트레드밀을 이용한 운동학습 훈련이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운동기능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동작기능분류체계(GMFCS) 제 III, IV 단계의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 16명을 대상으로 운동학습훈련군과 대조군으로 각각 무작위로 8명씩 분류하여, 대조군은 주 4회 근력강화운동을 30분/1회 적용하였고, 운동학습훈련군은 근력강화운동과 트레드밀을 이용한 운동학습훈련을 주 4회 15분/1회 적용하였다. 뇌성마비 아동의 운동기능은 대동작기능평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균형능력은 good balance system(Meitur Ltd., Finland)의 전산화 측정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적용방법에 따른 운동학습훈련군과 대조군의 전 후 유의성 검증은 Wilcox Signed Rank Test와 Mann-Whitney U te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운동학습훈련군은 훈련 적용 후 운동기능과 균형이 유의하게 항상되었고(p<.05), 대조군에 비해 운동학습훈련군에서 훈련 적용 후 운동기능과 균형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5). 트레드밀을 이용한 운동학습훈련은 경직성 뇌성마비아동의 운동기능과 균형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고, 소아치료 중재방법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불안정 판을 이용한 훈련이 높은 굽 신발을 신은 여자 대학생의 발목관절 변위와 동적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unstable plate on the ankle joint displacement and dynamic balance ability of female college students wearing high-heeled shoes)

  • 남택길;이지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31-38
    • /
    • 2017
  • 본 연구는 불안정 판을 이용한 훈련이 높은 굽 신발을 신은 여자대학생의 발목관절의 변위와 동적균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여자 대학생 18명을 무작위로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고, 굽 높이가 9cm인 신발을 착용 한 후 3D 동작분석기를 이용하여 5m 보행 시의 발뒤꿈치와 발목의 변위를 검사하고, 동적 균형능력 평가를 실시하였다. 중재 프로그램은 실험군에게 4주 동안 주 3회, 불안정 판을 이용한 균형 훈련을 실시하고, 대조군에게는 중재를 실시하지 않았다. 연구 결과, 중재 후 실험군의 발목관절의 변위는 전반적으로 감소하였고, 동적균형능력은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대조군은 발목관절의 변위, 동적균형능력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불안정 판을 이용한 훈련이 대상자들의 발목관절을 안정화 시켜주고 동적균형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12주 동안의 시각 되먹임 균형 훈련이 만성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12-week balance training with visual feedback on balance and walking functions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 정명균;오덕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1호
    • /
    • pp.537-544
    • /
    • 2013
  • 본 연구는 만성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대한 12주간의 시각 되먹임 균형 훈련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총 20명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에 10명씩 무작위로 할당되었다. 실험군은 근력, 자세조절 그리고 기능적 훈련을 포함한 보존적 물리치료와 시각 되먹임을 이용한 균형훈련을 각각 15분씩 시행하였으며, 대조군은 30분안 보존적 물리치료를 시행하였다. 균형 및 보행 능력에 대한 측정은 기능적 도달 검사(Function Reach Test, FRT), 일어서서 걷기 검사(Timed Up and Go Test, TUGT), 6분 걷기 검사(6 Min Walk Test, 6MWT) 사용하여 시행되었다. 집단 내 비교에서 실험군은 모든 변수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p<.05), 대조군은 모든 변수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집단 간 비교에서 있어서는 FRT와 6MWT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본 연구의 결과는 시각 되먹임을 사용한 균형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 향상을 위해 긍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대상자들을 포함시킨 장기간의 연구가 계속 이루어져할 것이다.

케틀벨 훈련이 중학교 야구선수의 기능적 움직임(Functional Movememt Screen)과 균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Kettlebell Training on Functional Movement Screen and Balance in Middle School Baseball Players)

  • 김태윤;박우영;변용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96-107
    • /
    • 2022
  • 이 연구는 중학교 야구선수를 대상으로 8주간의 케틀벨 훈련이 기능적 움직임 및 균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중학교 야구선수 14명을 케틀벨 집단(n=8), 통제 집단(n=6)으로 무작위 배정한 후 케틀벨 훈련을 주 2회, 60분간 실시하였다. 그리고, 훈련 전과 8주 훈련 후 FMS, Y-밸런스 테스트 및 스마트 슈즈를 이용하여 정적, 동적 균형성을 검사하였다. 케틀벨 훈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반복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시기와 집단 간 상호작용이 있을 경우 집단 별로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FMS 점수는 IL(Inline Lunge)과 FMS 총점(TS)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FMS의 다른 변인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YBT 점수는 왼쪽 AT를 제외한 모든 YBT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Smart shoes를 이용한 균형성 검사에서는 모든 변인에서 집단과 시기 간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중학교 야구선수의 케틀벨 훈련 적용은 기능적 움직임과 기능적 균형성과 관련된 FMS 및 YBT 점수에는 효과가 있었지만, 족압분포로 평가하는 Smart Shoes를 사용한 정적/동적 균형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들은 중학교 야구선수의 훈련 프로그램 작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가상현실 게임기반 훈련프로그램을 이용한 체간조절훈련이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runk Control Training Using Virtual Reality Game-based Training Program on Balance and Upper Extremity Function of Subacute Stroke Patients)

