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균체 생산

검색결과 583건 처리시간 0.03초

Oleic Acid 내성균주로부터 Tylosin 생산 (Tylosin Production by Mutant Resistant to Oleic Acid)

  • 최두복;;문옥란;윤미란;지성남;신대윤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360-364
    • /
    • 2005
  • Streptomyces fradiae로부터 Tylosin을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지방산 내성균주을 분리 했다. 여러 지방산중에서 oleic acid 1.6 g/l 이상이 첨가될 때 세포 성장이 완전히 저해 되었다. 그러나 oleic arid 1.2 g/l에서 얻어진 TM-224-1 균주는 최대 균체농도와 tylosin 생산이 얻어졌다. 또한 oleic acid 소비속도는 parent strain 비해 3.8배 증가했다. Oleic acid 내성균주, TM-224-1 균주와 parent strain을 이용해서 jar fermentor에서 균체농도, tylosin 생산, 그리고 rapeseed oil 소비를 표준조건하에 5일동안 비교하였다. TM-224-1 균주을 이용할 경우 균체 농도는 초기에 parent strain비해 증가했으나 배양중반부터는 감소하기 시작했다. rapeseed oil 소비의 경우는 거의 비슷했다. 그러나 Tylosin 생산 수율은 parent strain 비해 약 3.2배 증가했다.

고정화 미생물에 의한 뉴크레오타이드 생산 (Production of Nucleotide by Immobilized Cell)

  • 조정일;정승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1-116
    • /
    • 1991
  • 5'-XMP의 효소적 전환에 의한 효율적인 5'-GMP의 생산을 위하여 동결 건조한 Bevibacterium ammoniagenes ATCC 19216을 K-carrageenan, polyacrylamide, Ca-alginate 및 agar등 4가지 담체에 고정화시켜 XMP aminase 효소원으로 사용하였다. 최적담체로서 선정된 $3\%$ K-carrageenan에 고정화한 균체를 이용하여 5'-GMP를 생산하였다. 고정화되지 않은 전환균주에 의한 5'-GMP의 최적 생산 조건은 $42^{\circ}C$, pH 7.0, 100mg/ml의 glucose, 8mg/ml의 $MgSO_4\cdot7H_2O,$ 5mg/ml의 POESA, 120mg/ml cell, 5mg/ml의 phytic acid으로 나타났으며, 이때 전환율은 $94.5\%$이었다. 고정화균체에 의한 5'-GMP의 최적생산 조건은 $37^{\circ}C$, pH 7.5, 50mg/ml의 glucose, 1mg/ml의 $KH_2PO_4,$ 10mg/ml 의 phytic acid, 60mg/ml의 고정화균체, 8mg/ml의 $MgSO_4\;\cdot\;7H_2O,$ POESA이며 이때 전환율은 $64.7\%$이었다.

  • PDF

Sporobolomyces holsaticus의 배양중 전분자화 특성조사 (Study on the Pattern of Starch Assimilation by Sporobolomyces holsaticus)

  • 박완수;구영조;신동화;민병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77-182
    • /
    • 1983
  • 전분으로부터 효모균체를 직접 생산하기 위하여 분리, 동정된 전분이용성 효모, Sporobolomyces holsaticus FRI Y-5의 배양중 전분자화특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유기영양원인 yeast extract 첨가실험에서 균체량이 최고에 이르며 전분이용율도 높은 최적첨가량은 2.5g/l였다. 발효조배양실험에서 Sp. holsaticus의 비성장 속도는 $0.14\;hr^{-1}$였으며 최대균체량은 13.4g/l였다. 배양 80시간후 relative blue value는 45.1%가 감소되었고 전분은 45.96%가 소모되었으며 이때 균체수율은 0.425였다. 환원당은 전체적으로 증가하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배양중 pH는 pH7.0을 중심으로 거의 변화가 없었다. Sp. holsaticus amylase의 최적온도 및 작용 pH는 각각 $40^{\circ}C$, pH7.5였다. Tapioca 전분농도별 배양실험에서 Tapioca전분의 초기농도가 41.46g/l일 때 균체량이 18.17g/l로 최대였으며 이때 소모된 Tapioca전분량도 25.53g/l로 최대였다. 그러나 균체수율은 Tapioca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이때 Tapioca전분의 최적초기농도는 가용성전분에 비하여 낮았다. Sp. holsaticus FRI Y-5의 침강속도는 IFO 1032 균주에 비하여 매우 느렸으며 균체점도는 높은 편이었다.

