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군 간호

검색결과 753건 처리시간 0.025초

농촌 지역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한 허약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A Frailty Management Program for the Vulnerable Elderly in Rural Areas)

  • 안희옥;진영란
    •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8-28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whether the suicide prevention effect could be achieved by managing the frailty of the elderly in rural areas. Methods: This study is a single-group pre-post study design. The frailty management program was applied twice a week for 12 weeks for the vulnerable elderly in the rural area from 16th April to 31st May in 2020. The program consisted of physical exercise, health education on nutrition management and disease control, cognitive training, and protein drink provision. Results: The average age of the participants was 77.1 years, and they lived alone (88.6%). As a result of providing the program, there were positive results such as increase in body strength (pre 12.27: post 13.27) and weight (pre 58.51: post 59.13), and decrease in depression (pre 4.66: post 1.20),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quality of life, Time Up & Go, and BMI. Conclusion: Frailty should be managed to prevent suicide in the elderly. It is necessary to expand and apply various programs that combine physical functions and emotional interventions such as health education, and exercise to maintain muscle strength.

섬유근통 증후군 환자를 위한 인지행동 프로그램의 효과: 무작위 대조군 전후실험설계 (Effects of a Cognitive Behavior Therapy Program for Patients with Fibromyalgia Syndrom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공경란;이은남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347-362
    • /
    • 2021
  • Purpose: This study developed a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program aimed at altering the physical condition, emotions, and behaviors of fibromyalgia patients, and confirmed the program's clinical applicability. The program was developed by analyzing previous studies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fibromyalgia patients, drawing on cognitive behavior theory to establish the program contents, recruiting experts to test its validity, and conducting a preliminary survey. Methods: To confirm the program's effect, this study used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design. The participants were outpatients diagnosed with fibromyalgia in Dong-A University Hospital, Busan. The 30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took part in the program, which comprised 8 sessions (90 to 120 minutes) based on cognitive behavior theory, delivered over 8 weeks. Hypothesis testing was carried out using the repeated measures ANOVA. Results: The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positive automatic thoughts, pain, fatigue,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terms of sleep disorders and negative automatic thoughts. Conclusion: This program is a positive effect on physical condition, emotions, and behaviors. It is thus expected to be used to help fibromyalgia patients improve their disease conditions.

유방암 생존자의 운동실천을 위한 앱 기반 자가관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비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App-Based Self-Management Program for Exercise Practice of Breast Cancer Survivors: A Non-Randomized Controlled Trial)

  • 맹수연;유정옥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250-265
    • /
    • 2024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app-based self-management program based on the transtheoretical model (TTM) for breast cancer survivors' exercise practice, as well as to investigate the program's effects on the stage of change for exercise, exercise self-efficacy, exercise decisional balance, exercise amount, and body composition. Methods: This non-randomized controlled study included 52 participants (26 in each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respectively). An app-based self-management program based on the TTM was conducted with the experimental group for a 12-week period. The program comprised three components: individual coaching for each stage of change for exercise based on TTM, amount of exercise and body composition monitoring, and online self-help meetings. Result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tages of change for exercise (p < .001), exercise self-efficacy (p < .001), exercise decisional balance (p = .002), exercise amount (p < .001), and body composition (body weight [p = .006], body mass index [p = .005], and body fat percentage [p = .010]) immediately and four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Conclusion: An app-based self-management program based on the TTM improves exercise behaviors in breast cancer survivors and provides physical benefits.

전인건강중재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영적안녕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Holistic Health Program on spiritual well-being and mental health in nursing students)

  • 강은실;김영희;이경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2172-2179
    • /
    • 2011
  • 본 연구는 전인건강중재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들의 영적안녕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 설계는 단일군 전 후 실험연구이며 연구대상자는 참여를 희망하는 간호 대학생 42명을 대상으로 전인건강중재 프로그램을 13주간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빈도, paired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3주간의 전인건강중재 프로그램의 적용 전 후 영적 변화에서는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둘째, 13주간의 전인건강중재 프로그램을 적용한 전 후 간호대학생들의 정신건강의 변화는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 전인건강중재 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들의 영적안녕 및 정신건강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그러므로 이 프로그램을 간호대학생들의 영적안녕 및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방안으로 활용하여 간호실무 교육과정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제공되기를 기대한다.

문제중심학습(Problem- Based Learning)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효과 -진단검사와 간호 교과목 중심으로- (The Effect of the Problem-Based Learning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s -Diagnostic Tests and Nursing-)

  • 이외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5호
    • /
    • pp.279-285
    • /
    • 2020
  • 본 연구는 문제중심학습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단일군 사전 -사후 설계로 26명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진단검사와 간호 교과목에 총 4회기 8시간을 적용하였다. 자료수집은 2019년 8월 29일부터 12월 10까지로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을 이용하여 빈도, Kolmogorov-Smirnov, paried t-test, Wilcoxon signed-rank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문제중심 학습후 비판적 사고성향(t=-2.16, p=.041)과 학업적 자기효능감(z=-2.36, p=.018)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셀프리더십(t=-.16, p=.875)은 유의하게 증가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교과목에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하여 간호대학생이 간호사 핵심역량을 함양하도록 하여야 할 것을 제언한다.

