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궤양

검색결과 616건 처리시간 0.02초

구내 재발성 아프타성 궤양 환자에서 타액내 바이러스 검출 및 단백질의 변화 (Detection of Viruses and Changes of Protein of Saliva in Patients with Recurrent Aphthous Ulcer)

  • 박상배;김병국;배정식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4권2호
    • /
    • pp.125-135
    • /
    • 199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iscover the underlining influences of Herpes Simplex virus (HSV) and Varicella Zoster virus (VZV), to detect the changes of whole protein and mucin level and to observe protein profiles in the saliva when recurrent aphthous ulcer (RAU) was present. Unstimulated whole saliva was collected from 23 patients who for over three years had a clinical history of RAU, in a group of 10 women and 13 men, ranging from 11 to 72 years of age, and 20 healthy subjects, in a group of 8 women and 12 men, who did not have the symptoms nor a past history of RAU. Through the means of Polymerization Chain Reaction, genomic DNA from the HSV and VZV was purified from the saliva samples for identifying precisely the two types of viruses, and the level of whole protein and sialic acids in the saliva and the ratio of sialic acid to whole protein were measured, and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39.13% of patients showed 224 bp bands of VZV DNA, those were appeared more in patients than in control group (p<0.01),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atients and control group in HSV DNA (p>0.05). 2. The concentration of whole protein in men patients was lower than in men control group (p<0.05),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atients and control in other groups (p>0.05). 3. The concentration of sialic acids from patients was lower than control group in all groups (p<0.05). 4. The concentration of sialic acids in proportion to that of whole protein was lower in patients than in control group (p<0.05), and in the two women groups (p<0.01), but no noticeable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two men groups (p>0.05). 5. There were no consistent differences observed in the protein profiles of patients with control group except that certain protein bands near 50 kDa was lower in patients than in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viruses such as HSV and VZV and reduction of salivary whole protein and mucin levels are related to development of RAU.

  • PDF

지리적 기원이 다른 Pseudomonas syringae pv. actinidiae 균주들의 표현형적 특성 (Phenotypic Characteristics of Pseudomonas syringae pv. actinidiae Strains from Different Geographic Origins)

  • 최은진;이영선;김경희;고영진;정재성
    • 미생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45-248
    • /
    • 2014
  • Pseudomonas syringae pv. actinidiae는 참다래 속(genus Actinidia) 식물에 궤양병을 일으키는 원인세균이다. 7개의 필수 유전자와 11개의 타입 III 효과기 유전자에 대한 다중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전 세계 여러 곳에서 분리된 병원성 균주들은 세 그룹으로 나눌 수 있었고 각각 Psa1-Psa3 그룹으로 명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3개의 Psa1, 3개의 Psa2 및 우리나라와 이탈리아에서 분리된 3개씩의 Psa3 균주 등 총 12 균주를 대상으로 그룹별 표현형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모든 그룹의 균주가 $22^{\circ}C$ 이하에서 최대의 성장을 보였으며, Psa3 균주들은 $30^{\circ}C$ 이상의 온도에서 성장이 정지되었다. 또한 우리나라의 Psa3 균주의 지연기가 이탈리아 Psa3 균주 보다 긴 특징을 보였다. API 20NE 시험에서 Psa2 균주는 potassium gluconate, capric acid 및 trisodium citrate를 이용하지 못하는 점에서 Psa1과 Psa3 균주와 구별되었다. 다른 그룹과 달리 우리나라 Psa3 균주는 esculin을 가수분해할 수 있었다. API ZYM 시험에서는 Psa3에 속하는 균주들에서만 ${\beta}$-glucosidase 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sa 그룹에 따라 ampicillin, novobiocin 및 oleandomycin 등의 항생물질에 대한 민감성 양상이 서로 달랐다.