  • PDF

Spirulina platensis NIES 39를 이용한 LED 광생물반응기에서의 이산화탄소 고정화와 광원 효과 (Carbon Dioxide Fixation and Light Source Effects of Spirulina platensis NIES 39 for LED Photobioreactor Design)

  • 김지윤;주현;이재화
    • 공업화학
    • /
    • 제22권3호
    • /
    • pp.301-307
    • /
    • 2011
  • Spirulina platensis NIES 39의 최적 배양 조건을 확립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여러 광원에 따른 균체의 생장양상을 확인하여 보았다. 이를 기반으로 형광등 및 LED 광생물반응기를 개발하여 균체농도 증가, 이산화탄소 고정화속도 및 효율, 클로로필 생산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배양에 공급되는 이산화탄소 농도 및 유속은 명 조건에서 약 4 h 주기로 10 min간 5% $CO_2$, 0.1 vvm임이 확인되었다. 내부조사형 형광등 광원 및 저전력형 SMD 타입 적색광 LED 광생물반응기는 최대 배양 건조 균체량이 1.411 g/L를 넘지 못하였지만, 조도를 높인 파워형 적색광 LED (색온도 12000 K)에서는 최대 건조 균체량이 1.758 g/L가 되었다. 이 경우 이산화탄소 고정화 속도 및 효율 또한 증가되었다. 총 클로로필 생산량은 균체량 증가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지만, 건조균체질량당 생산량은 청색광 LED조건(색온도 7500 K)에서 더 높은 수치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최대 균체생장조건(DCW)에서 이산화탄소 농도는 주입량(5% $CO_2/Air$, v/v) 대비 유실률은 0.15% 이내로 확인되었다.

광합성 홍색 유황 세균 Thiocapsa roseopercisina에 의한 수소생산 최적화 (Optimization of photobiological H2 production using Thiocapsa roseopercisina)

  • 김미선;이유진;이동열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82-786
    • /
    • 2009
  • Thiocapsa roseopersicina NCIB 8347은 purple sulfur bacteria이며 광합성종속영양 조건에서는 nitrogenase 효소계가 유도되어 질소를 고정하며, 수소를 발생한다. 또한 광합성독립영양 조건에서는 hydrogenase 효소계가 유도되어 3~4개 종류의 특성이 다른 hydrogenase가 membrane에 결합되어 있거나, cytoplasma에 존재하며, 이 중의 일부는 산소농도와 온도의 상승에도 비교적 안정하다. 본 연구에서는 T. roseopersicina NCIB 8347이 광합성종속영양 조건에서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제반 배양조건을 최적화하고, nitrogenase와 일부 hydrogenase역가를 측정하여 purple non-sulfur bacteria, Rhodobacter sphaeroides KD131의 nitrogenase와 비교하여 수소생산을 최적화하였다. 할로겐램프를 8-9 $Klux/m^2$로 조사할 때와 배양온도 $26{\sim}30^{\circ}C$, 배양시간 72시간에서 균체 성장과 수소생산이 가장 높았다. T. roseopersicina NCIB 8347는 광합성 독립영양, 종속영양 조건에서 모두 성장 할 수 있었다.

