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Effects of Obstacle Training in Aqua and Land on the Balance of Chronic Stroke Patients

수중과 지상에서 장애물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에 미치는 효과 비교

  • Jung, Jae Hyun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Daegu University) ;
  • Chung, Eun Jung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Andong Science College) ;
  • Kim, Kyoung (Dept. of Physical Therapy, Daegu University) ;
  • Lee, Ji Yeun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Andong Science College)
  • 정재현 (대구대학교 재활과학과 물리치료전공) ;
  • 정은정 (안동과학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 김경 (대구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 이지연 (안동과학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Received : 2013.07.29
  • Accepted : 2013.09.16
  • Published : 2013.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ison the effects of aqua-and-land based obstacle training on balance of chronic stroke patients. Subjec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an aqua group(n=15) and d land group(n=15). Both group received obstacle training for 40 minutes, 3 times a week during 12 weeks. Static balance was assessed by measuring the mean velocity of mediolateral, anteroposterior and sway area with the eyes open using Good Balance System. Dynamic balance was assessed by measuring Functional Reaching Test(FRT) and the Timed Up and Go test(TUG). Following the intervention,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changes static balance(the mean velocity of mediolateral, anteroposterior and sway area) and dynamic balance(FRT and TUG).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velocity of mediolateral, anteroposterior, sway area, FRT and TUG between the two groups after the interven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aqua group and land group were increase balance functions of chronic stroke patients. The aqua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land group for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patients. We hope that aquatic training can be useful for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patients to improve balance functions and the aqua training research for improve balance functions will be conducted continuously.

본 연구는 수중과 지상에서의 장애물 훈련 프로그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수중운동집단(15명)과 지상운동집단(15명)으로 나누어 장애물 훈련 프로그램을 12주간 주 3회, 40분씩 실시하였다. 정적균형은 Good Balance System을 이용하여 눈을 뜬 상태에서 내 외측 동요속도와 전 후측 동요속도 그리고 동요면적을 측정하였고, 동적 균형검사는 기능적 팔 뻗기 검사와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두 집단 모두에서 정적 균형(내 외측 동요속도, 전 후측 동요속도, 동요면적)과 동적균형(기능적 팔 뻗기 검사와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집단 간 차이에서는 모든 변수에서 수중운동군과 지상운동군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수중과 지상에서의 장애물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 능력 증진을 향상시키며, 수중이란 환경에서의 훈련이 지상운동보다 유의한 효과가 있다는 결과를 알 수 있었다. 수중운동은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 능력 증진을 위한 방법으로 유용하다고 생각되며, 앞으로도 균형능력 증진을 위한 수중운동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