난치성 당뇨 족부 궤양에 대한 임상적 고찰: 치료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분석 (Clinical Analysis of Intractable Diabetic Foot Ulcers: Accessing Risk Factors)

  • 박세진;이승희;박헌용;김장환;신헌규;김유진;최재열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32-239
    • /
    • 2011
  • Purpose: Diabetic foot ulcer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diabetic complications because it increases the risk of amputations. Moreover, it lowers the quality of patients' life and increases the social medical expenses. Authors analyzed risk factors of intractable diabetic foot ulcer using retrospective study.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7 to December 2010, 40 patients who could not achieve complete healing despite more than 12 weeks of proper management among who had been diagnosed and treated as diabetic foot ulcer at our hospital were included and evaluated retrospectively. We compared the risk factors between two groups who were finally treated by amputation and non-amputation. Results: The sample was composed of 31 male patients (77.5%) and 9 female patients (22.5%). Comorbidity including hypertension and hyperlipidemia were 77.5% and 80% each. By Wagner classification, 30 patients (80%) had ulcerative lesion over the grade 3. From bacteriology results, 29 patients (72.5%) had polybacteria infection. 35 patients (87.5%) had neuropathy and 26 patients (65%) had vascular stenosis at least one level. The mean initial ankle-brachial index and toe-brachial index were 0.982 and 0.439. In comparison between amputation group and non-amputation group, ulcer severity, number of stenotic vessel and initial ankle-brachial index/toe-brachial index had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 The most commonly risk factor of intractable diabetic foot ulcer was peripheral neuropathy reaching 87.5% of cases. In comparison with non-amputation group, ulcer severity according to Wagner classification, number of stenotic vessel and initial ankle-brachial index/toe-brachial index were demonstrated as a risk factor of amputation in intractable diabetic foot ulcer.

오리에서 Duck Hepatitis Virus와 Salmonella typhimurium의 혼합 감염 증례 (Simultaneous Infection of Duck Hepatitis Virus and Salmonella typhimurium in Ducklings)

  • 이혜림;구본상;이영주;모인필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3-19
    • /
    • 2011
  • 2010년 2월 전남 지역의 인접한 두 곳의 오리농가에서 급성 폐사가 발생하여 병성감정을 실시한 결과, DHV와 살모넬라균의 혼합 감염으로 판정되었다. A 농장의 경우 폐사 전에 몸을 떨고 머리와 다리 부위를 뒤로 뻗치는 등 전형적인 후궁반장 등의 신경 증상을 보였으며, 부검 소견 상 총 10수 중 3수에서 간의 출혈 반점과 소장 내 출혈이 관찰되었다. 하지만 B 농장은 임상 증상이 없었으며, 또한 부검소견 상 총 10수 중 2수에서 선위 궤양이 관찰된 것을 제외하고 아무런 육안 병변이 관찰되지 않았다. 간에 대한 조직학적 소견으로 두 농장에 공통적으로 간세포의 다발성 괴사 및 정상 배열 소실, 담세관의 증식, 림프구의 침윤, 섬유소성 괴사 및 세균 집락이 관찰되었고 전반적인 출혈 소견이 확인되었다. 분자생물학적 검사 결과, 두 농장 모두 DHV와 살모넬라균의 유전자 양성으로 확인되었다. 본 논문은 오리에서 DHV와 S. typhimurium의 혼합 감염의 병리학적 특성을 보고하는 증례이며, 또한 국내에 A형과 C형 DVH가 동시에 존재하고 있음을 밝혔다.

양식 쏘가리에서 Atypical Aeromonas Salmonicida의 발병 (Occurrence of Atypical Aeromonas Salmonicida in Mandarin Fish (SSOGARI: Korean Name) Siniperca Scherzeri)

  • 박성빈;노성원;장호빈;차인석;김영림;하미애;강상철;김재훈;정태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89-294
    • /
    • 2010
  • 경남 산청지방에서 쏘가리를 양식하던 어장에서 대량폐사가 발생하였다. 주요 증상으로 전신 피부에서 궤양이 진행되었고 조직학적으로는 주요 실질 장기에서 세균의 집락과 주변부위로 염증 및 괴사가 관찰되었다. 분리된 세균을 API 20E 및 API 20NE를 이용하여 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한 결과 Aeromonas salmonicida subsp. salmonicida (typical A. salmonicida)로 진단할 수 있었다. 그러나 atypical A. salmonicida와 typical A. salmonicida로 구분할 수 있는 PCR 기법을 실시한 결과, 본 세균은 atypical A. salmonicida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쏘가리에서 A. salmonicida로 인한 발병의 최초 보고임과 동시에, A. salmonicida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선 생화학적 검사가 아닌 PCR 검사를 이용한 진단을 실시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고양이에서 비디오 이경검사법을 이용한 염증성 폴립의 진단 및 치료 1례 (Diagnosis and Treatment of Feline Inflammatory Polyp with Video Otoscopy : A Case Report)