  • PDF

세라티아 배양에 의한 세라티오펩티다아제의 생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Serratiopeptidase from Serratia Culture)

  • 노현수;박호진;이병룡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07-212
    • /
    • 1992
  • 세라티아 균주의 배양으로부터 소염제로 사용되는 세라티오펩티다아제의 생산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여러가지 탄소원, 질소원 및 유도제가 효소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는데, 탄소원은 효소의 생산이나 세포성장에 좋지 못한 기질이었으며, 특히 citrate의 경우 균체성장량은 포도당과 거의 동일하였으나, 세라오펩티다제의 생산에 저해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세라티오펩티다아제는 아미노산인 leucine을 첨가해 주었을 때 그 생산되는 양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leucine의 최적 농도는 0.03였다.

  • PDF

Pseudomonas oleovorans의 유가식 배양에 의한 medium chain length Polyhydroxyalkanoates (MCL-PHA) 생산

  • 김범수;임희연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07-210
    • /
    • 2000
  • P. oleovorans의 유가식 배양에서 탄소원으로 octanoic acid, 질소원으로 $NH_4NO_3$를 이용한 혼합기질을 배양액의 pH 변화에 따라 공급하는 pH-stat 기질공급전략을 개발하였다. 공급기질의 탄소원/질소원 비 (C/N 비)를 변화시킴으로써 최종 균체농도, PHA 농도, PHA 함량 등을 변화시킬 수 있었으며, 최대 균체농도는 C/N 비가 10 (g octanoic acid/g $NH_4NO_3$)일 때 65 g/L, 최대 PHA 농도는 C/N 비가 20일 때 41 g/L, 최대 PHA 함량은 C/N 비가 20일 때 75%였으며 최대 PHA 생산성은 C/N 비가 10일 때 1.03 g/L/h였다.

  • PDF

Aspergillus sp. F184가 생산하는 Xanthine Oxidase 저해제에 관한 연구 (Studies on Xanthine Oxidase Inhibitor Produced from Aspergillus sp. F184)

  • 박시형;윤상웅;박정민;옥승호;유주현;배동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92-96
    • /
    • 2000
  • 통풍과 oxygen free radical의 독성에 관여하는 xanthine oxidase에 대한 새로운 저해물질의 탐색 및 개발을 목적으로 본 연구에서 선택분리한 Aspergillus sp. F184가 생산하는 저해물질을 분리.정제하고 구조를 결정하였으며 효소저해활성을 조사하였다. 본 균주를 배양 후 배양액을 여과하여 균체와 배양액을 분리하고 균체를 acetone으로 추출하고 감압농축하고 남은 수용액층을 배양액과 합쳐 HP-20 adsorption column chromatography, ethyl acetate 추출,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결정화 등을 실시하여 xanthine oxidase에 대한 저해물질을 분리, 정제하였다. 본 저해물질의 구조를 NMR 및 MS 스펙트럼을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 5,6-epoxy-2-hydroxy-3-methyl-2-cyclohexene-1,4-dione으로서 terreic acid로 동정되었다. Terreic acid의 xanthine oxidase에 대한 저해활성을 조사한 결과 IC50가 1.1$\times$10-7M로서 기존의 저해제인 allopurinol과 유사하였다. 이에 terreic acid에 의한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은 보고된 바가 없기에 새로운 통풍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보고한다.

  • PDF

Pichia pastoris 유가식 배양을 이용한 재조합 HBsAg 생산에서 sorbitol이 미치는 영향

  • 이경훈;김동일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2년도 생물공학의 동향 (X)
    • /
    • pp.247-250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형질전환된 P. pastoris를 이용한 재조합 HBsAg 생산에서 유가식 배양시 공급배치 탄소원으로 sorbitol이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glycerol과 비교하여 실험하였다. 유가식 배양 공급배지 탄소원으로 50% sorbitol을 이용했을 때 50% glycerol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세포 증식 측면에서는 methanal 유도 후 균체 농도가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이것은 glycerol 이 sorbitol 보다 에너지원으로써 높은 affinity를 가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단위 건조 균체량당 단백질 발현량은 50% sorbitol을 공급 한 경우 50% glycerol을 공급한 경우 보다 12% 향상되는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유가식 배양용 공급 탄소원으로 sorbitol을 이용했을 때 glycerol을 이용하는 것보다 AOX promoter에 의한 단백질 발현에 보다 긍적적인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미생물에 의한 수소생산: Dark Anaerobic Fermentation and Photo-biological Process (Microbial hydrogen production: Dark Anaerobic Fermentation and Photo-biological Process)