시뮬레이션 기반 인수인계 교육 프로그램이 인수인계 수행능력과 인수인계 자신감에 미치는 융합 효과 (The Convergence Effect of Simulation-based Handoff Training Program on Handoff Performance Ability and Handoff Confidence)

  • 이경희;하영선;나윤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519-528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 기반 인수인계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인수인계 수행능력과 인수인계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K도 소재 P시와 A시 소재 간호 대학생 104명에게 사전·사후 실험설계의 비동등성 대조군 유사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7년 10월 30일부터 11월 10일까지이며,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x2 test,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 ANCOVA with pretest value as covariate를 실시하였다. 효과를 검증한 결과 인수인계 수행능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시뮬레이션 기반 인수인계 교육 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의 인수인계 수행능력을 증진하는 데 효과적인 인수인계 교육 프로그램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전문심폐소생술 지식, 수행에 대한 자신감, 비판적 사고성향, 임상실무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Simulation-based Training on Nursing Students' Knowledge, Confidence, Clinical Competence and Clinical Competence to 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

  • 박다혜;김현정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61-6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전문심폐소생술 지식, 수행에 대한 자신감, 비판적 사고성향, 임상실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실시된 단일군 사전-사후 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J지역에 소재한 간호학과 4학년 성인간호학교과목을 수강한 35명의 학생으로 자료는 설문지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실습교육 전 후에 수집되었다. 연구결과 전문심폐소생술 지식, 수행에 대한 자신감, 비판적 사고성향, 임상실무능력 모두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그러므로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전문심폐소생술 지식, 수행에 대한 자신감, 비판적 사고성향, 임상실무능력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전문심폐소생술 지식, 수행에 대한 자신감, 비판적 사고성향, 임상실무능력을 상승시키는 시뮬레이션 기반교육의 실습모듈 개발 및 교육효과를 검증할 수 있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신규간호사 및 재취업간호사의 재직의도, 현장적응 및 교육요구도 조사 (Survey on the Intention to Stay, Field Adaptation, and Educational Demands in New Nurses and Reemployment Nurses)

  • 김숙정;지혜련;임유진;김남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506-51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신규간호사와 재취업간호사의 재직의도, 현장적응 및 교육요구도를 파악하고 비교하는 것이며, 본 연구결과를 통해 현장적응력을 강화하고 이직을 방지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비교조사연구를 방법론으로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을 졸업한 신규간호사 48명과 6개월 이상의 경력단절기간을 가진 후 재취업한 간호사 48명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재직의도 차이는 결혼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현장적응 정도는 신규간호사의 가족 부양의 책임 유무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신규간호사와 재취업간호사 두 군간의 재직의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t=-2.10, p=.038), 현장적응은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t=-1.48, p=.142). 마지막으로, 연구 대상자들이 가장 원하는 직무교육 주제는 응급환자간호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와 재취업간호사의 현장적응을 강화하고 재직의도를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정신시뮬레이션 실습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icacy of Psychiatric Nursing Simulation Practical Training program Using Standardized Patients)

  • 김남석;김수진;송지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4호
    • /
    • pp.67-74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정신시뮬레이션 실습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도 되었다. 본 연구는 단일군 사전·사후설계 연구이며 자료수집은 J소재 일개 대학 간호학과 학생 186명에게 구조화된 설문지를 제공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7.0 program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정신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 프로그램은 대상자의 의사소통능력(t=-2.575, p=001), 학습자기효능감(t=-2.228, p=.026)과 문제해결능력(t=-2.298, p=.017)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의 현장 적응 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실제 상황과 유사한 환경을 조성하고 필요한 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사례를 적용한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할 필요가 있다.

표준화환자를 이용한 호흡기감염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지식,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 Simulation-based Education using Standardized Patient for Nursing Student's of the Knowledge, Clinical Nursing Competency)

  • 허정;윤영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435-442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호흡기 감염질환 지식과 임상수행에 대해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간호학과 4학년생 112명을 대상으로 2020년 3월 2일부터 6월 15일까지 표준화 환자를 활용하여 전염성 호흡기계 환자 간호를 위한 단일군 전후 설계이다. 호흡기 감염병 교육 프로그램 '폐 감염병 지식', '손 씻기', '마스크 착용', '환자 및 간병인에게 마스크 착용 유도', '정맥주사' '3way 주사', '외과적 무균술', '소독 의료기기', '오염된 린넨 관리', '감염자 관리 매뉴얼' 등 10개 교육 과제 수행이며 강의, 기술 훈련, 표준화된 환자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디브리핑으로 구성되었다. 표준화된 환자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교육 후 호흡기 감염질환에 대한 학생의 지식과 임상수행능력이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으며, 다양한 감염관리 실습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