  • 박세진;이승용;김영기;석성훈;황재민;정동혁;이희천;연성찬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01-304
    • /
    • 2013
  • 1년 간 우측 귀에 재발성 외이염을 앓다가 이도 내 종괴가 발견된 19개월령의 중성화된 수컷 잡종 고양이에서 종괴의 제거를 시행하였다. 전신마취 후 2.7 mm 내시경을 우측 이도로 삽입하였으며, 원활한 시야 확보를 위해 이도 내 세척을 동시에 시행하였다. 이도 내에서 4.9 mm 직경의 둥근 붉은색 종괴가 확인되었고 traction-avulsion 방법으로 제거되었다. 제거 후 고막 파열이 확인되었으며, 고실 내의 삼출물 제거를 위해 0.9% 멸균생리식염수로 귀를 플러싱하였다. 제거된 종괴는 조직검사 결과 심한 궤양을 동반한 육아조직으로 진단되었다. 술 후 환축은 특별한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5개월이 경과된 현재 재발의 징후는 발견되지 않았다. 비디오 이경검사법의 사용은 고양이 염증성 폴립의 치료를 위한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NBS로 유발된 마우스 대장염모델에서 설파살라진, 육계와 시호 복합 추출물의 항염증 및 세포 자멸 개선효과 (Anti-inflammatory and apoptosis improving effects of sulfasalazine and Cinnamomi cortex and Bupleuri radix mixture in TNBS-induced colitis mouse model)

  • 김경조;신미래;김수현;김수지;이아름;권오준;길기정;노성수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3호
    • /
    • pp.227-234
    • /
    • 2017
  • 염증성 장 질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설파살라진은 고용량 및 장기 섭취 후 다양한 부작용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TNBS로 유발된 마우스 대장염 모델에서 설파살라진, 육계와 시호 복합 추출물의 항염증 및 세포 자멸 개선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정상군, TNBS 대조군, Sulfasalazine (30 mg/kg)군, Sulfasalazine (60 mg/kg)군, Sulfasalazine (30 mg/kg)+육계 및 시호 혼합 (30 mg/kg)군, 총 5개의 군으로 나누었으며, 7일간 경구투여 하였다. 염증 및 세포 자멸 단백질은 western blot을 통해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SCB 투여는 염증 단백질 및 세포 자멸과 관련된 단백질의 억제에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설파살라진, 육계와 시호 복합 추출물은 염증과 세포 자멸의 억제를 통해 염증성 장 질환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염증성 장 질환의 치료 대안 가능 물질로 사료되는 바이다.

식도 절제술 및 위-식도문합술 후 만기 합병증으로 발생한 위-심막루 (Gastropericardial Fistula as a Late Complication after Esophagectomy with Esophagogastrostomy, A Case report)

  • 김태균;강정호;정원상;김영학;김혁;지행옥;이철범;함시영;전석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3호
    • /
    • pp.248-250
    • /
    • 2002
  • 환자는 56세 남자로 과거력상 15년 전 식도암으로 본원에서 식도 절제술 및 위- 식도 문합술 후 방사선 치료받았던 환자이며 그동안 특별한 치료없이 지내오다 최근 발생한 발열 및 오한, 마른 기침, 호흡곤란, 흉통을 주소로 본원 응급실을 방문 하였다. 응급처치 후 시행한 심초음파상 소량의 심낭삼출 및 심낭기종이 관찰되었으며 상부 위장관 조영술로 위-심막루가 확진 되어 응급 수술을 시행하였으나 술 후 7일째 사망하였다. 식도절제술 및 위-식도문합술 후 양성 궤양으로 인한 위-심막루는 매우 드문 합병증으로 치명적 결과를 낳았으며 흉부 방사선, 심전도, 심초음파, 환자의 증상을 종합, 상부 위장관 조영술을 통한 조기 진단 및 적절한 치료가 즉각적으로 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Helicobacter pylori의 생육을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유산균 선발 (Selection of Lactic Acid Bacteria Specifically Inhibiting the Growth of Helicobacter pylori)