  • 김미선;백진숙
    • KSBB Journal
    • /
    • 제20권6호
    • /
    • pp.393-400
    • /
    • 2005
  • 수소를 생산하는 미생물은 크게 광합성 세균(photosynthetic bacteria), 혐기성세균(non-photosynthetic anaerobic bacteria), 조류(algae) 등으로 구분되고, 이들의 수소 생성 기작, 사용가능기질 및 수소 발생량은 상당한 차이가 있다. 광합성세균은 Rhodospirillaceae, Chromatiaceae 및 Chlorobiaceae로 구분되며, 이는 각각 홍색비유황세균(purple non-sulfur bacteria), 홍색유황세균(purple sulfur bacteria), 녹색유황세균(green sulfur bacteria)으로 통칭된다. 혐기성 세균은 절대 또는 통성혐기세균중 일부가 수소생산에 관여하며, 조류는 녹조류(green algae)와 남조류(blue-green algae, cyanobacteria)가 알려져 있다. 생물학적 수소생산 기술은 (1) 녹조류(green algae)가 광합성 메카니즘에 의해 수소를 생산하는 직접 물 분해 수소생산(direct bio-photolysis) (2) 광합성 작용에 의해 물을 분해하여 산소를 발생하고, 동시에 공기 중 이산화탄소를 고정하여 고분자 저장물질로 균체 내에 저장한 후 혐기 발효 또는 광합성 발효에 의해 수소를 발생하는 간접 물 분해 수소생산(indirect bio-photolysis or two stage photolysis) (3) 빛이 존재하는 혐기상태 배양 조건에서 홍색 세균에 의한 광합성 발효(photo-fermentation) 또는 (4) 광이 존재하지 않는 조건에서 혐기 미생물에 의해 수소와 유기산을 내는 혐기 발효(dark anaerobic fermentation) (5) 균체 외(in virro) 수소 발생 (6) 일산화탄소 가스 전환 반응(microbial gas shift reaction)에 의한 수소 생산 기술로 구분할 수 있다. 물로부터 생물학적 기술에 의한 수소생산은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고정하고, 수소와 산소를 발생하는 원천기술로써 오래 전부터 미국, 유럽에서 태양에너지를 이용하는 광합성 미생물의 분리, 개선 및 반응기에 관한 연구가 축적되어 왔으며, 유기물 즉 바이오매스로부터 혐기 및 광합성 발효를 연속적으로 적용하는 기술은 비교적 최근에 일본을 비롯한 유기성 폐기물이 많은 국가에서 수소에너지 생산과 유기성 폐기물 처리라는 두 가지 목적에 부합하는 연구로써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유기성 폐기물이나 폐수와 같은 수분함량이 높은 바이오매스는 대부분이 매립처리 되는 실정이지만 높은 수분 함량 때문에 매립 시 발생하는 침출수는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가까운 장래에는 매립도 금지될 전망이다. 이와 같은 수소에너지 생산기술과 이용시스템 개발은 화석연료 사용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국내에서 다량 발생하는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에너지 생산으로 자원 강대국 입지에 설 수 있다. 미생물에 의한 수소생산 기술은 청정에너지 생산과 아울러, 동시에 산소 발생, 공기 중 이산화탄소 고정, 식품공장 폐수 및 음식쓰레기와 같은 유기성 폐기물 처리 등 환경에 이로운 방향으로 진행될 뿐만 아니라, 미생물 자체가 갖는 생물 산업성도 높아서 비타민류, 천연색소, 피부암 치료제등의 고부가가치 의약품 생산도 활성화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