  • 박삼호;김병수;이명모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172-179
    • /
    • 2019
  • 본 연구는 가상현실 게임기반을 이용한 훈련이 아급성기 뇌졸중환자의 균형 및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아급성기 뇌졸중환자 30명을 가상현실 게임기반 훈련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n=15)과 대조군(n=15)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중재는 6주간 주 3회, 1회당 30분씩 적용하였다. 대상자의 기능 향상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중재 전 후 균형능력과 상지기능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에서 균형능력과 상지기능(FMUE), 체간 장애척도(TIS)에 유의한 향상이 있었으며(p<.05), 두 그룹 간 차이는 버그균형척도(BBS), 일어나 걷기(TUG), 체간 장애척도(TIS)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가상현실 게임기반 훈련 프로그램은 아급성기 뇌졸중환자에게 임상적으로 유익한 운동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고유수용성감각 운동과 근력 강화 운동이 중년여성의 발목 근력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iprioceptive Sensory Exercise and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on Ankle Muscle Strength and Balance in Middle Aged Woman)

  • 한준호;우성희;이효정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98-601
    • /
    • 2017
  • 본 연구는 발목운동프로그램을 중년여성에게 적용하여 근력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에 동의한 중년여성 8명중 고유수용성감각 훈련을 시행한 실험군 4명 근력강화 훈련을 시행한 대조군 4명에게 총 4주간 매회 30분씩 훈련하였다. 훈련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훈련전 근력은 발등굽힘과 발바닥굽힘 검사를 시행하였고 균형은 기능적뻗기와 한발서기로 검사하고 훈련 후 다시 재측정하였다. 이에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근력과 균형검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에 불안정한 지지면과 안정된 지지면에서의 발목운동은 중년여성의 근력과 균형이 향상되는 프로그램이다.

  • PDF

전정자극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Vestibular Stimulation Training on the Balance of Patient with Chronic Stroke)

  • 남기원;오채은;서동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597-604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전정자극훈련 프로그램이 정적 균형 및 동적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14년 7월 15일부터 9월 6일까지 진행하였으며, 대상자는 뇌졸중 진단을 받은 환자 20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고, 무작위로 Group I(일반운동치료, n=10)과 Group II(전정자극훈련, n=10)로 나누었다. 두 군 모두 주 3회, 회당 40분씩 6주간 치료적 중재를 실시하였다. 균형 능력은 Good Balance System을 이용하여 정적 균형 및 동적 균형을 측정하였으며, 중재 전과 후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전정자극 훈련군에서는 눈감고 선자세의 좌우 및 전후 균형, 눈뜨고 선자세의 좌우 및 전후 균형, 이동시간, 이동거리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일반운동 치료군에서는 눈뜨고 선자세의 좌우 균형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전정자극 훈련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정적 균형 능력과 동적 균형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러한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 향상을 위한 치료프로그램에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편마비 환자에서 슬링을 이용한 체간-골반 안정성 집중 훈련이 근활성도 및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tensive Trunk-Pelvic Stabilization Training Using Sling on Muscle Activity and Balance in Hemiplegia)

  • 장광오;김경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244-1252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슬링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의 체간-골반 안정성 집중훈련 시 체간의 근활성도 및 균형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6개월 이상에서 1년 된 편마비로 진단 받은 입원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추출하여 두 그룹으로 나누었다. 실험은 4주간, 주 5회, 1회당 30분간 운동치료를 시행하였고, 대조군(n=10)은 일반적 운동훈련만 적용하였고, 실험군(n=10)은 일반적 운동훈련 및 슬링을 이용한 체간-골반 안전성 집중훈련을 실시하였다. 훈련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훈련 전 후에 체간조절능력, 근활성도, 균형능력을 각각 측정하였다. 훈련 후, 유의한 차이는 실험군에서 체간조절능력(TIS)(p<.001), 특히, 정적조절능력(p<.05), 동적조절능력(p<.01), 협응능력(p<.05), 근 활성도는 RA(p<.001), EO(p<.001), ES(p<.001), Multifidus(p<.05), FMA (Balance)(p<.01), MTD-Balance에서는 정적(p<.001), 동적균형능력(p<.001) 모두 각각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로써 슬링을 이용한 체간-골반 안정성 집중훈련은 체간의 근활성도와 균형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치료임을 증명하였고, 균형에 있어서 체간-골반 안정화 및 조절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중과 지상에서 장애물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에 미치는 효과 비교 (Comparison of Effects of Obstacle Training in Aqua and Land on the Balance of Chronic Stroke Patients)

  • 정재현;정은정;김경;이지연
    • 재활복지
    • /
    • 제17권4호
    • /
    • pp.383-399
    • /
    • 2013
  • 본 연구는 수중과 지상에서의 장애물 훈련 프로그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수중운동집단(15명)과 지상운동집단(15명)으로 나누어 장애물 훈련 프로그램을 12주간 주 3회, 40분씩 실시하였다. 정적균형은 Good Balance System을 이용하여 눈을 뜬 상태에서 내 외측 동요속도와 전 후측 동요속도 그리고 동요면적을 측정하였고, 동적 균형검사는 기능적 팔 뻗기 검사와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두 집단 모두에서 정적 균형(내 외측 동요속도, 전 후측 동요속도, 동요면적)과 동적균형(기능적 팔 뻗기 검사와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집단 간 차이에서는 모든 변수에서 수중운동군과 지상운동군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수중과 지상에서의 장애물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 능력 증진을 향상시키며, 수중이란 환경에서의 훈련이 지상운동보다 유의한 효과가 있다는 결과를 알 수 있었다. 수중운동은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 능력 증진을 위한 방법으로 유용하다고 생각되며, 앞으로도 균형능력 증진을 위한 수중운동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