  • 정후길;김응률;전석락
    • 미생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51-157
    • /
    • 2001
  • 위염 및 위궤양, 심이지장궤양, 위암의 주요한 발병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는 Helicobacter pylori의 생육을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유산균을 선발하기 위해서, 45종의 유산균에 대하여 paper disk법을 이용한 항균 효과, Caco-2세포에 대한 정착능, urease activity법을 이용한 H. pylori 억제능 등을 파악하고, 유산균 배양액과 H. pylori의 동시배양에 따른 요소 분해효소의 활성 변화와 우유 발효능 등을 실험하였다. H. pylori의 생육을 억제하는 물질의 생성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paper disk법으로 유산균 배양액에 의한 H. pylori의 생육 억제환을 측정한 결과, 28종의 유산균에서 생육 억제환이 형성되었다. 대부분이 유산 생성에 의한 낮은 pH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지만, 일부 균종에서는 항균성 물질에 의한 억제환이 형성되었다. 다른 유산균에 비해서 생육 억제환이 가장 큰 Lactobacillus gasseri MK-03 균주가 H. pylori에 대한 항균 활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항균 활성을 나타낸 28종의 유산균을 대항으로 Caco-2 세포에 대한 정착능을 실험한 결과, 18종의 유산균에서 정착능이 확인되었으며, Bifidobacterium longum MK-26 균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반응 2시간 전에 미리 Caco-2 세포에 정착시켰을 때, H. pylori의 정착율은 0.105%에서 0.004%로 감소되었다. 한편 요소 분해효소 활성을 저해하여 H. pylori를 억제하는 유산균을 선발하기 위해서 항균활성이 인정되는 28종의 유산균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21종의 유산균에서 요소 분해효소 활성의 저해 효과가 나타났으며, 이중에서 Lb. acidophilus MK-07 균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따라서 Lb. gasseri MK-03 균주는 항균 활성에서, Lb. acidophilus MK-07 균주는 요소 분해효소의 활성 억제에 의해서, Bif. longum MK-26 균주는 정착능 저해에 있어서 각각 우수한 H. pylori 생육 억제능을 나타냈다. 한편 최종적으로 선발된 3종의 유산균과 대조균주로서 13종의 유산균에 대해서는 우유 배양실험을 실시한 결과, 3종의 선발균주 모두가 발효유 제품에의 응용 적합성을 나타냈다.

  • PDF

스쿠티카섬모충에 감염된 자주복, Takifugu rubripes 외부증상과 피부, 아가미, 혈관내 충체의 분포 (External Symptoms of Tiger Puffer, Takifugu rubripes Infected with Scuticociliates and Distribution of the Scuticociliates in the Skin, Gill and Blood Vessel)

  • 강법세;고환봉;김성준;나오수;이치훈;김삼연;이제희;이영돈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9-37
    • /
    • 2005
  • 스쿠티카섬모충이 사육중인 자주복에 침입하였을 때 감염어의 외부증상, 행동특성 및 피부, 아가미 그리고 혈관내 충체의 분포 양상을 조사하였다. 스쿠티카섬모충에 감염된 개체는 초기에 체색 변화나 유영행동 등의 외부증상을 인지할 수 없었으나, 몸체에 감염부위가 병리적인 진행에 따라 표피와 지느러미에 발적과 부식, 그리고 궤양증상을 보였다. 또한 감염어는 정상개체와 달리 무리에서 이탈하여 선회 또는 저면에 멈춰 있거나 수면 위로 입올림 하였으며, 일부 개체에서는 돌발적인 유영도 보였다. 사육중인 자주복에 침입한 스쿠티카섬모충은 타원형으로 크기가 20-40 ${\mu}m$ 범위였고, 몸체의 미부에 수축포와 10-12 ${\mu}m$되는 하나의 긴 섬모가 개재되어 있으며, 생식방법은 이분열로 증식하여 형태분류학적인 측면에서 막구충아강 채찍섬모충목의 특색을 나타내었다. 아가미에 스쿠티카섬모충이 감염된 경우에는 아가미 새판상피의 비대로 새엽이 곤봉화 되는 병리적 현상이 있었다. 혈관 속에 침입한 스쿠티카섬모충들은 혈관의 직경 크기에 따라 1-2마리에서 많게는 9-10마리씩 산재하였고, 그들 중 일부 개체에서 적혈구 세포를 섭취한 스쿠티카섬모충이 관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